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해의 원유관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작성예정 리스트김가진 프로필.png
- 그리고리 세묘노프 제 7,8대 국가두마 총리 > 작성준비 > 문서화
- 미하일 마트콥스키 오흐나라 국장 > 작성준비✔ > 문서화
- 박영교 제 3,8대 내각총리대신 > 작성준비✔ > 문서화
- 박규수 제 2대 의정대신 > 작성준비✔ > 문서화✔
- 알렉세이 프로클로비치 바크셰프(Алексе́й Про́клович Бакше́ев) 수상경호부장 > 작성준비 > 문서화
- 홍종우 제 270대 제주 목사 겸 제 18대 외부대신 > 작성준비 > 문서화
황궐친위본부
| |||
---|---|---|---|
약칭 | 친위본부 | ||
설립일 | 1947년 1월 11일 | ||
전신 | 대한제국군 호위대 (扈衛隊) | ||
상급기관 | 대한국 경찰청 (大韓國 警察庁) | ||
정원 | 941명 | ||
링크 | 황궐친위본부 홈페이지 |
백운 애씨
후금·대청의 국성
| |||
---|---|---|---|
관향 | 요서도 동진군 남동 백운계 | ||
시조 | 애고순(愛庫順) | ||
중시조 | 애부임(愛溥任) | ||
집성촌 | 요서도 동진군 요서도 계루현 요서도 금춘현 요서도 백사현 심요남도 염만군 | ||
인구 | 미상 | ||
링크 | 백운애씨봉향종친회 백운이씨 순현친왕파 계보 |
개요
白雲 愛氏
의정부 및 의정관방총서 및 참정대신
| ||||||||||||||||||||||||||||||||||||||||||||||||||||
---|---|---|---|---|---|---|---|---|---|---|---|---|---|---|---|---|---|---|---|---|---|---|---|---|---|---|---|---|---|---|---|---|---|---|---|---|---|---|---|---|---|---|---|---|---|---|---|---|---|---|---|---|
[ 펼치기 · 접기 ]
|
의정부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의정부 議政省 | Department of the State Council | ||
---|---|---|
약칭 | 내각 (內閣 | DOSC) | |
설립일 | 1877년 3월 23일 | |
전신 | 대조선국 의정부, 요동척식사 등 | |
내각총리대신 | 안철수 | |
참정대신 | 유정복 | |
특명찬정대신 | [ 펼치기 · 접기 ]
| |
의정관방총서 | 김종인 | |
의정참의 | 누군가 | |
의정참지 | 누군가 | |
주소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
황경 한성부 성내방 육조대로 의정부청사 (皇京 漢城府 城內坊 六曺大路 議政府廳舍) | ||
상급기관 | 대한국 내각 | |
하위부국 | [ 펼치기 · 접기 ]
| |
외국 | [ 펼치기 · 접기 ]
| |
정원 | 13,801명 |
육조대로에 위치한 의정부 청사(아래)와 의정관방청사 1호관(위)의 전경[1] |
---|
궁내부 및 궁내대신
대한국궁내대신 | |
[ 펼치기 · 접기 ]
|
궁내부 宮内省 | Department of the Imperial Court | ||
---|---|---|
약칭 | MIC | |
설립일 | 1877년 7월 15일 | |
전신 |
| |
궁내대신 | 고건 | |
궁내협판 | 최달영 | |
궁내참의 | 이찬준 | |
궁내참지 | 전동준 | |
주소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
황경 한성부 성내방 경복궁 궁내부청사 (皇京 漢城府 城內坊 景福宮 宮內府廳舍) | ||
상급기관 | 대한국 대황제 | |
하위부국 | [ 펼치기 · 접기 ]
| |
외국 | 관리청 (管理庁) | |
정원 | 1,078명 |
경복궁 내부에 위치한 궁내부청사 |
---|
동시베리아 전쟁
동시베리아 전쟁 凍西伯利亞戰爭 한국어: 한소전쟁, 북방전선, 동시베리아 전쟁 | ||
---|---|---|
날짜 | 1940년 3월 30일 ~ 1945년 6월 16일 | |
장소 | 아시아 · 시베리아 · 북태평양 및 사할린 해역 | |
원인 | 2차 동아대전으로 대표되는 대한제국의 팽창정책으로 인한 국제적인 제제와 공산주의에 대한 경계심이 합쳐진 대한제국의 소련 침공 | |
교전국 | 연합국 | 추축국 |
└ |
└ └ └ └ └ └ └ └ | |
지원국 | └ |
|
지휘관 |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병력 | ||
피해 | 536,743명 전사 및 실종 1,240,000명 부상 민간인 16,000명 사망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24,425명 부상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24,425명 부상 민간인 20,000~30,000명 사망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민간인 약 1,700만 명 사망 |
680,397명 전사 및 실종 1,304,200 부상 민간인 약 550,000 ~ 1,000,000명 사망 중한전선 제외 총 1,485,397명 전사 및 실종 |
결과 | 연합국의 승리 | |
영향 | 연합군에 의한 대한제국 강제 해체 소련의 초강대국 등극 아시아 북부전선 종결 만주를 비롯한 여러 민족의 독립과 점령으로 인한 러시아 차르국 0호 체제의 종식 |
콥규어
미하일 마트콥스키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제 19대 교통부 장관 | ||||||||||||||||||||||||||||||||||
---|---|---|---|---|---|---|---|---|---|---|---|---|---|---|---|---|---|---|---|---|---|---|---|---|---|---|---|---|---|---|---|---|---|---|
러시아 차르국 제8대 공안질서수호국장 미하일 마트콥스키 Михаил Матковский|Mikhail Matkovsky | ||||||||||||||||||||||||||||||||||
본명 | 미하일 알렉세이비치 마트콥스키 Михаил Алексеевич Матковский | |||||||||||||||||||||||||||||||||
출생 | 1903년 10월 27일 | |||||||||||||||||||||||||||||||||
(現 | ||||||||||||||||||||||||||||||||||
국적 | → ![]() → | |||||||||||||||||||||||||||||||||
사망 | 1974년 6월 24일 | |||||||||||||||||||||||||||||||||
(現 중앙구치소역사관) | ||||||||||||||||||||||||||||||||||
재임 기간 | 제 6대 공안질서수호국 부국장 | |||||||||||||||||||||||||||||||||
1966년 1월 23일 ~ 1969년 1월 24일 | ||||||||||||||||||||||||||||||||||
제 19대 교통부장관 | ||||||||||||||||||||||||||||||||||
1969년 1월 25일 ~ 1971년 2월 7일 | ||||||||||||||||||||||||||||||||||
제 8대 공안질서수호국 국장 | ||||||||||||||||||||||||||||||||||
1971년 2월 6일 ~ 1973년 10월 27일 | ||||||||||||||||||||||||||||||||||
서명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러시아 차르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
젊은 시절 러시아 파시스트당 내 온건파였으며, 이후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의 측근으로서 활동하던 중 1973년 12월 24일을 기해 드바리에츠의 안전가옥에서 열린 크리스마스 연회에서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내각총리와 알렉세이 바크셰프 전 수상경호부장을 권총으로 저격해 살해한 피의 이브 사건을 일으킨 인물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이틀 후인 1973년 12월 26일 체포되어 1974년 6월 24일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미수죄로 교수형이 집행되어 생을 마감했다.
옌시산노스
옌시산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보촨 창업주 | ||||||||||||||||||||||||||||||||
---|---|---|---|---|---|---|---|---|---|---|---|---|---|---|---|---|---|---|---|---|---|---|---|---|---|---|---|---|---|---|---|---|
중화민국 제4대 행정원장 옌시산 | ||||||||||||||||||||||||||||||||
출생 | 1883년 10월 8일 | |||||||||||||||||||||||||||||||
(現 ![]() | ||||||||||||||||||||||||||||||||
사망 | 1960년 5월 23일 (향년 76세) | |||||||||||||||||||||||||||||||
![]() | ||||||||||||||||||||||||||||||||
국적 | → → ![]() | |||||||||||||||||||||||||||||||
재임 기간 | 제 1대 베이핑 국민정부 주석 | |||||||||||||||||||||||||||||||
1930년 9월 9일 ~ 1930년 11월 4일 | ||||||||||||||||||||||||||||||||
제 4대 행정원장 | ||||||||||||||||||||||||||||||||
1949년 6월 3일 ~ 1950년 3월 7일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순나라의 혁명가,중화민국의 군벌, 군인, 정치가, 기업인.
장장 50년 가까이 중화민국 산시성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인사로 군림했으며, 오늘날 산시성에 본사를 둔 염계재벌의 창업주도 옌시산이다. 이 탓에 그에게 붙은 별명이 바로 산서의 토황제. 군벌 시절부터 당대 중국의 여러 군벌들 중에서는 드물게 경제성장, 사회개혁에 적극 힘썼기 때문에 모범 장관으로 불렸고, 정계에서 은퇴하여 재계활동에 몰두한 말년에도 막대한 이득을 벌어들이는 한편 양심적인 경영정책 덕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노환으로 인해 자신의 사저인 염가대원에서 병사했다.
영교
대한제국 제 3,8대 내각총리대신 박영교 朴泳敎|Bak Yeong-gyo | |||||||||||||||||||||||
---|---|---|---|---|---|---|---|---|---|---|---|---|---|---|---|---|---|---|---|---|---|---|---|
출생 | 1849년 1월 2일 | ||||||||||||||||||||||
조선 충청도 공주목 | |||||||||||||||||||||||
사망 | 1925년 1월 14일 | ||||||||||||||||||||||
대한제국 황경 한성부 사저 (향년 76세) | |||||||||||||||||||||||
국적 | ![]() ![]() ![]() | ||||||||||||||||||||||
최종 당적 | 개화당 | ||||||||||||||||||||||
재임 기간 | 제 3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
1882년 9월 8일 ~ 1885년 9월 12일 | |||||||||||||||||||||||
제 7대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
1895년 9월 21일 ~ 1898년 2월 24일 | |||||||||||||||||||||||
[ 펼치기 · 접기 ]
|
승만이
대한국 제 30-32대 내각총리대신 이승만 李承晩|Syngman Rhee | |||||||||||||||||||||||||||||||
---|---|---|---|---|---|---|---|---|---|---|---|---|---|---|---|---|---|---|---|---|---|---|---|---|---|---|---|---|---|---|---|
출생 | 1875년 3월 26일 | ||||||||||||||||||||||||||||||
(現 | |||||||||||||||||||||||||||||||
사망 | 1965년 7월 19일 (향년 90세) | ||||||||||||||||||||||||||||||
국적 | |||||||||||||||||||||||||||||||
재임 기간 | 제 30대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
1946년 1월 14일~1947년 11월 14일 | |||||||||||||||||||||||||||||||
제 31대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
1947년 11월 15일~1949년 8월 14일 | |||||||||||||||||||||||||||||||
제 32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
1949년 8월 14일~1952년 2월 27일 | |||||||||||||||||||||||||||||||
서명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대한국의 정치인이자 총리.
만주의 국부
가진이
대한제국 제 13대 농상공부대신 | |
---|---|
대한제국 제 15대 법부대신 김가진 金嘉鎭|Ga-jin Kim | |
출생 | 1846년 2월 24일 (음력 1월 29일) |
(現 | |
사망 | 1926년 7월 4일 (향년 80세) |
국적 | |
재임 기간 | 제 13대 농상공부대신 |
1946년 1월 14일~1947년 11월 14일 | |
황경부윤 | |
1947년 11월 15일~1949년 8월 14일 | |
제 15대 법부대신 | |
1949년 8월 14일~1952년 2월 27일 | |
본관 | 신 안동 김씨 |
부모 | 아버지 김응균 어머니 ? |
학력 | 기화학당 (중퇴) |
종교 | 유교 (성리학) |
정당 | 개화당 |
지역구 | 순화 n구 |
자 | 덕경(德卿) |
호 | 동농(東農) |
의원 선수 | n (중서) |
의원 대수 | |
약력 | 대조선국 공조판서 대한제국 제 13대 농상공부대신 황경부윤 대한제국 제 15대 법부대신 중서원 의원 언문학교 초대 교장 |
개요
대한제국의 정치인.
건원문과의 인연
여담
- 1911년 1월 3일 경, 당시 황경부윤직을 지내던 중 '한불우호(韓佛友好)'를 기념하여 파리에 대한제국 황실 명의로 오얏나무 2300여 그루를 기증하였다. 파리 시 측에선 이렇게 심어진 오얏나무들이 개화하는 시기인 3월 말~4월 말이 되면 파리 오얏꽃 축제(Festival Paris fleur de prunier)를 개최하고 있으며, 해마다 80만명 정도의 방문객이 방문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일본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언어에 능했으며, 숙달도 약 2달만이 걸릴 정도로 빠르게 했다고 한다.
- 법부대신 재임기간동안 내각에 머무르던 시절, 가갸날을 공휴일로 지정하여 언문에 대한 관심을 높이자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실제로 김가진은 퇴임 이후 한글학교를 세우기도 하는 등 한글 교육의 보급에 열성적인 인물이였다.
- 1915년에는 당시 애신각라왕이였던 푸이의 한성 방문 당시 만난 적도 있었다고 하며, 푸이의 일기에 따르면 냉담한 반응이 주류를 이룬 다른 방문객들과는 달리 나름 우호적인 모습을 보였던 듯 하다.
- 유승민 전 총리가 존경하는 정치인 중 하나가 바로 김가진이라고 알려져 있다. 유승민 왈, 흠정헌법 시기에도 두각을 드러내던 의회정치의 신과도 같은 위상을 본받고 싶다고.
고천원:반천년의 종막
화서도독부
화서도독부[4] 和嶼都督府 | Hwaseo Commandary-General | |||
---|---|---|---|
도독부기 | 휘장 | ||
홍익인간 (弘益人間) | |||
성립 이전 | 붕괴 이후 | ||
남강화족특별자치구 | |||
속령 정보 | |||
애국가(愛國歌) | |||
오얏꽃, 무궁화 | |||
(治所) |
광도현 하경부(広島県 河境府) | ||
72,039km² | |||
한국어 일본어 | |||
한글, 한자, 가나 문자 | |||
유교(국체유학) (사실상 국교) 불교, 신토, 유교(성리학), 기독교 | |||
대한제국군 화서군 | |||
대한인, 일본인, 지나인, 유구인, 하이인 등 | |||
군사독재 (1951~1961) 전제군주제 • 군사독재 (1960~1987) | |||
대한제국 대황제 | |||
화서도독부 | |||
화서도독 [5] | |||
없음(실질적으론 대한제국군 대양파) | |||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 |||
성덕(1951~1987) | |||
12현 18부 군정방 | |||
대한제국 원 (₩) |
개요
화서도독부(和嶼都督府,Hwaseo Commandary-General)는 대한제국이 1951년부터 1987년까지 일본 열도의 규슈, 시고쿠 및 주고쿠 남부에 설치했던 지배기관 내지 군정부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이 승리한 후, 워싱턴 조약을 통해 일본열도의 처분권에서 대한제국이 우위를 점하게 되며 성립되었다.
상세
부호
1945년 일본제국 규슈 지방에 상륙한 뒤 점령을 완료한 대한군은 남일본군정부(南日本軍政府)를 설치하여 일대 지역을 다스렸다. 이후 1951년 경 남일본에 대해선 사실상 합병을 진행시켜도 무리가 없을 수준의 재량권이 대한제국 측에게 주어졌으나, 당시 내각총리대신직을 지내고 있던 김규식의 의중에 따라 합병은 무르되, 사실상 직속군정을 통한 합방이나 매한가지인 체제의 성립이 결정되면 남일본군정부라고 불리던 지배기관의 명칭은 곧 화서도독부(和嶼都督府)로 불리게 되었다.
한편 화서도독부의 점령지, 혹은 그 밖인 일본국의 영토에서 거주하던 일본인들에게는 한정도(韓政洲,칸테이슈) 내지 한령지구(韓令地區,칸레이치쿠)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당시 서구권에선 흔히 남일본 사령정부(Commandary government of South Japan)정도로 불렸다.
권위주의
기업 실험기지로서 당대 대한제국의 수많은 상품시장들이 자리잡기도 했지만, 지배기간 내내 군정이 유지된 탓에 화서도독부는 잦은 반란에 시달렸다. 한편으로는 모순적인 체제 탓에 주고쿠 북부부터 이어지는 일본국 정부 내의 반한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고, 이는 치안의 악화로 이어지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역사
성립 배경
제 2차 세계대전 당시부터 김규식 내각의 대외방침은 크게 친서방, 그중에서도 친미 및 실용주의적 외교, 그리고 그 틀 안에서의 현상유지 및 패권의 확보로 귀결되고 있었다. 이에 태평양 전쟁으로 일본제국 정부가 미국과의 전쟁을 시작하자 대한제국군은 일본제국을 상대로 선전포고를 감행하였고, 4번 작계 낙일(落日)이 쓰시마에서부터 대성공을 거두는 데 성공한 한편, 한국은 미국과 일본 양국이 모두 전쟁으로 여력을 소진해가던 시점에 공격을 감행하며 결정적인 타격을 주는 한편,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규슈를 향한 상륙을 감행했다. 결국 1945년 경 일본이 항복하였고, 이후 워싱턴 조약에서는 전후 일본에 대한 재량권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당시 가장 큰 발언권을 가지게 된 것은 단연컨대 한군정을 통해 일본 지역 대부분을 관리하고, 또 근거리에서 전과를 세운 대한제국 측이였다. 하지만 미국을 위시한 서방 진영의 강대국들 측에선 대한제국이 일본의 부재를 틈타 완벽하게 태평양의 패권을 장악하는 것을 암암리에 우려하는 중이였고[6], 결국 대안으로 대하넺국 측은 일본열도의 완전한 합방 대신 분할과 지배를 택하게 되었다.
1951년, 오키나와와 구 일본령 대만 및 가라후토에 유구목,대만도독부와 고엽도독부가, 하이난 조차지,복건성과 남양군도는 각각 중국 측을 향한 반환과 미국의 편입이 이루어진 한편, 쿠릴열도는 천도라는 이름으로 대한제국령이 되며 최종적으로 구 일본의 식민지 청산은 끝을 맺었다. 이후 홋카이도와 일본 열도의 기타 지방을 비롯한 본토는 크게 두개로 분할되었으며, 하나는 기존 한군정의 방식대로 대한제국 측의 영향력이 짙게 발휘되는 화서도독부, 다른 하나는 대한제국 측의 일본통감부와 미국의 간섭을 받는 일본국 정부였다. 기획대로 정부수립이 완료된 이후 일본국 정부 측이 도독부의 지배 하에 들어간 지역에 대한 권리 포기를 선언하면서, 공식적으로 한 군정은 종료, 한성과 대한제국군의 지배를 받는 화서도독부가 출범하게 되었다.
전성기
화서도독부는 군정 치하에 들어갔지만, 기존 일본 제국 측의 인프라와 대한제국 정부의 주도에 따른 적극적인 개발정책, 그리고 폭발적인 기업 및 재벌들의 진출 탓에 막대한 시장적, 경제적 성과를 이룩할 수 있었다. 전통적으로 일본의 산업화 기반 및 항구들이 모여있던 규슈 지방이 포함되어 있었던 만큼 시작부터 높은 가능성을 보이던 도독부에서의 개발정책은 자연스럽게 한국의 자본들을 이끌었으며, 덕분에 규슈 지방은 역설적이게도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하는 결과를 맞았다.
뒤이어 1960년대부터는 군정정책이 어느정도는 완화되며 발전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고도로 발전한 황경이 네온 사인으로 가득한 빛의 도시로 변모해갔듯, 그와 마찬가지로 돈과 기술의 집중공세를 맞았던 도독부도 자연스럽게 발전한 셈이였다. 금융적인 발전과 시장으로서의 입지, 그리고 태평양을 향한 군사기지라는 특성과 군국주의적 문화가 공존하는 화서의 문화는 자연스럽게 사람들 사이에 자리잡아갔고, 이 거대한 흐름에 묶인 새로운 세대는 서서히 일본에 대한 존재를 망각하기도 하였다.
멸망
그러나 이러한 발전과 풍요 뒤에는, 모순적이기 그지없는 군정 체제의 지속과 황금만능주의에 사로잡힌 채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한 사업체들, 대한제국 정부의 기만과, 그 모든 불합리를 지켜보며 조용히, 그러나 맹렬하게 복수와 탈환의 다짐을 불태우고 있던 일본인들, 그리고 아직 형체는 남아있던 일본국 정부가 있었다. 1969년 대한제국과 미군 사이의 해양국경 문제가 벌어진 이후 대한제국과 미국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달렸고, 뒤이어 일어난 경진사태와 강북의 봄은 서서히 대한제국의 질서에 균열이 나고 있음을 증명했다.
온갖 경제위기와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화서도독부 내에서는 다시 억압적인 분위기가 강화되기 시작했고, 결국 이는 대규모 일본인 봉기와 전국적인 파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던 중 대한제국 정부 내에서는 1979년 기미정변으로 세력을 잡은 전두환 세력이 대황제에게 정치적인 숙청을 당하면서 큰 혼란에 휩싸였으며, 결국 1987년 벌어진 8.15 봉기로 이미 해외 영향력을 상실해 가던 대한제국 정부의 방관 끝에, 화서도독부는 반쯤 내전상태에 돌입했고, 끝내 도독이 도망치듯 동래로 가는 배에 몸을 싫은 후, 화서도독부는 붕괴되었다.
경제
사회
황금만능주의와 군사사회
도독부라는 특성상 군사문화가 팽배하였던 화서도독부에는 한편으로는 여러 기업의 진출정책이 정부에 의해 적극 지원되었다. 수립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진행된 시장 장악정책의 결과 화서진출정책에 조기부터 참여했던 기업들의 연간 성장률이 비대하게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으며, 한편으로는 이는 막대한 재정을 쥔 재벌들과 현지 도독부 인사들의 정경유착, 그리고 이로 인한 정무의 부패로 이어졌다. 4대 도독인 박정희가 전문 킬러에게 의문사를 당했으며, 8.15 봉기당시 도독부의 시스템이 급격하게 무너진 까닭으로는 현대 사가들 사이에서도 특히 부정부패가 주목받는다.
문화
한일동인
제 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전까진 일본제국 정부 측과 여러 우호정책을 추진했던 대한국의 사회풍조는 승전 이후에도 남아있었고, 이는 당시에 기획된 몇몇 일본과 한국간의 연계사업의 실험이 화서도독부에서 벌어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대부분의 고위층 및 장교들은 한국인으로 구성되었으나 말단 조직원 및 군대에는 일본인들의 참가도 이루어졌으며, 한편 정신적인 부문에선 기존의 국가신도를 유교 국체학으로 대체하는 과정, 신도의 교리 조작과 기존 시정촌을 비롯한 하위 행정구역의 군정방으로의 개편 등 흡수적인 정책 또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정책들은 크게 통틀어 한일동인(韓日同仁) 사상에 기반하였다고 정의되었다.
기타
대명천지
틀:대명천지 본 세계관은 정식 세계관이 아니며, 오로지 필자의 개인적인 망상과 사심들을 집합해둔 창작 세계관임을 알립니다.
일본민국 대통령
![]() 일본민국 대통령 |
---|
[ 펼치기 · 접기 ]
|
김종인 극장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
---|---|---|---|---|---|---|---|---|---|---|---|---|---|---|---|---|---|---|---|---|---|---|---|---|---|---|---|---|---|---|---|---|---|---|---|---|---|---|---|---|---|---|---|---|---|---|---|---|---|---|---|---|---|---|---|---|---|---|---|---|---|---|---|---|---|---|---|---|---|---|---|---|---|---|---|---|---|---|---|---|---|---|---|---|---|---|---|---|---|---|---|---|---|---|---|---|---|---|---|---|---|---|---|---|---|---|---|---|---|---|---|---|---|---|---|---|---|---|---|---|---|---|---|---|---|---|---|---|---|---|---|---|---|---|---|---|---|---|---|---|---|---|---|---|---|---|---|---|---|---|---|---|---|---|---|---|---|---|---|---|---|---|---|---|---|---|---|---|---|---|---|---|---|---|---|---|---|---|---|---|---|---|---|---|---|---|---|---|---|---|---|---|---|---|---|---|---|---|---|---|---|---|
[ 펼치기 · 접기 ]
|
김종인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국 제 87-89대 내각총리대신 김종인 金鍾仁 | Kim Chong-in | |
---|---|
출생 | 1940년 7월 11일 |
경기도 시흥군 동면 신림리 | |
재임기간 | 제87대 내각총리대신 |
2001년 4월 25일 ~ 2003년 10월 18일 | |
제88대 내각총리대신 | |
2003년 10월 19일 ~ 2005년 9월 24일 | |
제89대 내각총리대신 | |
2005년 9월 25일 ~ 2007년 6월 24일 | |
서명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대한국의 정치인. 제87~89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1940년 7월 11일생.
대한국 내각총리대신치고는 상당히 긴 기간인 5년 5개월을 재임했으며, 그렇게 4년 11개월의 장준하 전 총리를 제치고 전후 최장기 재임 4위 기록을 세웠었다. 의원내각제인 대한국에서 연임을 포함해 총리 임기를 다 채우고 나가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당장 단임인 일본국 국무총리대신의 임기 5년보다 더 길게 재임하였고, 그 재임 기간 중 3년 8개월(2003년 ~ 2006년)이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국무총리대신과 겹친다. 게다가 굉장히 독특한 성격과 말투를 유지해서 일본인에게 여러 의미로 기억되는 대한 총리가 되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오랜 재임기간 때문에 그에 비례해 악명을 널리 떨친 측면도 있다.[8]
일본에서 김종인의 이미지는 지속적인 장충단 참배나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 대마도 문제 등으로 인해 극우 이미지가 강하게 박히긴 했지만, 사실 후술되어있듯 김종인 담화를 발표하며 이회창 담화의 계승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고 스가모 형무소를 방문해 사죄의 목소리를 전하는 등 일본에 우호적인 모습 역시 제법 보였다.[9]
어찌 됐든 이 사람만큼 일본인들에게 혐오를 받은 대한 총리는 당시 기준으로는 거의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한창 반한 감정이 고조되던 시기엔 '김종인 가지고 놀기' 등의 플래시 게임이 일본 국내에서 유행하기도 했었으며, 같은 이유로 일륜의 시마즈 요시히로(게임)에서 적으로 나오거나,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 '대마도 지키기'에서 최종보스로 나오는 등, 그런데 세월이 약인지 김종인의 악명도 퇴임 후 17년이 지난 지금은 많이 바랬으며, 퇴임 이후 그의 정치적 제자이기도 했던 김무성이 2013년 재집권 시작부터 막 나갈 기질을 보이면서 김종인을 능가하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아예 "김종인 시절 대한이 그나마 나았다"고 하소연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김종인이 과거사 망언은 많았지만 현대사는 웬만하면 건드리지 않았는데, 김무성 정권 들어선 현대사의 대명사인 일한월드컵 개최 사실도 삭제한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키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했으니. 또 2003년 유사법제 3법 통과 등 군사대국화 기도로 논란이 있었으나, 김무성만큼은 아니었다.
이 외에도 정치인 장제원, 이명박이나 오세훈[10] , 전광훈, 그리고 김윤주 등 다수가 미친 존재감을 보이면서 일본에서 김종인의 존재감은 점점 묻히고 있다. 도리어 "이런 인간들을 거느리고도 결정적인 선을 넘지 않았던 김종인은 의외로 정상인이 아니었을까"라는 재평가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사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충장단 참배나 대마도 문제를 제외하곤 상식 선에 들었던 인물이었다는 평도 있다. 실제로 이회창 담화를 그대로 계승한 김종인 담화를 발표하고, 스가모 형무소에도 갔다오는 등 대한제국의 만행에 대해서 어느정도 참회하는 모습도 보였다. 2004년에는 일본을 안보 우호국격인 백색 국가에 지정해 신뢰할 만한 나라라는 제스처를 보이기도 했다. 임기 초반엔 국립한성 현충원을 국립 추도시설로 쓰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으나, 충장단의 상징성을 강조하는 대한 우익들의 성화 때문에 무위로 끝난 적도 있었다. 심지어 최초의 북한 정상회담도 이시기(2002, 2004)에 이뤄졌다. 이러한 재평가는 청출어람을 이룬 그의 후임자의 탓도 상당하다.
이런 이면엔 대외정책 문제는 미한동맹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함으로써 국내 문제에 집중하겠다는 의도 또한 작용했을 것이다. 김종인은 특별한 외교적 지향이나 대외정책에 대한 정견이 없었으며, 내정 및 경제개혁이 임기 내내 추구한 단일 목표였다. 그 밖의 다른 분야 정책들은 그 달성을 위해 희생되어도 좋다는 것이 내각의 일관된 기조였다. 김종인이 보여온 이러한 혼란스러운 모습은 이에 기반한 것일지도 모른다.
생애
젊은 시절
총리가 되다
총리 시절
두 차례의 북한정상회담
주변국들과의 마찰과 김종인 담화
김종인 극단
퇴임 후: 정치적 제자와의 충돌
성격
어록
가족 관계
선거 이력
가정사
여담
둘러보기
문화(?)
대한국
- 환도퇴마전
- 역시 대한 해군은 강해
- DCH(Digital Camera Hosting,디지털 카메라 호스팅)
- 그대들, 어떻게 살 것인가
- 창극
- JO광JO의 기묘한 어전
- 대자당 세도정치
- 대정낭만
- 잃어버린 10년
- 소금섬(신의도)
일본민국
- 새마을운동
- 6.25 전쟁
- 5Cinside(5 Chan Inside)
- 카와토크리쳐
- 뉴속 마이너 갤러리
- 한국을 공격한다
- 교토민국
- 교토의 봄
- 2014년 하시마 섬 탄광노예 사건
일본 왕국
- 선군정치
- 주체적 존황사상
- 2024년 일본 왕국 오물풍선 투하
- 신주결사호지정신
- 아즈마야마노미야 혈통
- 병아리 계획
코드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4" style="width: 100%; color:#FFDD11;background:#16124a; font-size: 9pt" | 분충개사찬의수경공신 (2등)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 colspan="1" ||-
미주국
[ 펼치기 · 접기 ]
|
북아메리카 태평양국 北美洲太平洋國 NordAmerika Pazifischerstaat North American Pacific State | ||||||||||||||||||||||||||||||||||||||
---|---|---|---|---|---|---|---|---|---|---|---|---|---|---|---|---|---|---|---|---|---|---|---|---|---|---|---|---|---|---|---|---|---|---|---|---|---|---|
국기 | 국장 | |||||||||||||||||||||||||||||||||||||
대동진충 大同盡忠 (1954-1968) 부국흥복 만세미덕 富國興福 萬世美德 (1968-현재) | ||||||||||||||||||||||||||||||||||||||
상징 | ||||||||||||||||||||||||||||||||||||||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주한대사관·총영사관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npam, .am.np, .美国 | ||||||||||||||||||||||||||||||||||||||
국가 코드 | ||||||||||||||||||||||||||||||||||||||
650, NPAM, AM-NP | ||||||||||||||||||||||||||||||||||||||
세계전화코드 | ||||||||||||||||||||||||||||||||||||||
+78 | ||||||||||||||||||||||||||||||||||||||
차량 통행 방향 | ||||||||||||||||||||||||||||||||||||||
오른쪽 | ||||||||||||||||||||||||||||||||||||||
개요
8K로 촬영된 북아메리카 태평양국의 모습 |
---|
NordAmerika Pazifischerstaat
북아메리카 태평양국(北美洲太平洋國, Nord Amerika Pazifischerstaat, North American Pacific State ), 또는 북태평양국(北美洲太國, Nord Pazifischer Staat, NorthPacific State)은 북아메리카 대륙 서부와 알래스카에 걸쳐 위치한 연방 공화국이다. 1776년 7월 4일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대략 230여년 간 북아메리카 대륙 동부를 포함한 통일 국가로서 존재해 왔으나, 1949년 미합중국 정부가 추축국에게 항복을 선언한 이후, 워싱턴 조약의 체결을 통해 미 서부와 중부, 동부의 각 추축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독립국가화가 결정되면서 대한제국 측의 주도로 성립되었다.
총 9개의 성과 5개의 부, 6,742개의 군과 1,354개의 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연합왕국령 캐나다, 남쪽으로는 멕시코 제 3제국과 접해있고, 동쪽으로는 록키산맥 정부, 대게르만국의 노르트메리카 국가판무관부등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서쪽의 태평양으로는 대한제국령 주가특별도 및 북편도독부와 해역을 맡대고 있고, 극지방에 속하는 아랍서가 성(구 알래스카 주)과는 육로로 이어져 있다. 최대 도시는 구금산부다.
건국의 초기부터 한성이 배후에 있었던 만큼 공영권 내 위치는 속방국, 즉 정규 회원국에도 포함되지 않는 대한제국의 자치국이다. 다만 자치국인 관계로 국성을 전주 이씨로 하고 한국에서 파견된 한국인 고문들의 지시에 따라서 내정을 운영하지만, 연호나 도독부 등 제국의 직할령에 해당되는 지역들의 관제를 정비하지는 않고 있다. 북아메리카 태평양국 정부는 대통령제와 수반우위제를 체택해 대통령제를 실행하되 수반인 북태평양국 정부총리가 많은 권한을 쥐고 있고, 이 외에도 대동아공영권의 핵심구성국[14]으로서 대한제국 내지에서 주기적으로 파견되는 미주 통감, 그리고 참,민의원과 국가평리원이 삼권의 분립을 이룬다.
탕탕탕! 탕탕당당탕탕!! 탕탕탕평책.
|
개요
개요
대한제국은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우둥불
대한국 大韓國 | Korea | ||||||||||||||||||||||||||||||||||||||||||||||||||||||
---|---|---|---|---|---|---|---|---|---|---|---|---|---|---|---|---|---|---|---|---|---|---|---|---|---|---|---|---|---|---|---|---|---|---|---|---|---|---|---|---|---|---|---|---|---|---|---|---|---|---|---|---|---|---|
![]() | ||||||||||||||||||||||||||||||||||||||||||||||||||||||
국기 | 국장 | |||||||||||||||||||||||||||||||||||||||||||||||||||||
광명천지 光明天地 | ||||||||||||||||||||||||||||||||||||||||||||||||||||||
상징 | ||||||||||||||||||||||||||||||||||||||||||||||||||||||
애국가 | ||||||||||||||||||||||||||||||||||||||||||||||||||||||
무궁화,오얏꽃 | ||||||||||||||||||||||||||||||||||||||||||||||||||||||
참매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kr, .한국 | ||||||||||||||||||||||||||||||||||||||||||||||||||||||
국가코드 | ||||||||||||||||||||||||||||||||||||||||||||||||||||||
408, KOR | ||||||||||||||||||||||||||||||||||||||||||||||||||||||
국제전화 코드 | ||||||||||||||||||||||||||||||||||||||||||||||||||||||
+82 | ||||||||||||||||||||||||||||||||||||||||||||||||||||||
![]() |
개요
대한국(大韓國), 통칭 대한(大韓), 한국(韓國)은 동아시아의 입헌군주국이다. 북쪽으로는 중화민국과 러시아, 남쪽 해양으로는 일본과 인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청해와도 인접하는 대한반도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약 9천만명으로 세계 18위에 달하며,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은 점, 산지 면적이 국토의 70퍼센트를 차지하는 점 탓에 인구 밀도가 높은 편이다. 특히 한성부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인구의 약 40%가 몰려있는 세계 최대의 대도시권 중 하나다.
대한국은 정치적으로는 양원제 의원내각제와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한국 헌법 1조에 의거하여 대황제를 한국인의 정신적인 군주로서 상징적인 국가원수로 하되, 실권은 정부수반인 내각리대신에게 있는 정치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의결기관인 국회는 크게 비례대표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하는 참의원(상원)과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민의원(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화의 희구에 대한 조항이 헌법에 존재하는 관계로, 정식 군대가 아닌 경비사라는 준군사조직을 통해서만 기본적인 경비권을 행사할 수 있다.
1871년 개항 이후 다사다난한 근대사를 대한제국 시대동안 보냈으며, 특히 1940년대부터 통감부가 설치된 이래 일본의 국권침탈이 심각해지자 1944년 내전을 통해 일본의 세력을 축출한 뒤 신속히 연합국에게 항복했다. 전후 대한반도는 연합군의 점령을 받았고, 국권 회복 이후 미국의 대(對) 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박정희 내각 시기 향촌진흥운동등 고도의 발전을 거듭한 한편 마셜 플랜의 지원하에 막강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대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지역강대국이다.한국 원은 대한국의 높은 경제 수준과 안전성, 거대한 자산 규모 덕에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기도 하는 신뢰성이 높은 통화이며, 이 때문에 원화는 미국 달러, 유로, 엔화, 위안, 영국 파운드와 함께 무역통화로 꼽힌다. 대한의 GDP는 프랑스에 이은 세계 8위이며, 금 보유고 세계 5위, 주식시장 규모 세계 7위, 대외순자산 규모 세계 3위 및 국제통화기금(IMF) 투표권이 세계5위를 차지하는 등 수준높은 경제력을 자랑한다. 비서양권 국가 중 일본과 더불어 유일한 G7 회원국이기도 하다. 광복 대한제국 국기.svg
황국
대한제국 大韓帝國 | Empire of Korea | |||||||||||||||||||||||||||||||
---|---|---|---|---|---|---|---|---|---|---|---|---|---|---|---|---|---|---|---|---|---|---|---|---|---|---|---|---|---|---|---|
![]() | |||||||||||||||||||||||||||||||
국기 | 국장 | ||||||||||||||||||||||||||||||
광명천지[18] 光明天地 (1894-1945) | |||||||||||||||||||||||||||||||
■ 본토 | ■ 식민지 | |||||||||||||||||||||||||||||||
1894년 10월 12일 ~ 1945년 8월 15일 | |||||||||||||||||||||||||||||||
칭제건원 이전 | 태평양 전쟁 이후 | ||||||||||||||||||||||||||||||
상징 | |||||||||||||||||||||||||||||||
애국가 | |||||||||||||||||||||||||||||||
오얏꽃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 ↑ 양층 모두 의정부와 의정관방에서만 사용한다. 다만 의정관방총판의 집무실은 총리관저에 위치해 있다.
- ↑ 서부전선의 당사국이기도 했던 만큼 패망 이전까지 지원을 유지했다.
- ↑ 전쟁 초반에는 일소불가침조약에 의거하여 직접적인 지원을 하지는 않았으나, 1942년부터 북태평양 일대에서 대한제국 해군을 끌어들일 목적으로서 일본령 코리히치(캄차카 반도)에 주둔한 일본군을 중심으로 마가단에서의 극동합작을 통한 지원을 유치.
- ↑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설치된 대한군의 남일본행정부의 업무를 귀속시키는 방식으로 이양받았다.
- ↑ 군공일화(軍公一和)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화서도독부에서 대한군, 그중에서도 대한해군이 가지는 영향력은 막강했고, 그렇기에 지배기간동안 화서도독부의 군인 업무는 고도로 세밀해지는 수준에 이르렀다.
- ↑ 김규식 내각의 친서방 기조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의한 태평양의 안보위협을 받은 경험이 있던 미국에게 있어서 특히 이는 더 민감한 문제에 해당했다.
- ↑ 現 재무부 참판
- ↑ 김무성이 일본인들에게 오랫동안 악명을 끼친 것 또한 오랜 집권기간 탓이다. 물론 망언이나 수위나 극우 성향부터가 김종인을 따위로 만들어버릴 수준이기도 했지만.
- ↑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극우 이미지가 강하게 박힌김무성또한 "혐일시위하는 놈들은 같은 대한인으로서 부끄럽다"라고 말하는 등 마냥 극우적인 모습만 보이지는 않았다.
- ↑ 제 45대 한성부윤으로, 김무성 집권기 한성부 부청을 우경화시킨 인물로 알려져 있다.
- ↑ 샌프란시스코, 알래스카 준주, 로스앤젤리스 등에 대한제국군이 상륙한 뒤 각 지역 주지사들로부터 항복을 받아내거나 무력을 동원한 점령을 완료했다.
- ↑ Prefrecture of Gumesan
- ↑ 관습상 척관법 혼용. 다만 민간에서는 아직 미국단위계가 자주 사용된다.
- ↑ 회원국의 직책이 아닌 공영권 내 대한의 속방 중 중요한 위치에 있는 국가들을 칭한다. 번국으로 지정된 비율빈 공화국 등이 대표적.
- ↑ 2024년 기준
- ↑ 8.65점
- ↑ 영어로는 House (of) Yi.
- ↑ '온 세상에 밝은 빛을 내리리라'라는 뜻의 표어다. 건원 이전 대조선국 시절에는 홍범의 14조라는 표어를 사용했다.
- ↑ 대한제국 강북 지방
- ↑ 외지, 본토를 포함한 최대 강역이다.
- ↑ 만주 가한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