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말풍선 | |
---|---|
사용문서
|
|
넘겨주기
|
이동하기
|
설명
붕괴: 스타레일의 문자 메시지를 나무위키가 모방한 것을 참고하여 제작한 말풍선 틀입니다.
사용법
{{말풍선|body| {{말풍선|<me or other>|<이름>|<프로필 사진>|<내용>|border=<테두리(선택)>|bg=<배경색(선택)>|color=<글씨색(선택)>}} {{말풍선|<me or other>|<이름>|<프로필 사진>|image=<이미지>|<이미지 너비>}} {{말풍선|narration|<내용>|bg=<배경색(선택)>}} }}
- 모든 말풍선 틀은
{{말풍선|body|<여기>}}
안에 작성되어야 합니다. body 변수는 말풍선이 깔리는 기본적인 배경 레이아웃을 제공합니다. - 가장 처음 오는 변수에는 반드시
me
내가 보내는 메시지로, 화면의 우측에 표시되며 기본 배경색이 #D4BA8B으로 표시됩니다. 또는other
남이 보내는 메시지로, 화면의 좌측에 표시되며 기본 배경색이 #FFFFFF으로 표시됩니다.이 와야 합니다.- 첫 변수에
narration
이 왔다면, 누가 보내는 메시지도 아닌 화면 가운데에 내레이션처럼 출력되는 박스를 생성합니다.
- 첫 변수에
- 두 번째 변수는 보내는 사람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이름이 출력됩니다.
- 세 번째 변수는 보내는 사람의 프로필 사진을 표시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파일:기본프사.png(
)가 출력됩니다. 틀 내에서 이미지의 모서리를 자동으로 둥글게 처리하므로 너비와 높이가 같은 1:1 정사각형 이미지로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네 번째 변수는 본격적으로 말풍선의 내용을 표시합니다. 입력한 텍스트가 말풍선 안에 표시됩니다.
border
선택 변수는 말풍선의 테두리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두께> <형태> <색깔>
로 입력해야 합니다.bg
선택 변수는 말풍선의 배경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color
선택 변수는 말풍선 안의 글씨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일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를 보내는 말풍선을 만들고 싶다면
image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기존에 내용을 입력하던 네 번째 변수는 이미지의 너비 변수로 바뀝니다.
사용 예제
기본적인 사용법과 결과입니다. [ 문법 ]
[ 결과 ]
| ||
body 에 |type=phone 을 추가하면 레이아웃이 휴대폰처럼 바뀝니다.[ 문법 ]
[ 결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