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영산역 Wolpyeong-Yeongsan Station | 月平永山驛 | |||
---|---|---|---|
고속열차 노선 보기 | |||
영산역 Yeongsan Station | 永山驛 | |||
일반열차 노선 보기 | |||
주소 | |||
월평영산역 | |||
화정남도 영산시 북방읍 소망로 100 (아산리 364-4) | |||
영산역 | |||
화정남도 영산시 북방읍 소망로 90 (아산리 268) | |||
역 코드 | |||
월평영산역 | |||
현월철도공사 | 545 | ||
영산역 | |||
현월철도공사 | 560 | ||
관리역 등급 | |||
월평영산역 | 관리역 / 1급 (현월철도공사 덕전화남본부) | ||
영산역 | 보통역 / 3급 (현월철도공사 덕전화남본부) | ||
운영기관 | |||
월평영산역 | |||
영남고속선 | 현월철도공사 | ||
평남고속선 | |||
영산역 | |||
진항선 | 현월철도공사 | ||
개업일 | |||
월평영산역 | |||
영남고속선 | 2024년 3월 17일 | ||
평남고속선 | 2024년 9월 1일 | ||
![]() |
2024년 3월 17일 | ||
영산역 | |||
진항선 | 2024년 9월 21일 | ||
새마을호 | |||
무궁화호 | |||
역사 구조 | |||
월평영산역 | 지상 4층 (영남고속선/평남고속선) | ||
영산역 | 지상 2층 (진항선) | ||
승강장 구조 | |||
월평영산역 |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영남고속선/평남고속선) | ||
영산역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진항선) | ||
철도거리표 | |||
상흥 방면 광 현 ← 74.0km |
영남고속선 월평영산 |
창산 방면 오 성 28.7km → | |
기점 | 평남고속선 월평영산 |
만성리 방면 임 산 97.1km → | |
월평 방면 월 평 ← 4.5km |
진항선 영 산 |
진항 방면 매 산 4.8km → |
개요
영남고속선과 평남고속선의 월평영산역과 진항선의 철도역인 영산역이 연결되어 있기에 역 간 환승이 가능하지만 영남고속선과 평남고속선의 월평영산역의 역명코드는 317, 진항선의 영산역 318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서류상으로는 별개의 역이다.
그러나 사실상 하나의 역으로 취급되는 관계상 하나의 문서로 통합하였으며, 문서 제목은 먼저 개업한 월평영산역을 따라간다.
역 정보
역명 관련
평남고속선 분기역 지정
2024년 3월 17일 영남고속선의 개통에 따라 ESTOM이 운행을 시작하게 되고 이후 평남지역을 위한 고속철도 신설을 추진하면서 이 노선의 기점을 어디로 설정할지에 대한 논의가 갈렸다.
첫번째는 현재 건설된 것처럼 이 역을 기점으로 삼아 임산역까지 바로 연결하는 안이었고, 두번째는 덕전역 또는 덕전조차장역을 기점으로 삼는 안,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정주시가 주장했던 오성역을 기점으로 하여, 정주시를 경유하는 안이었다.
첫번째 안은 수도권과 평남지역을 보다 빠르게 연결하여 저렴한 요금과 다른 두 대안보다 월등히 높은 표정속도라는 이점을 지녔다.
두번째는 비록 소요시간은 첫번째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늘어날지언정, 덕전광역시의 수요를 잡고 영남지역과 평남지역의 교류를 보다 원할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인 오성역 분기는 정주시의 요구로 만들어진 대안이었던 만큼 다른지역에서 얻는 수혜가 거의 없다시피 했다. 정주시의 주장에 따르면 정주권에 속하는 정주시와 정원군, 그리고 인접한 운기군과 강주시의 수요를 휘어잡아 이들 모두 평남고속선 분기역의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지만 실상은 정주시에서 언급한 모든 지역에서 이용하기 불편할뿐더러 평남지역에서 평남고속선을 타는 이용객들의 입장에선 다른 노선들보다 요금을 더 비싸게 주고 타야했기 때문에 가장 만저 탈락되었다.
결국 남은 후보인 월평영산분기와 덕전분기 중 최종적으로 월평영산분기가 선정되면서 평남고속선이 월평영산역에서 분기하게 되었다.
월평영산역 고속열차 정차 비율
역 주변 정보
주거
상업
기타 편의시설
일평균 이용객
일반철도
연도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총합 | 비고 |
---|---|---|---|---|
2024년 | 726명 | 1,293명 | 2,019명 |
고속철도
연도 | ![]() |
비고 |
---|---|---|
2024년 | 28,317명 |
승강장
영남고속선·평남고속선 (월평영산역)
광현 ↑ | ||||||||||||||
ㅣ | 1 | 2 | ㅣ | ㅣ | ㅣ | ㅣ | 3 | 4 | ㅣ | |||||
↓ 임산 / ↓ 오성 |
1·2 | 영남고속선 평남고속선 신동해선 신경서선 신서라선 |
![]() |
북산·한월·하신 방면 | |
3·4 | 영남고속선 | 덕전·동북전·창산 방면 | ||
신동해선 | 덕전·동북전·신동항 방면 | |||
신경서선 | 덕전·신진월·무산 방면 | |||
평남고속선 | 임산·금성수정·영포 방면 | |||
신서라선 | 임산·금성수정·영포 방면 |
진항선 (영산역)
월평 ↑ |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 매산 |
1 | 미사용 승강장[1] | |||
2 | 진항선 | 새마을호 무궁화호 |
호성·덕천·진항 방면 | |
3 | 장택·태원·북산 방면 | |||
4 | 미사용 승강장[2] |
연계교통
시내버스
시외버스
기타
둘러보기
영남고속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
평남고속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
진항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