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1961}} | {{1961}} | ||
{{냉전 (1961)}}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dd0000; max-width: 450px; width: 400; float: right"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dd0000; max-width: 450px; width: 400; float: right" | ||
! colspan="3" style="width: 400px; background-color:#222; color: #fff" | <big>제2차 모로코 위기</big><br>Second Moroccan Crisis | ! colspan="3" style="width: 400px; background-color:#222; color: #fff" | <big>제2차 모로코 위기</big><br>Second Moroccan Crisis | ||
29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 | {{-}} | ||
<div style="width:49.5%;float:left;padding:12px;color:#fff;margin-left: auto; font-size:13.5px;margin-top:10px;border:1.5px solid #222;">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margin-right:auto;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22px;border:none;background: #222;color:#fff" | 1. 개요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1px;border:none;background: #222;color:#fff" | 1962년 대독일국이 이베리아 반도 지브롤터에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미합중국의 정찰기가 포착하며 발생해 양국이 모로코 연안에서 군사적으로 대치한 사건이다. 양국의 함대까지 동원되어 무력시위가 발생했으나 독일이 미사일 기지를 철수하며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독일 제국과 프랑스가 대립한 모로코 위기와 구분하기 위해 제2차 모로코 위기라고 부른다. | |||
|- | |||
|} | |||
</div> |
2025년 6월 29일 (일) 17:15 기준 최신판

![]()
|
---|
냉전 Cold War | kalter Krieg | |
---|---|
[ 펼치기 · 접기 ]
|
제2차 모로코 위기 Second Moroccan Crisis | ||
---|---|---|
기간 | 1962년 10월 14일 ~ 1962년 10월 21일 | |
장소 | 이베리아 반도와 모로코 | |
원인 | 지중해를 둘러싼 대독일국과 샌프란시스코 조약기구 간의 갈등 격화 | |
결과 | 대독일국의 이베리아 미사일 기지 철수, 미합중국 함대의 철수 | |
영향 | 냉전의 격화 | |
당사국 | 대독일국 | 샌프란시스코조약기구 |
![]() |
![]() ![]() ![]() |
1. 개요 |
1962년 대독일국이 이베리아 반도 지브롤터에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미합중국의 정찰기가 포착하며 발생해 양국이 모로코 연안에서 군사적으로 대치한 사건이다. 양국의 함대까지 동원되어 무력시위가 발생했으나 독일이 미사일 기지를 철수하며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독일 제국과 프랑스가 대립한 모로코 위기와 구분하기 위해 제2차 모로코 위기라고 부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