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 | 랏세이 · 니류세이키 · 카미카이카미노카 |
정치 | 지사공관 · 자치의사장 · 정치 전반 · 지사 · 내각 · 정당 · 자치의회 · 행정조직 · 공기업 · 정치가문 |
군사 | 군사 전반 · 정군(편성 · 계급) · 주둔 연방군 · 군복 · 군사대학 · 방위총감 · 주둔미군 |
사법 · 치안 | 사법 전반 · 재판소 · 시경(계급) · 연방경찰 · 경시총감 |
시대 | 역사 전반 · 7국시대 · 고토시대 · 일제치하시대 · 미군정치하 · 국가주의시대 · 완전자치시대 |
정권 | 시치마치 · 시치슈 · 도라이카 · 슈치조쿠 |
경제 | 경제 전반 · 경제사 · 죠메이 엔 · 랏세이증권거래소 · 재벌 · 대기업 · 취업 · 동중국해 자원개발 · 건설업 · 간척사업 |
지리 | 세이바츠반도 · 랏세이 분지 · 신세이도 · 미나쥬시마 · 행정구역 · 구동가 |
사회 | 사회 전반 · 죠메이인(도진인 · 반도인) · 도래일본인 · 종교 · 성씨 · 주거 · 주소 · 공휴일 · 차량번호판 · 죠메이벤 |
교육 | 교육 전반 · 학제 ·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대학 입시 · 대학입학기준시험 · 고등학교 목록 · 고등학교 서열화 · 고등학교 입시 · 전문대학 · 수재학교 · 전문학교 · 기술학교 · 직업병행학교 · 교과목(국어 · 수학 · 영어 · 사회 · 과학 · 외어 · 예체 · 생활) · 총고등학생회 · 총고등학생회장 |
교통 | 교통 전반 · 고속도로 · 철도 · 도시철도 · 랏세이메트로 · 버스 · BRT · 랏세이BRT · 랏세이국제공항 · 항만 · 차량번호판 |
언론 | 랏세이 방송 · 지역신문 · 지역잡지 · 언론인 가문 |
여가 | 스포츠 · 영화관 · 스타디움 · 공공도서관 · 박물관 · 기타문화시설 · |
음식 | 음식 전반(급식) · 전통음식 · 요식업 · 프랜차이즈 · 배달업 |
문화사업 | 애니메이션 · 게임 · 만화 · 예술교육 · |
기타 | 문화 전반 · 호칭 · 교복 · 관광 · 관광버스 · 세계유산 · 랏세이타워 · 신류성 · 야천성 · 노래방 |
기타 | 시간대 · 에너지 발전 · 여권 · 비자 · 의료 · 토지구분등급 · 랏세이건축물등급 |
ᐳ 1 개요ᐯ 1 개요
죠메이 연방의 랏세이정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궤도 사업자. 전신은 랏세이정의 공공교통국 산하 도시철도 부문으로, 2020년 4월 1일부터 민영화되어 이전에 랏세이 공공교통국과 랏세이메트로, 오라철도주식회사가 운영했던 랏세이정 일대의 도시철도 전반을 양도받아 운영한다. 민영화라고 하지만 70% 이상의 지분을 랏세이정에서 가지고 있다. 사업규모는 죠메이 연방 전체를 담당하는 죠메이철도주식회사와 거의 비슷한 정도로 연방에서 1, 2위를 다투는 대형 사철이다.
랏세이는 도시철도 시스템이 연방에서 최고 수준으로 발달되어 있어 랏세이에서 지하철만 이용하더라도 도심지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격자형 철도망을 갖추고 있고 2022년 기준 3개의 순환선이 운영되고 있다. 궤도는 모노레일과 노면전차를 제외한 LRT와 중전철은 모두 표준궤로 부설되었고, 전 구간에 걸쳐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ᐳ 2 상징ᐯ 2 상징
![]() |
변경 전 랏세이메트로 로고 |
![]() |
변경 전 랏세이 BRT 로고 |
![]() |
랏세이메트로 주식회사 로고 (2022 - ) |
![]() |
도시철도 부문 로고 (2022 - ) |
![]() |
BRT 부문 로고 (2022 - ) |
ᐳ 3 노선ᐯ 3 노선
7개의 지하철(중전철), 4개의 노면전차 기반 LRT, 각각 1개의 노면전차, 모노레일, 광역철도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5개의 BRT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방사형 노선망 체계인 도쿄 지하철이나 서울 지하철과는 다르게, 베이징 지하철이나 상하이 지하철, 오사카 지하철과 흡사한 격자형 노선망 체계의 형태를 띄고 있다. 이러한 체계는 행정 주도로 장기간에 걸쳐 면밀히 계획, 설계하여 지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승강장이 같은 지하거나 지상이거나 고가면 대부분 개념환승이지만, 지하에서 지상으로 이동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대부분의 지하철 승강장 깊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상당수의 계단을 오르내려야 한다.
민영화 이후 새 안내표지 체계부터는 역번호 기반 안내를 적극 실시하고 있다. 역번호는 노선기호+두 자리 숫자로 이루어지며(예시: M16 ), 숫자는 연장의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11부터 시작한다.
![]() | |||||||||
번호 | 노선명 | 기호 | 색상 | 색상이미지 | 개통년도 | 분류 | 역수 | 기점/종점 | |
1 | 센류미즈선 | S | 비비드 마룬 |
랏세이의 혈관 | 1999년 | 지하철 | 38 | ( - ) | |
2 | 류지공항선 | R | 프레쉬 오렌지 |
랏세이의 땅 | 2001년 | 지하철 | 52 | ( - ) | |
3 | 이와나기사선 | I | 다크씨 그린 |
랏세이의 산 | 2002년 | 지하철 | 24 | ( - ) | |
4 | 키타쇼쿠몬선 | K | 라이트 스틸블루 |
랏세이의 파도 | 2004년 | 지하철 | 30 | ( - ) | |
5 | 미나미야선 | M | 카키 옐로우 |
랏세이의 부 | 2003년 | 지하철 | 26 | ( - ) | |
6 | 토카네선 | T | 클래식 시에나 |
랏세이의 전통 | 2007년 | 노면전차 | 20 | ( - ) | |
7 | 쇼야헨선 | Y | 다크 그레이 |
랏세이의 밤 | 2009년 | 고가 과좌식 모노레일 | 27 | ( - ) | |
8 | 오라선 (본선) | O | 미디움 오퀴드 |
랏세이의 추억 | 2013년 | 지하철 | 19 | ( - ) | |
9 | 아카기선 | A | 토마토 레드 |
랏세이의 가을 | 2020년 | 지하철 | 32 | ( - ) | |
10 | 우치마루선 | U | 로열 블루 |
랏세이의 여름 | 2021년 | 고가 전용주행로 고규격 LRT |
36 | ( - ) | |
11 | 츄오선 | C | 라이트 올리브그린 |
랏세이의 봄 | 2021년 | 고가 전용주행로 고규격 LRT |
30 | ( - ) | |
12 | 소토마루선 | Z | 벌리우드 오렌지 |
랏세이의 모래 | 2022년 | 고가 전용주행로 고규격 LRT |
32 | ( - ) | |
13 | 나기사선 | N | 화이트 핑크 |
랏세이의 겨울 | 2020년 | 고가 전용주행로 고규격 LRT |
24 | ( - ) | |
- | 세이죠광역선 | J | 스프링 그린 |
자연의 푸름 | 2020년 | 광역철도 | 8 | ( - ) | |
![]() | |||||||||
번호 | 노선명 | 색상 | 색상이미지 | 개통년도 | 분류 | 기점/종점 | |||
1B | 치에노선 | 딥 핑크 | 활기 | 2005년 | 입체교차 지원 BRT | ( - ) | |||
6B | 보쿠칸선 | 딥 레드 | 활기 | 2018년 | 입체교차 지원 BRT | ( - ) | |||
7B | 신나카지마선 | 골든 로드 |
재미 | 2022년 | 전용주행로 BRT | ( - ) | |||
8B | 카이쿄선 | 딥 오렌지 |
상큼함 | 2021년 | 전용주행로 BRT | ( - ) | |||
AB | 에어포트선 | 라이트 스틸블루 |
하늘 | 2005년 | 고가전용주행로 BRT | ( - ) | |||
![]() | |||||||||
번호 | 노선명 | 기호 | 색상 | 색상이미지 | 개통년도 | 분류 | 역수 | 기점/종점 | |
1 | 키타오카선 | K | 파이어브릭 레드 |
열정과 부흥 | 2022년 | 지하철 | 17 | ( - ) | |
2 | 타카기선 | T | 올리브 그린 |
평화와 자연 | 2022년 | 지하철 | 12 | ( - ) |
ᐳ 4 운임ᐯ 4 운임
![]() | |||||||
구간 | 운영거리 (km) |
유년 ( 0 - 8 ) |
소년 ( 9 - 17 ) |
청년 ( 17 - 34 ) |
장년 ( 35 - 49 ) |
중년 ( 50 - 64 ) |
노년 ( 65 - ) |
1 구간 | 0 - 6 | 80 ¥ | 100 ¥ | 135 ¥ | 190 ¥ | 220 ¥ | 190 ¥ |
2 구간 | 6 - 13 | 105 ¥ | 130 ¥ | 175 ¥ | 270 ¥ | 300 ¥ | 270 ¥ |
3 구간 | 13 - 27 | 135 ¥ | 170 ¥ | 230 ¥ | 350 ¥ | 300 ¥ | |
4 구간 | 27 - 40 | 170 ¥ | 220 ¥ | 300 ¥ | 450 ¥ | 350 ¥ | |
5 구간 | 40 - | 190 ¥ | 290 ¥ | 390 ¥ | 500 ¥ | 390 ¥ | |
월간 정기권 | 2400 ¥ | 3100 ¥ | 4100 ¥ | 7600 ¥ | 5400 ¥ | ||
![]() ![]() | |||||||
구간 | 운영거리 (km) |
유년 ( 0 - 8 ) |
소년 ( 9 - 17 ) |
청년 ( 17 - 34 ) |
장년 ( 35 - 49 ) |
중년 ( 50 - 64 ) |
노년 ( 65 - ) |
단일 | 110 ¥ | 220 ¥ | 150 ¥ | ||||
![]() | |||||||
구간 | 운영거리 (km) |
유년 ( 0 - 8 ) |
소년 ( 9 - 17 ) |
청년 ( 17 - 34 ) |
장년 ( 35 - 49 ) |
중년 ( 50 - 64 ) |
노년 ( 65 - ) |
단일 | 130 ¥ | 160 ¥ | 220 ¥ | 300 ¥ | 220 ¥ | ||
![]() | |||||||
구간 | 운영거리 (km) |
유년 ( 0 - 8 ) |
소년 ( 9 - 17 ) |
청년 ( 17 - 34 ) |
장년 ( 35 - 49 ) |
중년 ( 50 - 64 ) |
노년 ( 65 - ) |
1 구간 | 0 - 13 | 100 ¥ | 125 ¥ | 150 ¥ | 220 ¥ | 250 ¥ | 170 ¥ |
2 구간 | 13 - | 150 ¥ | 170 ¥ | 190 ¥ | 270 ¥ | 200 ¥ | |
![]() | |||||||
구간 | 운영거리 (km) |
유년 ( 0 - 8 ) |
소년 ( 9 - 17 ) |
청년 ( 17 - 34 ) |
장년 ( 35 - 49 ) |
중년 ( 50 - 64 ) |
노년 ( 65 - ) |
단일 | 110 ¥ | 130 ¥ | 150 ¥ | 190 ¥ | 210 ¥ | 170 ¥ |
비교적 비싼 랏세이메트로의 운임은 구간, 연령별로 따로 지정되어 있는데, 높은 교통카드 보급률로 어느 정도 편하게 이용하는 것 같다. 복잡한 운임 계산 때문에 지금까지 역내에서 일회용 교통카드를 발급해줬지만,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아서 2021년 개통한 노선은 이미 일회용 QR코드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나머지 노선도 곧 전환해서 5년 안에 일회용 QR코드 발급을 전 노선에서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환승운임은 환승 전과 후의 운임을 비교하여 높은 운임을 지불하는 형태이다. 메트로에서 월간 정기권도 구매할 수 있는데, 이건 랏세이메트로가 운영하는 전 구간에서 이용가능하다.
ᐳ 5 차량ᐯ 5 차량
ᐳ 6 둘러보기ᐯ 6 둘러보기
지하철 · 트램 · 모노레일 · LRT · 광역전철 | ||
![]() 洗霊水線
센류미즈선 |
![]() 柳児空港線
류지공항선 |
![]() 巌渚線
이와나기사선 |
![]() 北贖門線
키타쇼쿠몬선 |
![]() 南ヤ線
미나미야선 |
![]() 到金線
토카네선 |
![]() 昭夜片線
쇼야헨선 |
![]() 和羅線
오라선 |
![]() 赤木線
아카기선 |
![]() 内丸線
우치마루선 |
![]() 中央線
츄오선 |
![]() 外丸線
소토마루선 |
![]() 渚線
나기사선 |
![]() 星城広域線
세이죠광역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