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사회당 관련 둘러보기 틀 |
[ 펼치기 · 접기 ] |
![]() | |
Parti Socialiste Français | |
PS | |
Revenons tous à la lutte 다 같이 투쟁으로 돌아가자 | |
1896년 5월 1일 (프랑스 사회주의자 연합) 1930년 1월 6일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 |
1973년 1월 1일 (프랑스 사회당) | |
프랑스 노동당, 프랑스 민족해방 노동자당 | |
프랑스 일드 프랑스 파리 제13구역 99 뤼 몰리에르 | |
민주사회주의 좌익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 환경주의 분파 :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공화주의 | |
중도좌파 - 좌익 | |
조르주 블루아 / 3선 (39-41대) | |
자크 멜리에르 / 4선 (37, 39-41대) | |
피에르 쿠스토 / 초선 (40대) | |
프랑수아 자흐네딘 / 재선 (40-41대) | |
42석 / 145석 (28.9%) | |
158석 / 500석 (31.6%) | |
7석 / 21석 (33.3%) | |
63석 / 159석 (39.2%) | |
63석 / 300석 (21.0%) | |
44석 / 121석 (36.4%) | |
분홍 (#FF7FD0) | |
사회당 당가 | |
인도차이나 사회주의 노동자당, 세네갈 진보당 | |
유럽 사회당 | |
유럽 사회민주동맹 | |
좌파연합 (프랑스 사회당, 프랑스 공산당) | |
![]() | |
학생 사회당 | |
청년 사회당 | |
사회당 성소수자 총회 | |
사회당 여성 총회 | |
Nouveau Peuple |
개요
프랑스의 정당이자, 현 집권 여당.
프랑스 공산당과 함께 프랑스 좌파 정당중 가장 규모가 큰 정당이며, 1920년대 이후 보수 정당과 함께 정권을 주고 받으며 프랑스에서 가장 큰 정당으로 군림해왔다. 사회당이 배출한 총리만 10명이 넘고, 전국적으로 당원은 두번째로 많을 정도로 규모가 큰 정당이다. 보통 영국 노동당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큰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꼽힌다.
노선
사회당은 초창기에는 공화주의, 급진 마르크스주의 노선을 내걸고 창당되었으나, 1930년대 이후 제도권 진입을 노리고 사민주의를 받아들였다. 이후 1940년대에 들어서는 공화주의를 포기하고 개혁을 전제로 한 온건 근왕주의를 표방한다. 이 때문에 정통 사회주의자들에게는 우파나 다름 없다고 비판받지만, 1940년대 이후 이런 노선 전환으로 사회당은 본격적인 초 거대 정당으로 거듭나게 된다.
당의 지주인 프랑수아 드오트클로크 전 총리는 철저한 사민주의, 복지국가주의자로, 오히려 반공 정책을 펼쳤을만큼 자유주의 좌파의 모습을 띄었다. 이러한 면모는 1968년 68혁명으로 더욱 강화되어 혁명 직후 사회당은 구좌파 노선을 사실상 버리고 자유주의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1980년대, 좌파 개혁 운동이 일어나면서 사민주의자들은 대부분 비주류로 몰려나고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과 민사주의자들이 대거 당의 요직을 차지하게 된다. 이후 이런 기조가 현대까지 이어져 여전히 민주사회주의자들과 좌익민족주의자들이 당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