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희 로망 (아침해의 원유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big>'''융희 로망(隆熙浪漫)/Yunghee Romance'''</big>
<big>'''융희 로망(隆熙浪漫)/Yunghee Romance'''</big>


'''융희 로망'''은 [[대한국 (아침해의 원유관|한국]]에서 [[융희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융희 시대]] 초기에(1910~1926)시작된 낭만주의 사조를 뜻한다.
'''융희 로망'''은 [[대한국 (아침해의 원유관)|한국]]에서 [[융희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융희 시대]] 초기에(1910~1926)시작된 낭만주의 사조를 뜻한다.
</div>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특징=
=특징=


당대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 제국]]에서 융희 시대는 임신개혁 이후 본격적으로 팽창한 국세가 안정기에 접어들던 시기로, 이후 파시즘과 변질된 유교 근본주의로 인해 사회 분위기가 경직됬고, 경제성장이 있긴 했으나 대공황과 몽골출병·[[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의 영향으로 살기가 팍팍했고, 미쳐 돌아가기까지 했던 성덕 시대 초기의 1930년대~1940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반 대중의 입장에서는 살기 좋은 시대였다. 이 때문인지 한국인들에게는 이 시대에 대한 향수가 꽤나 남아 있으며, 융희시대를 배경으로 한 그 시대의 분위기를 살린 창작물들도 많이 나오는데 이를 융희로망이라고 한다. 유럽의 벨 에포크, 빅토리아 시대나 일본의 다이쇼 로망과 비슷한 느낌으로, 국가적으로 위세를 떨쳤다는 것과 문화적으로 융성했다는 점 등의 이유로 현대에는 곧잘 미화되곤 하지만, 실상은 유럽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와 식민지인들에 대한 부당한 수탈로 이룬 번영이었다는 점, 하층민들의 삶은 궁핍했다는 점 등에서 비슷하다<ref>괜히 이 당시가 한국사에서 가장 공산주의 열풍이 강하게 불던 시기가 아니다.</ref>.  
당대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 제국]]에서 융희 시대는 임신개혁 이후 본격적으로 팽창한 국세가 안정기에 접어들던 시기로, 이후 파시즘과 변질된 유교 근본주의로 인해 사회 분위기가 경직됬고, 경제성장이 있긴 했으나 대공황과 몽골출병·[[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의 영향으로 살기가 팍팍했고, 미쳐 돌아가기까지 했던 성덕 시대 초기의 1930년대~1940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반 대중의 입장에서는 살기 좋은 시대였다. 이 때문인지 한국인들에게는 이 시대에 대한 향수가 꽤나 남아 있으며, 융희시대를 배경으로 한 그 시대의 분위기를 살린 창작물들도 많이 나오는데 이를 융희로망이라고 한다. 유럽의 벨 에포크, 빅토리아 시대나 일본의 다이쇼 로망과 비슷한 느낌으로, 국가적으로 위세를 떨쳤다는 것과 문화적으로 융성했다는 점 등의 이유로 현대에는 곧잘 미화되곤 하지만, 실상은 유럽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와 식민지인들에 대한 부당한 수탈로 이룬 번영이었다는 점, 하층민들의 삶은 궁핍했다는 점 등에서 비슷하다<ref>괜히 이 당시가 한국사에서 가장 공산주의 열풍이 강하게 불던 시기가 아니다.</ref>.  


광무 시대부터 시작된 서양화의 물결이 한국의 전통과 뒤섞여 '한양조화'(韓洋調和)라는 특이한 문화를 만들어냈기 때문에, 당시 문화는 상당히 독특한 분위기를 냈다. 남성들은 중절모를 쓰고 양장을 입은 뒤, 그 위해 두루마기 등의 한복이나<ref>원단의 종류도 굉장히 다양해져서, 양복원단이나 체크무늬 원단, 눈꽃무늬 원단 등 여러 종류의 한복 원단이 사용되기도 했다.</ref> 서양 코트를 본따 만든 개량한복을 착용하고, 오랫동안 모자를 선호하던 한국의 전통답게 기존의 갓 대신 파나마 햇이나 헌팅캡을 착용했다. 멋내기로 서구식 수염을 기르기도 하였는데, 여성들의 경우 1924년(융희 23년) 종로에서도 양장을 입은 비율이 겨우 2%에 불과했으나, 짧은 장옷을 입고 그 아래에 공간을 더 낸 치마를 입은 뒤, 신발로 부츠나 구두를 신은 신여성 스타일이 크게 유행을 타기도 했다. 교복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 구비가 힘들었던 완전 양장인 학도복과 세일러복이 완전히 보급되진 않은지라, 광무 시대부터 쓰이던 학도복<ref>두루마기에 학생모를 착용한 교복.</ref>이나 한복 교복이 혼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광무 시대부터 시작된 서양화의 물결이 한국의 전통과 뒤섞여 '한양조화'(韓洋調和)라는 특이한 문화를 만들어냈기 때문에, 당시 문화는 상당히 독특한 분위기를 냈다. 남성들은 중절모를 쓰고 양장을 입은 뒤, 그 위해 두루마기 등의 한복이나<ref>원단의 종류도 굉장히 다양해져서, 양복원단이나 체크무늬 원단, 눈꽃무늬 원단 등 여러 종류의 한복 원단이 사용되기도 했다.</ref> 서양 코트를 본따 만든 개량한복을 착용하고, 오랫동안 모자를 선호하던 한국의 전통답게 기존의 갓 대신 파나마 햇이나 헌팅캡을 착용했다. 멋내기로 서구식 수염을 기르기도 하였는데, 여성들의 경우 1924년(융희 23년) 종로에서도 양장을 입은 비율이 겨우 2%에 불과했으나, 짧은 장옷을 입고 그 아래에 공간을 더 낸 치마를 입은 뒤, 신발로 부츠나 구두를 신은 신여성 스타일이 크게 유행을 타기도 했다. 교복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 구비가 힘들었던 완전 양장인 학도복과 세일러복이 완전히 보급되진 않은지라, 광무 시대부터 쓰이던 학도복<ref>두루마기에 학생모를 착용한 교복.</ref>이나 한복 교복이 혼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2024년 5월 1일 (수) 06:40 판

 [ 국가 목록 ] 
 [ 소개 ]  
아침해의 원유관
아침해의 원유관은 임진왜란 축소로 인해 뒤바뀐 한국의 근현대사를 다룬 세계관입니다.
청화대에 이화문이 꽂혀있는 이 세계의 국가, 사회, 정치 및 문화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대한국

일본국

대금민국

러시아 차르국

중화민국

티베트 왕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련

마다가스카르 왕국

몽골

타이완민주주의인민공화제국

대한제국

대한 공화국

예케 몽골 울루스

대청제국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대한제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의 역사
大韓國史
[ 펼치기 · 접기 ]

주요 민족: 예맥, 삼한, 한민족

상고
시대
고조선(단군조선) 진국 주호국
부여 고조선(위만조선)
원삼국
시대
한사군* 마한 변한 진한
고구려 옥저 동예
삼국
시대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탐라국
남북국
시대
발해 통일신라
후삼국
시대
태봉 후백제 후신라
고려
시대
고려
조선
시대
조선
대한제국
시대
대한제국
현대
시대
대한국
*: 한국사에 포함되는지 아닌지에 대해 학술적인 논쟁이 있음.
대한제국식민지
[ 펼치기 · 접기 ]
해당지역 명칭 담당기관
북만주 만주 만주총독부
동몽골 제국 몽고주 몽고도독부
프리모예 연해주 자치령 연해총관부
해당지역 명칭 기관
칭다오 청도 청도행정부
웨이하이 위해 -
* 자치령은 1920년대 괴뢰국으로 [1]승격
괴뢰국 · 군정청
한자문화권의 황제국
[ 펼치기 · 접기 ]
중화제국 (야마토)

일본
대일본제국
일본국
(대월) → (대남) 대한
대한제국
대한국
대한국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 역사 ]
[ 사회 · 경제 ]
[ 문화 및 사상 ]
[ 기타 ]

개요

융희 로망(隆熙浪漫)/Yunghee Romance

융희 로망한국에서 융희 시대 초기에(1910~1926)시작된 낭만주의 사조를 뜻한다.

특징

당대 대한 제국에서 융희 시대는 임신개혁 이후 본격적으로 팽창한 국세가 안정기에 접어들던 시기로, 이후 파시즘과 변질된 유교 근본주의로 인해 사회 분위기가 경직됬고, 경제성장이 있긴 했으나 대공황과 몽골출병·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의 영향으로 살기가 팍팍했고, 미쳐 돌아가기까지 했던 성덕 시대 초기의 1930년대~1940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반 대중의 입장에서는 살기 좋은 시대였다. 이 때문인지 한국인들에게는 이 시대에 대한 향수가 꽤나 남아 있으며, 융희시대를 배경으로 한 그 시대의 분위기를 살린 창작물들도 많이 나오는데 이를 융희로망이라고 한다. 유럽의 벨 에포크, 빅토리아 시대나 일본의 다이쇼 로망과 비슷한 느낌으로, 국가적으로 위세를 떨쳤다는 것과 문화적으로 융성했다는 점 등의 이유로 현대에는 곧잘 미화되곤 하지만, 실상은 유럽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와 식민지인들에 대한 부당한 수탈로 이룬 번영이었다는 점, 하층민들의 삶은 궁핍했다는 점 등에서 비슷하다[2].

광무 시대부터 시작된 서양화의 물결이 한국의 전통과 뒤섞여 '한양조화'(韓洋調和)라는 특이한 문화를 만들어냈기 때문에, 당시 문화는 상당히 독특한 분위기를 냈다. 남성들은 중절모를 쓰고 양장을 입은 뒤, 그 위해 두루마기 등의 한복이나[3] 서양 코트를 본따 만든 개량한복을 착용하고, 오랫동안 모자를 선호하던 한국의 전통답게 기존의 갓 대신 파나마 햇이나 헌팅캡을 착용했다. 멋내기로 서구식 수염을 기르기도 하였는데, 여성들의 경우 1924년(융희 23년) 종로에서도 양장을 입은 비율이 겨우 2%에 불과했으나, 짧은 장옷을 입고 그 아래에 공간을 더 낸 치마를 입은 뒤, 신발로 부츠나 구두를 신은 신여성 스타일이 크게 유행을 타기도 했다. 교복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 구비가 힘들었던 완전 양장인 학도복과 세일러복이 완전히 보급되진 않은지라, 광무 시대부터 쓰이던 학도복[4]이나 한복 교복이 혼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특이한 패션 스타일은 융희 로망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남아있는데, 당시의 기생들이 이 패션의 복장을 입고 비싼 돈을 들여 사진을 찍을 정도였다. 또한, 패션스타일을 머리부터 몸끝까지 서양풍으로 입었던 이들은 모던보이/모던걸로 불렸으며 이는 융희 로망의 대표적인 유행어이기도 했다. 당시 한국령이었던 식민지 만주에서도 이 명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하지만, 동시기 한국의 주변 나라들은 한국보다 더 잘사는 상황이었던 일본을 제외하면 식민 지배를 겪는 등 혼란기/암흑기였기 때문에, 한국에 피해를 입은 국가들 입장에선 융희 로망을 소재로 다루는 것에 대한 반발이 나올 수 있으며, 특히 한국의 제국주의를 미화하는 방향으로 나간다면 더더욱 그럴 수 밖에 없다. 다만, 융희 로망 자체에 '과거의 영광을 다시 되찾자' 라는 파시즘적 뜻은 내재되어 있지 않고, 소란을 일으키고 싶지 않은 콘텐츠 제작자들이 민감한 소재는 알아서 배제하는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한국 밖에서도 융희시대의 문물을 그저 동아시아 근대화 시긴의 신기하고 이국적인 풍물로 다루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한국 내에서도 융희 로망은 벨 에포크나 다이쇼 로망이 그렇듯이 정황이나 상세한 시대 배경은 그렇게 자세히 묘사되지 않는 편이고, 기본적으로는 그 당시만의 독특한 패션과 분위기, 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국인들도 대부분 융희 로망이라고 하면 특유의 패션을 한 작품 정도 밖에 떠올리지 않는편.

정리하자면, 한국 내에서 융희로망을 보는 관점은 한국의 유명 시리즈인 응답하라 시리즈(응답하라 광무1895, 응답하라 융희1921)를 보면서 한국인들이 그 당시, 그러니까 1920년대를 낭만적으로 바라보는 풍조를 기억하면 비교적 이해하기 쉽다. 물론, 당대 대한제국은 일본제국과 함께 엄연히 제국주의 국가라는 피지배국들에 대한 가해자의 입장이었다는 점에서는 분명히 다르다.

그러나 한국 내에서도 융희 로망을 과대포장과 과거적 향수병이라며, 실제 서민의 삶과 사회적 분위기는 썩 좋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비판하기도 한다. 조선공산당, 대한노동자 연맹 등 한국의 노동운동과 사회주의/아나키즘 운동이 이 시기 확산된 것은, 그만큼 당시 많은 노동자가 빈곤의 구렁텅이로 떨어진 것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벨 에포크의 어둠과 마찬가지. 그래서인지 융희 로망을 다루는 창작물 중에는 돈만 믿고 날뛰는 벼락부자나 만지주[5]의 추태, 노사갈등과 파업, 부실건설된 거대 건축들, 사회주의/무정부주의/국수주의 운동, 제국주의의 모순, 군부의 불안과 극단주의 정당들의 폭주의 조짐, 만주에서 벌어지는 독립운동, 중국의 신해혁명과 군벌시대 등등을 포함해서 이러한 면도 함께 (예컨대 등장인물 중 하나가 사회주의 운동권에서 활동하는 일원이거나, 중국 등에서 건너온 혁명가라는 식으로) 조명하거나, 아예 그쪽만 다룬 작품도 종종 있다.

비록 파시즘과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전시체제때문에 오래가진 못했으나, 융희 로망과 비슷하게 경제성장으로 그래도 살만해지기는 했던 성덕 시대 초기(1929년대 ~ 1930년대 극초)의 문화를 낭만적으로 그리는 풍조 역시 드물지만 존재한다.

융희시대를 다룬 한국의 대표적인 작품의 예시는 '야인시대 1부(1998)', '박씨의 피화당(2003)', '모던 보이(2004)', 박열:융희의 이단아(2015) 등이 대표적이다.

여담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융희시대 당시 한국에는 융희 로망이라는 장르가 없었다(...).

소설적으로 추리소설, 공포소설 등이 활발히 유행한 시기기도 하며, 형이상학적인 예술품 또한 많이 등장했었다. 이후 이 풍조는 성덕 시대 당시의 미래주의 발전으로 이어진다.


  1. 연해주 자치령에서 극동 공화국으로, 극동 공화국에서 러시아 차르국으로 변환.
  2. 괜히 이 당시가 한국사에서 가장 공산주의 열풍이 강하게 불던 시기가 아니다.
  3. 원단의 종류도 굉장히 다양해져서, 양복원단이나 체크무늬 원단, 눈꽃무늬 원단 등 여러 종류의 한복 원단이 사용되기도 했다.
  4. 두루마기에 학생모를 착용한 교복.
  5. 만주로 건너가 대량의 땅을 사실상 공짜나 다름없는 가격으로 얻어 부를 쌓은 지방 출신 농부들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