아프가니스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0번째 줄: 50번째 줄:
| 국민어      =  
| 국민어      =  
| 지역어      =  
| 지역어      =  
| 공용문자    = 그리스 문자
| 공용문자    = 엘라다 문자
| 문해율      =  
| 문해율      =  
| 종교        = 조로아스터교
| 종교        = 조로아스터교
106번째 줄: 106번째 줄:
| 일광절약시간 =  
| 일광절약시간 =  
| 도량형      = SI단위계
| 도량형      = SI단위계
| 날짜형식    = yyyy-mm-dd
| 날짜형식    = κκκκ-μμ-υυ
| 전압주파수  =  
| 전압주파수  =  
| 꽂개집      =  
| 꽂개집      =  
125번째 줄: 125번째 줄:
| 현재국가    =  
| 현재국가    =  
}}
}}
'''아프가니스탄''', 공식명칭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남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북쪽으로는 [[투르크메니스탄]], [[구르카니스탄]], [[타지키스탄]]을, 남쪽으로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발라와리스탄]]을, 서쪽으로는 [[이란]]을, 동쪽으로는 [[잠무 카슈미르]], [[투르케스탄]]을 접하고있다. 주요 구성민족은 한민족 또는 배달민족이고, 국민 대다수는 불교와 유교성리학의 신자이다.
아프가니스탄은 1826년 두라니 왕조 다음의 국가로 세워진 아프가니스탄의 3번째 통일 왕조이다. 두라니 왕조 이전에는 이란 아프샤르 왕조에게 멸망한 호타키 왕조가 존재했다. 최초의 통일왕조였던 호타키 왕조는 1709년 이란 사파비 왕조를 공격해 멸망시켰다. 호타키 왕조는 이란 아프샤르 왕조의 침공으로 인해 멸망했다. 수많은 파슈토인들이 독립 운동을 일으켰고, 최종적으로 1747년 두라니 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군벌들의 대립으로 내전이 일어나 멸망하고 말았다. 그리하여 1823년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이 탄생하게 되었고, 국왕의 칭호도 아미로로 바뀌었다. 이후 1826년 바라크자이 왕조에 의해 아프가니스탄 왕국이 부활하였다.
한국은 남아시아 지역의 박트라에 위치해있다. 박트라는 산세가 험하고 비단길의 관문이라서 요충지로 많이 활용되어왔다. 아프가니스탄의 수도는 칸다하르이며, 인구는 50만명 가량이다. 칸다하르의 위성도시인 박트리안 알렉산드리아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다. 아프가니스탄은 이란, 타지키스탄과 동맹을 맺고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은 국제연합 등 많은 다른 국제기구와도 연계하여 활동한다. 카자흐스탄과 잉글랜드와는 적대 관계에 있지만, 수교는 맺고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총 인구는 2700만 가량이다. 그 인구중 대다수는 파슈토인이 차지한다.
아프가니스탄은 전제군주제를 채택하고있으며, 국가원수인 샤는 세습된다. 현재의 샤는 아흐메드 샤 칸이다. 입법부의 명칭은 로야 지르가이다.
== 상징 ==
=== 국호 ===
한국의 공식적인 국호는 '''대한고려국'''(大韓高麗國)이다. 중국어로는 다이한가오리궈라고 읽는다. 짧게 축약해서 대한이나 고려도 많이 쓰이지만 한국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한국은 나라이름 한에 나라 국자를 쓴다. 대한고려국은 공식적으로 고구려와 고려의 왕조를 계승하는 왕조이다.
발해 시절에는 대진이나 해동성국 등으로도 불렸으며, 중국에서는 동방예의지국이라고도 부른다. 지펀에서는 한국을 읽은 칸코쿠라는 이름으로 많이 통용된다. 여진에서는 고구려를 뜻하는 가오쥴리나 고려를 뜻하는 가오리라고 읽히며, 한국을 뜻하는 한궈라고도 읽는다. 송나라에서는 한궈라고만 주로 읽는다. 한국 정부에서 자신의 나라를 부를때에는 한국과 대한국을 병용하여 쓴다. 이 외에도 고려 민족주의자들은 후고려라는 이름을 고집한다.
=== 태극기 ===
{{본문|태극기}}
태극기는 한국의 공식 국기로, 건국과 동시에 국기로 지정되었다. 건곤감이와 빨간색, 파란색 음양으로 구성되어있다. 하얀색은 백의 민족을 뜻한다. 빨강과 파랑은 각각 땅과 하늘을 가리킨다. 건곤감이는 우주의 4대 물질을 상징한다.
태극기는 국경절날 의무적으로 계양하게 되어있다. 태극기를 훼손하는것은 법에 따라서 제지될 수 있다. 태극기가 한국의 국기로 쓰이기 전에는 황색 바탕의 국기를 썼었으나, 고려의 멸망과 함께 폐지되었다.
=== 국가 ===
{{본문|한국의 국가}}
한국의 국가는 황제행진곡으로, 흔히 태황행진곡 혹은 국왕행진곡으로도 불린다. 비교적 최근인 1944년 공식적으로 지정되었지만 작곡된것은 1892년이다. 자세한것은 [[한국의 국가]] 항목을 참조하라.
== 역사 ==
{{한국 역사}}
한국 최초의 왕조인 고조선은 단군신화에 따르면 기원전 1782년에 건국되었다. 그러나 현실성이 부족해 대부분의 사학자들한테서는 무시당하며, 추정 건국 연도는 기원전 2세기 경으로 추정한다. 청동기 문화를 기반으로 세워진 고대국가 고조선은 철제 무기를 쓰는 한나라에 의해 멸망해 한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한나라는 한사군, 낙랑군 등 통치기구를 설립해 한반도에 대한 통치력을 강화하려 하였다. 한반도 남부에서는 마한, 변한, 진한 등의 삼한이 힘을 키워나가고 있었다. 4세기에서 5세기 사이 쯤에 고대 국가인 고구려와 부여가 세워져 한나라 공백기를 틈타 세력을 넓혔다. 또한 서라벌과 십제 등의 국가들도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다.
십제는 국호를 백제로 바꿨고, 서라벌도 차차 신라라는 한자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신라, 고구려, 백제가 한반도를 삼분지계하니 이때를 삼국시대라고 한다. 최초로 전성기를 누린것은 백제였다. 9세기경, 백제는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고구려와 신라를 멸망 직전으로 내몰았다. 그러나 광개토대왕이 이끈 고구려의 전성기가 도래했으며, 장수왕은 백제의 개로왕을 죽이고 한강 유역을 되찾아 고구려의 최전성기를 열었다. 진흥왕은 신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니 이때가 11세기 경이다. 이후 백제, 고구려, 신라가 거의 대등한 힘으로 맞서 싸우다가 나당동맹의 채결로, 당나라의 도움을 받은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켜 삼국을 통일하게 되었다.
신라는 태종무열왕과 신문왕때 잠시의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왕권의 약화와 지방 호족의 세력 강화로 인해 붕괴하였다. 이때 이후로 한반도는 다시 궁예를 중심으로한 태봉, 견훤을 중심으로한 후백제와 경애왕을 중심으로한 신라로 나뉘었다.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건국하였고 후백제와 신라가 고려에 항복해 고려는 다시 천하를 통일하였다. 고려는 광종, 성종, 현종 등 성군기를 거치면서 전성기를 맞았다.
고려는 의종때의 무신정변 이후 180년에 달하는 무신정권기를 가졌다. 그러나 불교 중심 국가였던 고려와 유교 중심 국가였던 송나라는 서로 대립하였고 고려가 종교 문제를 계기로 송나라에 선전포고하면서 송-고려 전쟁이 발발했다. 송나라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괴뢰국인 대한고려국을 세웠으며, 12년 후 대한고려국이 완전 주권국으로 독립하였다.
대한고려국은 본래 훈구당과 유교당이 대립하는 구도였으나, 1927년 정몽주와 정도전, 최영, 이성계가 기획한 정변으로 인해 훈구당 정권이 무너지고 훈구당의 당수 이의민은 유배형을 당했다. 이후 유교당의 압도적 우위 체제로 현재의 유교성리학 체제가 완성되었다. 유교당은 1401년 이숭인과 이색을 따르는 사림당과 정도전을 따르는 신법당으로 나뉘어졌으나, 여전히 유교당은 고려 전반에 걸쳐 엄청난 힘을 발휘하고있다.
== 지리 ==
한국이 위치한 한반도는 일본해와 황해, 남해로 3면이 둘러싸인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큰 반도이다. 가장 큰 산은 백두산이고 아직까지 활동하는 활화산이다. 백두산에서 시작하는 백두대간 혹은 백두산맥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경상도까지 뻗어나간다. 북쪽으로는 한반도에서 가장 긴 강인 압록강과 맞닿아있다. 압록강 외의 주요 강으로는 낙동강, 한강, 임진강, 금강, 대동강, 영산강 등이 있다.
한반도는 산지가 험난하며 강이 많이 지리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지형은 동쪽은 높으며 서쪽은 평탄한 동고서저의 형태를 보인다. 호남평야와 호서평야 등의 넓은 평야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농업적 생산량을 보이는 지역으로,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했다. 경상도와 함경도, 강원도 등 백두산맥이 위치한 지역은 농사를 짓기 어려워 상공업과 공업 등이 발전하였다. 개경 수도권 지역은 중국과 맞닿아있어 무역소로서의 역할을 했다.
한반도 남부의 해안 지형은 매우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의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한반도의 서해와 남해에는 매우 광범위한 갯벌이 조성되어있다. 일본해와 접해있는 동쪽 지역은 서쪽이나 남쪽에 비해 해안선이 완만한 편이다.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해의 대륙붕 지역에서 솟아오른 화산섬이다. [[한국령 제주]]의 영토인 제주도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화산중 하나인 한라산의 분출로 형성된 섬으로, 주상절리와 오름 등 독특한 지형이 형성되어있다.
한반도의 넓이는 220,748 km²이다.
== 정치 ==
=== 행정 수반 ===
==== 국무총리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border:2px solid #0047A0;"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파일:태극기3.png|70px]]<br><big><span style="color:#ffffff;">대한고려국 역대 국무총리<br>
|-
|colspan="5" |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3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4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5대
|-
|  colspan="3" width="6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제현|<span style="color:black;">이제현]]<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인임|<span style="color:black;">이인임]]<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신돈|<span style="color:black;">신돈]]<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6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7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 | 임시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8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9대
|-
|  colspan="2" width="4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인임|<span style="color:black;">이인임]]<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최영|<span style="color:black;">최영]]<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정몽주|<span style="color:black;">정몽주]]<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정도전|<span style="color:black;">정도전]]<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0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1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2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3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4대
|-
|  colspan="2" width="4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정도전|<span style="color:black;">정도전]]<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숭인|<span style="color:black;">이숭인]]<br/>
|  colspan="2" width="4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방원|<span style="color:black;">이방원]]<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5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6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7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8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9대
|-
|  colspan="2" width="4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황희|<span style="color:black;">황희]]<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
|-
|}
|}
한국은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명목상의 국가원수는 태황이지만, 실질적인 국무원수는 국무총리이다.
국무총리는 행정수반으로서 행정원장과 함께 내각을 주도한다. 실질적으로 행정을 이끄는것은 행정원장이나, 국무총리가 행정원장을 임명하므로 국무총리가 행정원장보다 더 강한 권한을 가진다. 물론 형식적으로 행정원장은 태황이 선출하나 국무총리가 낸 후보를 통과시키는 절차에 불과하다. 국무총리는 행정원장을 임명하는것 외에도 행정원장이 통과시킨 법률에 승인 도장을 찍거나 혹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국무총리는 국민이 직접 뽑는다. 한국은 총리직선제, 즉 사실상의 대통령 직선제 국가이기 때문에 다수당이 아니어도 당에서 총리가 선출되는것이 가능하다. 한 당에 두명의 총리 후보가 나갈수 있다. 현재는 유교당의 압도적 우위 때문에 사실상 유교당의 집안싸움 형국이 되었다. 현재 총리는 황희로, 57.55%의 찬성표를 얻었다.
지금까지 이제현, 이의민, 신돈, 최영, 정몽주, 정도전, 이숭인, 이방원, 황희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1982년 조사 결과 최고의 국무총리로는 정도전(40.66%), 이제현(19.40%), 신돈(10.67%)가 뽑혔고, 가장 적은 표를 받은것은 이의민(0.68%), 이숭인(1.78%) 순이었다.
==== 행정원장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border:2px solid #0047A0;"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파일:태극기3.png|70px]]<br><big><span style="color:#ffffff;">대한고려국 역대 행정원장 <br>
|-
| colspan="5" |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3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4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5대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사윤|<span style="color:black;">이사윤]]<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관|<span style="color:black;">이관]]<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색|<span style="color:black;">이색]]<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염흥방|<span style="color:black;">염흥방]]<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최영|<span style="color:black;">최영]]<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6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7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8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9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 | 임시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색|<span style="color:black;">이색]]<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염흥방|<span style="color:black;">염흥방]]<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임견미|<span style="color:black;">임견미]]<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하륜|<span style="color:black;">하륜]]<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성계|<span style="color:black;">이성계]]<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0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1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2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3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4대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성계|<span style="color:black;">이성계]]<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정도전|<span style="color:black;">정도전]]<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숭인|<span style="color:black;">이숭인]]<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방원|<span style="color:black;">이방원]]<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문익점|<span style="color:black;">문익점]]<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5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6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7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8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19대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남재|<span style="color:black;">남재]]<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조준|<span style="color:black;">조준]]<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성석린|<span style="color:black;">성석린]]<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남은|<span style="color:black;">남은]]<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유정현|<span style="color:black;">유정현]]<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0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1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2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3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4대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한상경|<span style="color:black;">한상경]]<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심온|<span style="color:black;">심온]]<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유정현|<span style="color:black;">유정현]]<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맹사성|<span style="color:black;">맹사성]]<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원|<span style="color:black;">이원]]<br/>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5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6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7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8대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 | 29대
|-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맹사성|<span style="color:black;">맹사성]]<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장영실|<span style="color:black;">장영실]]<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맹사성|<span style="color:black;">맹사성]]<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이원정|<span style="color:black;">이원정]]<br/>
|  width="20.0%"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
|-
|}
|}
총리 직선제를 하는 관계로 행정원장도 존재하지만 내각제 국가인만큼 현실의 중화민국 행정원장과 하는 일은 다르다.
=== 행정구역 ===
한국의 행정구역은 7도 양계로, 고려의 행정구역 체계였던 5도 양계를 계승하였다. 7도는 7개의 일반 도를 의미하며, 양계는 주요 군사 주둔 지역을 의미한다. 7도에는 교주도, 서해도, 동해도(구 동계), 양광도, 안북도(구 북계), 전라도, 경상도가 있다. 양계에는 압록강 지역에 세워진 북계와, 동북 9성에 위치한 동계가 있다. 이 외에도 특별 구역으로는 수도인 개경특수시가 있다. 개성특수시는 7경과 행정상으로는 같이 운영되지만, 수도라는 특수성 때문에 권한이 더 높은 지역이다. 7경은 각 7도의 주도를 의미한다. 7경에는 경상도의 경주(동경), 전라도의 목포(남경), 교주도의 춘천(산경), 동해도의 삼척(동해경), 서해도의 해주(서해경), 양광도의 남주(중경), 안북도의 평양(서경)이 있다.
이 외에 한국의 속국으로 운영되고 있는 [[탐라국]]이 있다. [[대마도]]의 영유권을 두고 [[지펀]]과 분쟁중이지만 대체로 대마도는 한국의 땅으로 여겨진다.
7도는 감사가 파견되어 모든 행정을 처리한다. 7도의 하위 조직인 목에는 군수가 행정을 처리한다. 7도에는 도의회가 설치되어있으며 대부분의 업무는 의회에서 처리되고 감사에 의해 결재된다. 양계는 국무총리가 직접 다스린다. 7도에서도 조세는 국무총리가 직접 시행하며, 큰 토목공사 사업도 7도에게는 권한이 없다. 따라서 한국은 중앙집권체제이다.
=== 정당과 선거 ===
{{본문|유교당}}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3px solid #0047A0;" 
!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
|-
!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 [[파일:태극기5.png|30px]]<br><big><big>[[한국의 정당|<span style="color:black;">대한고려국의 정당]]<br>
|-
! style="background-color:#0047A0;color:white;border:1px solid #0047A0;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colspan="16" | [[파일:한국 내각원.svg|300px]]
|-
!colspan="16" | 여당 (223)
|-
|  colspan="16" width="100.0%" style="background-color:#CC3333;color:white;border:1px solid #ffffff; " |[[유교당|<span style="color:white;">유교당]]<br><code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CC3333;font-size:8pt;>'''223석'''</code><br><code style="background-color:#B2387F;color:#FFFFFF;font-size:8pt;>'''신법파 126석'''</code> / <code style="background-color:#197098;color:#FFFFFF;font-size:8pt;>'''사림파 97석'''</code>
|-
! colspan="16" | 야당 (5)
|-
|  colspan="8" width="50.0%" style="background-color:#D8C70B;color:white;border:1px solid #ffffff; " |[[불교당|<span style="color:black;">불교당]]<br><code style="background-color:#272727;color:#D8C70B;font-size:8pt;>'''3석'''</code>
|  colspan="8" width="50.0%" style="background-color:#1DB2DB;color:white;border:1px solid #ffffff; " |[[훈구당|<span style="color:white;">훈구당]]<br><code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1DB2DB;font-size:8pt;>'''2석'''</code>
|}
|}
|}
건국 초기에는 [[유교당]]과 [[훈구당]]의 양당 체제였지만, [[최영]], [[이성계]]가 일으킨 쿠데타 사건으로 인해 훈구당은 몰락하고 현재 [[유교당]]의 일당우위정당제가 지속되고있다. 한국의 의회인 내각원 228석중 유교당은 총 223석을 차지해, 의석률 97.8%의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있다. 사실상 불교당과 훈구당은 야당으로서의 역할을 못하며, 여당 내에서 중도좌파인 신법파와 중도우파인 사림파가 서로 정권 주도권을 두고 다투는 형국이다. 현재 다수파는 사림파이지만 의원수는 신법파가 더 많다. 현재 국무총리인 [[황희]]는 사림파이다.
사림파는 정통 성리학, 중도주의, 보수주의 등을 주장하고 스펙트럼은 중도에서 중도우파이다. 주자학의 교리대로 살아야할것임을 강조하고 여성 인권 신장에 대해 부정적이다. 사림파는 길재와 이숭인의 학풍을 이어받은 학파이다. 신법파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정권을 장악하고있었다. 신법파는 정도전의 학풍을 잇는 신진 사대부들이다. 현재 행정원장인 이원정은 신법파이다. 신법파는 신체자(언문)의 도입, 적극적인 재산 분배, 농공주의 등을 주장하는 중도좌파 내지는 좌익 성향 당파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신법당과는 친밀한 관계를 취하고있다.
현재는 몰락한 훈구당은 과거 한국의 양대정당이었다. 그러나 쿠데타로 인해 훈구당의 당수였던 [[이인임]]이 유배형에 처해진 이후로는 군소정당에 머무르고 있다. 극단적 보수주의와 전통주의를 주장하는 극우정당이다. 불교당은 경상도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 정당이고 스펙트럼은 중도이다. 이 두당은 정치적인 노선의 차이 때문에 유교당의 탄압을 받았었다. 때문에 한국의 민주주의 지수는 매우 낮지만, [[신돈]]의 집권 이후 불교당에 대한 탄압은 어느정도 줄어들었다.
=== 사법 ===
== 경제 ==
== 문화 ==
== 같이 보기 ==
*[[유기 1984년]]
*[[송나라]]
*[[지펀]]
*[[여진]]

2020년 12월 11일 (금) 16:02 판

아프가니스탄 왕국
아프가니스탄
Δε Αφγανισταν Υακμαναν

1826년
UN 회원국
국가 국가
표어 성공하려면 땅의 어느 곳으로 가야 할까?
수도 칸다하르
최대도시 카불
면적 652,864km2
2007년 ~ 아흐메드 샤 칸

인문 환경


인구 전체 인구 27,101,365명
민족 구성 파슈토인
인구 밀도 43.5명/km2
HDI 0.465
공용어 파슈토어, 페르시아어
공용 문자 엘라다 문자
종교 조로아스터교

하위 행정구역


행정
구역
34개
무수히 많음

정치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입법부 로야 지르가
민주주의 지수 2.85 (권위주의)
부패 인식 지수 16 (매우 높음)
국가
원수
아흐메드 샤 칸
여당 -
연립 여당 -

경제


경제 체제 공산주의
명목
GDP
전체 GDP 36,838,000,000$
1인당 GDP 1,177$
화폐 공식화폐 아프가니 (AFN)

코드와 단위


ccTLD .af
국가 코드 004, AF, AFG
국제 전화 코드 +93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도량형 SI단위계
날짜형식 κκκκ-μμ-υυ
운전석
(통행방향)
우측통행

아프가니스탄, 공식명칭 아프가니스탄 왕국남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북쪽으로는 투르크메니스탄, 구르카니스탄, 타지키스탄을, 남쪽으로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발라와리스탄을, 서쪽으로는 이란을, 동쪽으로는 잠무 카슈미르, 투르케스탄을 접하고있다. 주요 구성민족은 한민족 또는 배달민족이고, 국민 대다수는 불교와 유교성리학의 신자이다.

아프가니스탄은 1826년 두라니 왕조 다음의 국가로 세워진 아프가니스탄의 3번째 통일 왕조이다. 두라니 왕조 이전에는 이란 아프샤르 왕조에게 멸망한 호타키 왕조가 존재했다. 최초의 통일왕조였던 호타키 왕조는 1709년 이란 사파비 왕조를 공격해 멸망시켰다. 호타키 왕조는 이란 아프샤르 왕조의 침공으로 인해 멸망했다. 수많은 파슈토인들이 독립 운동을 일으켰고, 최종적으로 1747년 두라니 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군벌들의 대립으로 내전이 일어나 멸망하고 말았다. 그리하여 1823년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이 탄생하게 되었고, 국왕의 칭호도 아미로로 바뀌었다. 이후 1826년 바라크자이 왕조에 의해 아프가니스탄 왕국이 부활하였다.

한국은 남아시아 지역의 박트라에 위치해있다. 박트라는 산세가 험하고 비단길의 관문이라서 요충지로 많이 활용되어왔다. 아프가니스탄의 수도는 칸다하르이며, 인구는 50만명 가량이다. 칸다하르의 위성도시인 박트리안 알렉산드리아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다. 아프가니스탄은 이란, 타지키스탄과 동맹을 맺고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은 국제연합 등 많은 다른 국제기구와도 연계하여 활동한다. 카자흐스탄과 잉글랜드와는 적대 관계에 있지만, 수교는 맺고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총 인구는 2700만 가량이다. 그 인구중 대다수는 파슈토인이 차지한다.

아프가니스탄은 전제군주제를 채택하고있으며, 국가원수인 샤는 세습된다. 현재의 샤는 아흐메드 샤 칸이다. 입법부의 명칭은 로야 지르가이다.

상징

국호

한국의 공식적인 국호는 대한고려국(大韓高麗國)이다. 중국어로는 다이한가오리궈라고 읽는다. 짧게 축약해서 대한이나 고려도 많이 쓰이지만 한국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한국은 나라이름 한에 나라 국자를 쓴다. 대한고려국은 공식적으로 고구려와 고려의 왕조를 계승하는 왕조이다.

발해 시절에는 대진이나 해동성국 등으로도 불렸으며, 중국에서는 동방예의지국이라고도 부른다. 지펀에서는 한국을 읽은 칸코쿠라는 이름으로 많이 통용된다. 여진에서는 고구려를 뜻하는 가오쥴리나 고려를 뜻하는 가오리라고 읽히며, 한국을 뜻하는 한궈라고도 읽는다. 송나라에서는 한궈라고만 주로 읽는다. 한국 정부에서 자신의 나라를 부를때에는 한국과 대한국을 병용하여 쓴다. 이 외에도 고려 민족주의자들은 후고려라는 이름을 고집한다.

태극기

태극기는 한국의 공식 국기로, 건국과 동시에 국기로 지정되었다. 건곤감이와 빨간색, 파란색 음양으로 구성되어있다. 하얀색은 백의 민족을 뜻한다. 빨강과 파랑은 각각 땅과 하늘을 가리킨다. 건곤감이는 우주의 4대 물질을 상징한다.

태극기는 국경절날 의무적으로 계양하게 되어있다. 태극기를 훼손하는것은 법에 따라서 제지될 수 있다. 태극기가 한국의 국기로 쓰이기 전에는 황색 바탕의 국기를 썼었으나, 고려의 멸망과 함께 폐지되었다.

국가

한국의 국가는 황제행진곡으로, 흔히 태황행진곡 혹은 국왕행진곡으로도 불린다. 비교적 최근인 1944년 공식적으로 지정되었지만 작곡된것은 1892년이다. 자세한것은 한국의 국가 항목을 참조하라.

역사

한국의 역사
大韓高麗國

한국 최초의 왕조인 고조선은 단군신화에 따르면 기원전 1782년에 건국되었다. 그러나 현실성이 부족해 대부분의 사학자들한테서는 무시당하며, 추정 건국 연도는 기원전 2세기 경으로 추정한다. 청동기 문화를 기반으로 세워진 고대국가 고조선은 철제 무기를 쓰는 한나라에 의해 멸망해 한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한나라는 한사군, 낙랑군 등 통치기구를 설립해 한반도에 대한 통치력을 강화하려 하였다. 한반도 남부에서는 마한, 변한, 진한 등의 삼한이 힘을 키워나가고 있었다. 4세기에서 5세기 사이 쯤에 고대 국가인 고구려와 부여가 세워져 한나라 공백기를 틈타 세력을 넓혔다. 또한 서라벌과 십제 등의 국가들도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다.

십제는 국호를 백제로 바꿨고, 서라벌도 차차 신라라는 한자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신라, 고구려, 백제가 한반도를 삼분지계하니 이때를 삼국시대라고 한다. 최초로 전성기를 누린것은 백제였다. 9세기경, 백제는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고구려와 신라를 멸망 직전으로 내몰았다. 그러나 광개토대왕이 이끈 고구려의 전성기가 도래했으며, 장수왕은 백제의 개로왕을 죽이고 한강 유역을 되찾아 고구려의 최전성기를 열었다. 진흥왕은 신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니 이때가 11세기 경이다. 이후 백제, 고구려, 신라가 거의 대등한 힘으로 맞서 싸우다가 나당동맹의 채결로, 당나라의 도움을 받은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켜 삼국을 통일하게 되었다.

신라는 태종무열왕과 신문왕때 잠시의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왕권의 약화와 지방 호족의 세력 강화로 인해 붕괴하였다. 이때 이후로 한반도는 다시 궁예를 중심으로한 태봉, 견훤을 중심으로한 후백제와 경애왕을 중심으로한 신라로 나뉘었다.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건국하였고 후백제와 신라가 고려에 항복해 고려는 다시 천하를 통일하였다. 고려는 광종, 성종, 현종 등 성군기를 거치면서 전성기를 맞았다.

고려는 의종때의 무신정변 이후 180년에 달하는 무신정권기를 가졌다. 그러나 불교 중심 국가였던 고려와 유교 중심 국가였던 송나라는 서로 대립하였고 고려가 종교 문제를 계기로 송나라에 선전포고하면서 송-고려 전쟁이 발발했다. 송나라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괴뢰국인 대한고려국을 세웠으며, 12년 후 대한고려국이 완전 주권국으로 독립하였다.

대한고려국은 본래 훈구당과 유교당이 대립하는 구도였으나, 1927년 정몽주와 정도전, 최영, 이성계가 기획한 정변으로 인해 훈구당 정권이 무너지고 훈구당의 당수 이의민은 유배형을 당했다. 이후 유교당의 압도적 우위 체제로 현재의 유교성리학 체제가 완성되었다. 유교당은 1401년 이숭인과 이색을 따르는 사림당과 정도전을 따르는 신법당으로 나뉘어졌으나, 여전히 유교당은 고려 전반에 걸쳐 엄청난 힘을 발휘하고있다.

지리

한국이 위치한 한반도는 일본해와 황해, 남해로 3면이 둘러싸인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큰 반도이다. 가장 큰 산은 백두산이고 아직까지 활동하는 활화산이다. 백두산에서 시작하는 백두대간 혹은 백두산맥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경상도까지 뻗어나간다. 북쪽으로는 한반도에서 가장 긴 강인 압록강과 맞닿아있다. 압록강 외의 주요 강으로는 낙동강, 한강, 임진강, 금강, 대동강, 영산강 등이 있다.

한반도는 산지가 험난하며 강이 많이 지리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지형은 동쪽은 높으며 서쪽은 평탄한 동고서저의 형태를 보인다. 호남평야와 호서평야 등의 넓은 평야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농업적 생산량을 보이는 지역으로,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했다. 경상도와 함경도, 강원도 등 백두산맥이 위치한 지역은 농사를 짓기 어려워 상공업과 공업 등이 발전하였다. 개경 수도권 지역은 중국과 맞닿아있어 무역소로서의 역할을 했다.

한반도 남부의 해안 지형은 매우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의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한반도의 서해와 남해에는 매우 광범위한 갯벌이 조성되어있다. 일본해와 접해있는 동쪽 지역은 서쪽이나 남쪽에 비해 해안선이 완만한 편이다.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해의 대륙붕 지역에서 솟아오른 화산섬이다. 한국령 제주의 영토인 제주도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화산중 하나인 한라산의 분출로 형성된 섬으로, 주상절리와 오름 등 독특한 지형이 형성되어있다.

한반도의 넓이는 220,748 km²이다.

정치

행정 수반

국무총리


대한고려국 역대 국무총리
1대 2대 3대 4대 5대
이제현
이인임
신돈
6대 7대 임시 8대 9대
이인임
최영
정몽주
정도전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정도전
이숭인
이방원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황희

한국은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명목상의 국가원수는 태황이지만, 실질적인 국무원수는 국무총리이다.

국무총리는 행정수반으로서 행정원장과 함께 내각을 주도한다. 실질적으로 행정을 이끄는것은 행정원장이나, 국무총리가 행정원장을 임명하므로 국무총리가 행정원장보다 더 강한 권한을 가진다. 물론 형식적으로 행정원장은 태황이 선출하나 국무총리가 낸 후보를 통과시키는 절차에 불과하다. 국무총리는 행정원장을 임명하는것 외에도 행정원장이 통과시킨 법률에 승인 도장을 찍거나 혹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국무총리는 국민이 직접 뽑는다. 한국은 총리직선제, 즉 사실상의 대통령 직선제 국가이기 때문에 다수당이 아니어도 당에서 총리가 선출되는것이 가능하다. 한 당에 두명의 총리 후보가 나갈수 있다. 현재는 유교당의 압도적 우위 때문에 사실상 유교당의 집안싸움 형국이 되었다. 현재 총리는 황희로, 57.55%의 찬성표를 얻었다.

지금까지 이제현, 이의민, 신돈, 최영, 정몽주, 정도전, 이숭인, 이방원, 황희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1982년 조사 결과 최고의 국무총리로는 정도전(40.66%), 이제현(19.40%), 신돈(10.67%)가 뽑혔고, 가장 적은 표를 받은것은 이의민(0.68%), 이숭인(1.78%) 순이었다.

행정원장


대한고려국 역대 행정원장
1대 2대 3대 4대 5대
이사윤
이관
이색
염흥방
최영
6대 7대 8대 9대 임시
이색
염흥방
임견미
하륜
이성계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이성계
정도전
이숭인
이방원
문익점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남재
조준
성석린
남은
유정현
20대 21대 22대 23대 24대
한상경
심온
유정현
맹사성
이원
25대 26대 27대 28대 29대
맹사성
장영실
맹사성
이원정

총리 직선제를 하는 관계로 행정원장도 존재하지만 내각제 국가인만큼 현실의 중화민국 행정원장과 하는 일은 다르다.

행정구역

한국의 행정구역은 7도 양계로, 고려의 행정구역 체계였던 5도 양계를 계승하였다. 7도는 7개의 일반 도를 의미하며, 양계는 주요 군사 주둔 지역을 의미한다. 7도에는 교주도, 서해도, 동해도(구 동계), 양광도, 안북도(구 북계), 전라도, 경상도가 있다. 양계에는 압록강 지역에 세워진 북계와, 동북 9성에 위치한 동계가 있다. 이 외에도 특별 구역으로는 수도인 개경특수시가 있다. 개성특수시는 7경과 행정상으로는 같이 운영되지만, 수도라는 특수성 때문에 권한이 더 높은 지역이다. 7경은 각 7도의 주도를 의미한다. 7경에는 경상도의 경주(동경), 전라도의 목포(남경), 교주도의 춘천(산경), 동해도의 삼척(동해경), 서해도의 해주(서해경), 양광도의 남주(중경), 안북도의 평양(서경)이 있다.

이 외에 한국의 속국으로 운영되고 있는 탐라국이 있다. 대마도의 영유권을 두고 지펀과 분쟁중이지만 대체로 대마도는 한국의 땅으로 여겨진다.

7도는 감사가 파견되어 모든 행정을 처리한다. 7도의 하위 조직인 목에는 군수가 행정을 처리한다. 7도에는 도의회가 설치되어있으며 대부분의 업무는 의회에서 처리되고 감사에 의해 결재된다. 양계는 국무총리가 직접 다스린다. 7도에서도 조세는 국무총리가 직접 시행하며, 큰 토목공사 사업도 7도에게는 권한이 없다. 따라서 한국은 중앙집권체제이다.

정당과 선거


대한고려국의 정당
여당 (223)
유교당
223석
신법파 126석 / 사림파 97석
야당 (5)
불교당
3석
훈구당
2석

건국 초기에는 유교당훈구당의 양당 체제였지만, 최영, 이성계가 일으킨 쿠데타 사건으로 인해 훈구당은 몰락하고 현재 유교당의 일당우위정당제가 지속되고있다. 한국의 의회인 내각원 228석중 유교당은 총 223석을 차지해, 의석률 97.8%의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있다. 사실상 불교당과 훈구당은 야당으로서의 역할을 못하며, 여당 내에서 중도좌파인 신법파와 중도우파인 사림파가 서로 정권 주도권을 두고 다투는 형국이다. 현재 다수파는 사림파이지만 의원수는 신법파가 더 많다. 현재 국무총리인 황희는 사림파이다.

사림파는 정통 성리학, 중도주의, 보수주의 등을 주장하고 스펙트럼은 중도에서 중도우파이다. 주자학의 교리대로 살아야할것임을 강조하고 여성 인권 신장에 대해 부정적이다. 사림파는 길재와 이숭인의 학풍을 이어받은 학파이다. 신법파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정권을 장악하고있었다. 신법파는 정도전의 학풍을 잇는 신진 사대부들이다. 현재 행정원장인 이원정은 신법파이다. 신법파는 신체자(언문)의 도입, 적극적인 재산 분배, 농공주의 등을 주장하는 중도좌파 내지는 좌익 성향 당파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신법당과는 친밀한 관계를 취하고있다.

현재는 몰락한 훈구당은 과거 한국의 양대정당이었다. 그러나 쿠데타로 인해 훈구당의 당수였던 이인임이 유배형에 처해진 이후로는 군소정당에 머무르고 있다. 극단적 보수주의와 전통주의를 주장하는 극우정당이다. 불교당은 경상도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 정당이고 스펙트럼은 중도이다. 이 두당은 정치적인 노선의 차이 때문에 유교당의 탄압을 받았었다. 때문에 한국의 민주주의 지수는 매우 낮지만, 신돈의 집권 이후 불교당에 대한 탄압은 어느정도 줄어들었다.

사법

경제

문화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