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국호)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본문|야에야마의 국호}} | {{본문|야에야마의 국호}} | ||
"야에야마"(八重山)의 명칭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다. 1719년에 [[류큐]]를 찾은 중국인 [[서보광]](徐葆光)의 저서 『중산전언록』(中山伝言録)에는 [[야에야마 제도]]에 대한 | "야에야마"(八重山)의 명칭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다. 1719년에 [[류큐]]를 찾은 중국인 [[서보광]](徐葆光)의 저서 『중산전언록』(中山伝言録)에는 [[야에야마 제도]]에 대한 [[류큐인]]들의 묘사에 따라 "8개(八)의 중산(重山)들이 모인 진귀의 땅"이라 묘사하였다. [[야에야마어]]에서는 "야이마"(Yaima, ヤイマ)로 부르며, 현지 의미로 "산의 땅"으로서 부른다. 현재까지 정확히 어디서 유래된 명칭인지는 불분명하다. | ||
==각주== | ==각주== |
2018년 6월 17일 (일) 09:32 판
야에야마 연방국 | |||||
---|---|---|---|---|---|
| |||||
| |||||
표어 | 一期一会いちごいちえ | ||||
일생에 단 한번의 귀중한 만남 | |||||
국가 |
자유여, 노래하세요. 自由よ、歌いなさい。 | ||||
![]() | |||||
수도 | 타이쿄台京 | ||||
최대 도시 | 고죠皇城 | ||||
정치 | |||||
공용어 | 표준 일본어 | ||||
국민어 | 야에야마어 | ||||
천제天帝 |
아케미야 緋宮 | ||||
금위총장령禁衛總將領 연방총리대신連邦總理大臣 |
다케토미 히야시 竹富冷是 세토 다메노리 瀬戸爲憲 | ||||
역사 | |||||
정권 수립 | |||||
• 아케모토 번 지배권 확립 | 1489년 8월 9일 | ||||
• 야에야마 독립전쟁 | 1592년-1598년 | ||||
• 하세나가 막부 수립 | 1601년 6월 4일 | ||||
• 바둑전쟁 | 1793년-1798년 | ||||
지리 | |||||
면적 | 65,937㎢ (124 위) | ||||
내수면 비율 | 0.7% | ||||
시간대 | YST (UTC+9) | ||||
인구 | |||||
2018년 어림 | 21,346,568 명 (58위) | ||||
인구 밀도 | 323.7㎢/명 (21위) | ||||
경제 | |||||
GDP(PPP) | 2018년 어림값 | ||||
• 전체 | 8678억$ (30위) | ||||
• 일인당 | 40,652$ (24위) | ||||
HDI | 0.889 (26위, 2017년 조사) | ||||
통화 | 야에야마 엔 (Y¥) | ||||
기타 | |||||
ISO 3166-1 | 393, UY, KY | ||||
도메인 | .yy | ||||
국제 전화 | +83 |
야에야마 연방(일본어:
개요
지리상의 이유로 일본 본토 및 류큐국과 크고 작은 교류를 해왔고[1], 근현대에 들어서도 한국의 경제발전의 부분적인 롤모델이 되었으며 현재도 한국과 일본에게 있어서 경제·문화적으로 상당히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단 과거사나 영토분쟁 등으로 인하여 일본과의 정치/역사적인 면에서는 관계가 안좋은 점도 공존하고 있다.
6.25 전쟁에 따른 전쟁특수, 소련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부분적 경제 원조, 경제산업성(經濟産業省)을 중심으로 한 연방 정부 주도의 산업 정책등을 통해 고도 성장을 이룩하여 일본에 견주는 아시아의 경제 선진국으로 발돋움했으며 현재는 G20, OECD, 파리 클럽[2] 등의 회원국으로서 세계 경제 및 외교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군사력은 중국을 견제하고 국방비 부담을 줄이려는 서구 사회와 전략에 맞물려 세계 20위권에 머무르고 있으며, 야에야마 연방군(八重山蓮邦軍)에 대한 군사 투자 및 지출이 상당한 높은 위치에 있다. 다만, 이러한 높은 군사력을 유지하려는 것은 중국에 대한 견제 외에도 국방력으로 10위권 안에 들고 있는 일본의 재무장에 대한 위기감을 인식한 점도 있다.
국호

"야에야마"(八重山)의 명칭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다. 1719년에 류큐를 찾은 중국인 서보광(徐葆光)의 저서 『중산전언록』(中山伝言録)에는 야에야마 제도에 대한 류큐인들의 묘사에 따라 "8개(八)의 중산(重山)들이 모인 진귀의 땅"이라 묘사하였다. 야에야마어에서는 "야이마"(Yaima, ヤイマ)로 부르며, 현지 의미로 "산의 땅"으로서 부른다. 현재까지 정확히 어디서 유래된 명칭인지는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