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군
Deutsches Armee
창립일 1871년 1월 18일
국적 독일
편제 독일 육군
독일 황립해군
독일 황립공군
충원방식 징병제
징집연령 18세 이상
상비군 약 190만 명
예비군 독일 국방대
독일 국민군
지휘 체계
군비
방위산업
참전

독일군(독일어: Deutsches Armee 도이체스 아르미[*]) 혹은 아르미(독일어: Armee 아르미[*])는 1871년 1월 18일, 독일국 선포와 함께 프로이센 육군을 주축으로 이루어진 군사조직이다. 라이히의 구성국들의 군대로 이루어진 독일 육군빌헬름 2세의 통치 아래서 증강된 독일 황립해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창설된 독일 황립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르미는 독일 황제를 최고 군통수권자로 하며, 독일 국가군무부가 삼군을 통솔하고 사무 업무를 담당한다. 현대 참모 체계의 원형이 되는 국가로 대장군참모라 불리는 일련의 참모본부 체제를 지니고 있다. 대장군참모는 오직 개인의 지적 능력을 중심으로 편성되며, 대장군참모장이 이들을 총 지휘한다. 대장군참모는 아르미의 각군대를 전담하는 최고육군사령부(OHL), 최고해군사령부(OML), 최고공군사령부(OLL)를 휘하에 두고 있다. 각 최고사령부의 수장으로써 육군사령관, 해군사령관, 공군사령관이 존재한다.

명칭

도이체스 아르미는 라이히의 군대(독일어: Armee 아르미[*])를 칭한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독일 육군독일 황립해군이 별도로 존재했으며, 이를 묶는 통일된 단체는 대장군참모만이 유일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독일 황립공군독일 공군전력에서 독립하여 3대 군이 됨과 동시에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최고육군사령부최고해군사령부의 의견 마찰로 인한 작전 불이익을 이유로 통합된 지휘체계를 갖춘 현대적인 독일군이 탄생한다.

역사

프로이센 주도의 통일 이후 프로이센이 주도한 라이히의 군대도 마찬가지로 프로이센 육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육군(독일어: Heer 히어[*])은 헌법에 따라 프로이센을 비롯한 바이에른, 작센, 뷔르템베르크의 군대로 이루어진 연합체였다. 이들은 독립된 부대명과 지휘체계를 갖추었으나, 전시의 경우 프로이센의 라이히의 지휘를 받았다. 1920년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해체되고 오스트리아가 라이히에 가입하면서 기존 4개 왕국의 군대로 조직된 육군은 5개의 군대의 연합체가 되었다. 황립해군(독일어: Kaiserliche Marine 카이저라이헤 마리네[*])의 경우 헌법에서 구성국들의 해군 창설을 인정하지 않고 하나의 통일된 지휘체계를 지니고 창립되었다. 때문에 국가당국에는 군대와 관련된 행정부처가 존재하지 않았던것과 달리 황립제독부가 따로 존재했다. 황립해군빌헬름 2세 치기부터 본격적인 확장이 이루어졌다. 황립제독부국가해군청이 되었으며, 5차례의 함대법이 제정되면서 영국을 이은 세계 2위의 해군력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해군의 팽창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나, 라이히가 승전하면서 영국이 최종적으로 해체가 됨으로써 황립해군은 세계 최강의 해군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라이히는 군대의 지휘체계에 대해 큰 불편을 가지게 되었다. 두차례의 전쟁 모두 라이히의 승리로 종결되었으나, 라이히가 가진 지리적 한계를 크게 느끼게 했다. 그러한 와중 육군황립해군의 의견 충돌은 라이히가 지휘체계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1944년, 육군독일 공군전력황립공군(독일어: Kaiserliche Luftwaffe 카이저리헤 루프트바페[*])으로 독립 창설됨과 동시에 군 조직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이 실시된다. 이 개혁을 기점으로 현대적인 통합된 지휘체계를 갖춘 아르미가 탄생하고, 국가군무부가 설치돼 문민통제를 받게 된다. 이들은 평시 존재하던 군감찰관(육군)을 폐지하고 전시에 운용되던 최고사령부 체계를 각 군에 하나씩 대장군참모 휘하에 상비적으로 존재하게 하였다. 육군은 기존의 최고육군사령부(OHL)가, 황립해군의 경우 해전사령부(SKL)에서 최고해군사령부(OML)로, 황립공군최고공군사령부(OLL)가 창설되었다. 각 최고사령부는 중장에서 야전원수의 계급을 지닌 최고사령관을 통수권자로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라이히의 구성국들의 권력은 약화되었다. 이는 더 거대한 대전을 더 거치며 심화되었고, 현대에 이르러선 독일 육군은 사실상 통합된 군대를 가지게 되었다. 프로이센을 제외한 네 왕국들의 군대는 1944년의 육군 개혁 이후 OHL에 종속되었으며, 결국 현재에 이르러선 육군은 명목상으로만 독립된 다섯 왕국의 군대의 연합체가 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부터 헌법의 개정을 통해 육군을 통일하고 황립육군으로 개편하자는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

조직

독일의 헌법에 따라 아르미는 독일 육군(독일어: Deutsches Heer 도이체스 히어[*]), 독일 황립해군(독일어: Deutsches Kaiserliche Marine 도이체스 카이저리헤 마리네[*]), 독일 황립공군(독일어: Deutches Kaiserliche Luftwaffe 도이체스 카이저리헤 루프트바페[*])으로 구성되어있다.

지휘

Oberste Heeresleitung
최고육군사령부
OHL
Oberste Marinesleitung
최고해군사령부
OML
Oberste Luftwaffesleitung
최고공군사령부
OLL
  Vizechef des Großen Generalstabs
 대장군부참모장
Ina-Miriam Atef
이나미리암 아테프
Zentralabteilung
중앙부
6. Abteilung : Manöver
6과 : 기동
Kriegsgeschichtliche Abteilung II : Ältere Kriegsgeschichte
전쟁사 2과 : 과거전
Oberquartiermeister I.
제1참모부
2. Abteilung : Operation
2과 : 작전계획
Verkehrsabteilung
수송과
Oberquartiermeister II.
제2참모부
1. Abteilung : Indien, China
1과 : 인도, 중국
3. Abteilung : Argentinien, Südamerika
3과:아르헨티나,남아메리카
7. Abteilung : Asien
7과 : 아시아
Oberquartiermeister III.
제3참모부
5. Abteilung : Operationsstudien
5과 : 작전 연구
8. Abteilung : Kriegsakademie
8과 : 사관학교
Oberquartiermeister IV.
제4참모부
4. Abteilung : Pazifik
4과 : 태평양
9. Abteilung : Europa, Nordamerika
9과 : 유럽, 북아메리카
10. Abteilung : Afrika
10과 : 아프리카
Oberquartiermeister V.
제5참모부
Kreigsgeschichtliche Abteilung I : Neuere Kriege
전쟁사 1과 : 최근 전쟁
Informationsabteilung
정보과

아르미는 대장군참모(독일어: Großer Generalstab 그로써 게네랄슈탑[*])라 불리는 일련의 참모본부체계를 지니고 있다. 대장군참모장대장군부참모장을 중심으로 5개의 참모부와 14개의 부서로 이루어져있다. 각 참모부는 참모부장(독일어: Generalquartiermeisterstab 게네랄크바어티어마이스터슈탑[*])을 중심으로 휘하에 2개에서 3개의 부서(과, 독일어: Abteilung 압타일룽[*])를 총괄한다. 대장군참모장대장군부참모장의 휘하에는 참모부를 총괄하는 중앙부(독일어: Zentralabteilung 젠트랄압타일룽[*])가 있다. 아르미의 3군을 총괄하는 최고사령부는 대장군참모장대장군부참모장과 군대와 관련된 회의를 진행하며 이들의 명령을 하달받는다.

대장군참모를 구성하는 이들은 오직 지적 능력만을 중심으로 선별된 엘리트 장교들이며, 대장군참모장은 그들 중 최고의 지적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봐도 무관하다. 대장군참모장야전원수에서 병과대장 사이의 계급을 지닌 이들이 황제에 의해 임명되며, 부참모장과 육군사령관, 해군사령관, 공군사령관야전원수에서 중장 사이의 계급을 지닌 이들이 임명되며, 참모장과 계급이 같거나 낮아야한다.

충원

독일 국가헌법에 따르면 고등 교육을 이수한 모든 라이히의 인민은 의무적으로 복무해야 하는 징병제를 시행하고 있다. 건국 당시엔 야전군 3년, 예비군인 독일 국방대(독일어: Landwehr 란트베어[*])에서 4년, 이후 민병대인 국민군(독일어: Landstrum 란트슈트룸[*])에서 5년을 복무해야 했다. 1944년의 군 개혁을 통해 야전군 2년, 국방대 5년으로 조정되었고, 이후 제3차 세계 대전에 잠시 3년-4년으로 회귀하였으나, 종전 이후엔 야전군 1년, 국방대 6년으로 조정되었다. 52혁명 이후 민정에서 이루어진 군 개혁에선 통상적으로 남성만 징병하던 것을 여성으로 확대함으로써 현재까지 그 기준은 남성에 비해 높으나 여군 또한 징병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징병 기준이 높으며, 고등 교육 미이수, 자신의 신념 혹은 ㅡ165cm 미만, 24세 이상을 포함한ㅡ신체 능력 미달에도 불구하고 복무하고자 하는 자들에 한 해 병역대체근무(독일어: Zivildienst 치필딘스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아르미의 장교는 라이히의 높은 교육 수준을 바탕으로 4년의 사관생도 교육을 통해 만들어진다. 사관생도들은 장교 수업 이전 15개월의 군복무를 통해 장교로써의 자질을 평가받는 동시에 일반 현역병을 경험하게 하였다. 이후 지적 능력 평가를 위한 필기 시험을 통과하고 10개월 동안 전술, 무기운용, 공병운용 등 여러 과목을 교육 받는다. 다시금 필기 시험을 치룬 사관생도는 준위로써 2년 간 병과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동시에 연대의 모든 장교들이 참석하여 적합성을 평가한 이후 최종 장교시험을 거쳐 최종적으로 임관된다. 임관된 사관생도는 사령부의 동의를 거쳐 소위로써 25년 간 복무하게 된다. 한스 폰 젝트의 계획에 따른 라이히의 장교는 라이히의 높은 보통 교육 수준을 바탕으로 그 이상의 교육 과정을 통한 선출을 통해 질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소수 정예를 지향하다시피한 고난의도의 시험과 긴 교육 기간으로 인해 장교 양성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는 징병제로 인해 거대한 군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아르미에 있어서 만성적인 장교 부족에 다다르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럼에도 국가군무부대장군참모는 그로 인한 질적 우수를 위해 현재까지 한스 폰 젝트의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장교로 임관한 이후에도 라이히의 장교들은 지속적인 시험을 응시해야했다. 수일 동안 치뤄지는 시험에서 장교들은 모의전을 통해 군사적 능력을 평가받았으며, 그 외 체력 테스트를 거쳤다. 시험을 통과한 장교들은 고위 계급으로 올라갈 수 있는 일반참모 교육을 이수할 수 있었다. 일반참모 교육의 첫번째 단계는 평시임무를 수행하면서 매일 반차를 통해 전술 및 군사과학에 대해 교육 받았다. 두번째 단계는 6개월 이후 시작되어 1년 동안 계속되었다. 두번째 단계에서 장교들은 역사, 정치과학 등 일반적인 과목을 공부하였다. 초기 2년 동안 교육은 전장을 통제할 수 있는 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창의적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했다. 2년의 교육을 수료한 이들 중 소수는 1년 동안 참모로 배치되어 실질적인 경험과 훈련을 거쳤다. 이후에는 국가군무부에 4년 간 배치되어 마지막 교육과 참모겸험을 쌓았다. 이러한 일반참모 교육을 거친 이들은 참모장교로써 자격을 얻는다. 여기에 더해 우수한 일부는 일반 대학에서 1년 간 기술적인 교육을 받아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군비

산업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