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변화)/지지 기반 및 선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변화의 시대}}
{{변화의 시대}}
{{변화의 시대/시즌 1 테마}}
{{변화의 시대/시즌 1 테마}}
<div style="text-align: center; margin-top: 10px; margin-bottom: 15px; font-size: 16pt; color: #CFA547; line-height: 30px; font-family: Noto Serif KR">본 문서는 [[더불어민주당 (변화)|더불어민주당]]의 선거에서의 유불리와 선거 기록을 나타낸 하위 문서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margin-top: 10px; margin-bottom: 15px; font-size: 16pt; color: #CFA547; line-height: 30px; font-family: Noto Serif KR">본 문서는 [[더불어민주당 (변화)|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과 선거 기록을 나타낸 하위 문서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 left; margin-top: 10px; margin-bottom: -5px; font-size: 18pt; color: #CFA547; font-family: Noto Serif KR">{{bold|지역별}}</div>
<div style="text-align: left; margin-top: 10px; margin-bottom: -5px; font-size: 18pt; color: #CFA547; font-family: Noto Serif KR">{{bold|지역별}}</div>
<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rgin-bottom: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CFA547 45%, #CFA547 55%, transparent 55%); width: 100%"></span>
<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rgin-bottom: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CFA547 45%, #CFA547 55%, transparent 55%); width: 100%"></span>

2023년 8월 23일 (수) 09:14 판

 3.5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본 문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과 선거 기록을 나타낸 하위 문서입니다.
지역별

수도권 지역에서는 202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약 4~50%의 득표율로 나름 선전한 지역이기도 하고, 지역주의 구도에 자유롭다는 점에서 우세를 보인다. 그러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를 변화당에 내주는 이변이 일어났으며 부동산 이슈 등이 겹친 2021년 재보궐선거 이후에는 변화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세가 강해진 탓에 점점 열세 지역으로 바뀌고 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에는 세 지역 모두 변화당이 우위를 점하면서 텃밭을 제외하면 험지로 분류된다.

충청 지역은 경부선 벨트를 중심으로 지지세가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변화당의 입김이 강한 곳이다. 때문에 캐스팅보터였던 시기를 떠나서 우촌좌도 현상과 진보층 분열로 인해 민주당과 변화당이 경쟁하고 있지만 2020년대 이후 보수정당이 약진하면서 지지세가 상당히 낮아졌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에는 사실상 국민의힘과 변화당의 경쟁 구도가 더욱 견고해지면서 민주당의 지지세가 낮은 지역으로 분류된다.

강원 지역은 젊은 인구가 적은 보수 우세 지역인데도, 역사적으로 16대 총선부터 계속해서 민주당계가 차지한 경험이 있다. 다만 지리적 특성, 안보 이슈, 노년층 때문에 열세에 가깝다. 허나 최근 변화당이 이변을 일으키면서 이에 대한 작용으로 세를 모으고 있지만 국민의힘보다 못하다는 성적을 받고 있고 최문순을 비롯한 강원 출신 정치인들도 줄줄이 낙선되는 등 오히려 줄었다고 하도 무방하다.

호남 지역은 김대중의 근거지이자 민주당계의 텃밭으로, 지역주의가 강하고 보수정당을 배척하는 분위기가 매우 크지만 예외로 20대 총선에서는 국민의당이 유일하게 호남을 석권한 사례가 있었다. 최근에는 민생당 출신 인물까지 합류하면서 세를 불리고 있으나 경쟁 정당의 약진으로 텃밭을 사수해야 하는 상황인데, 민주시민당이 창당된 이후로는 이전의 민주당 지지층이 친문과 친명으로 나눠지게 된다.

영남 지역은 보수정당의 텃밭 중 하나로 초열세 지역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보수 진영 인물들이 이 쪽 출신이고, 호남과 마찬가지로 지역주의가 강한 지역이라 대경권, 부울경을 불문하고 현재까지 확고한 보수세를 보인다. 다만 부울경은 민주화 운동의 근거지이자 노무현, 문재인의 근거지다 보니 어느 정도 지지세가 있었다고 하나 21대 총선 들어 보수정당이 다시 주도권을 탈환했다.

제주 지역은 4·3 사건의 여파로 등장한 '궨당' 문화의 존재로 정당보다는 인물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특정 정당을 몰아주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201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경합지에 가까웠다. 그러다 20대 총선 이후 사드 문제를 비롯해 외지인들의 유입으로 지지세가 강해지고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보수정당은 2020년대 이후 시점에서는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를 제외하면 아예 전멸된 거나 다름 없다.

종합해보자면 호남과 제주 지역에서 초강세 지역을 보이지만 22대 총선 이후 이 지역들을 제외하고 모든 전국 단위 선거에서 크게 부진하고 있다. 심지어 텃밭인 호남에서는 보수정당과 변화당 등 상대 정당의 약진으로 텃밭 사수와 지역 탈환이 목표라고 할 수 있지만 국민통합당 출범 이후에는 '민주당 텃밭'이라는 의미가 없어진 대신 지역주의 타파를 명분으로 보수정당 출신들이 호남에 출마하는 등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대별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은 대체로 보수 정권에 대한 비판은 물론 반북 성향이 강하며 소위 'MZ세대'라 불리는 부류에 속한다. 기성 정치권에서 가장 중요한 지지층이지만 기성 정치에 대한 혐오가 심하다. 물론 민주당 지지층 중에서 10대에서 30대인 세대가 상당수를 차지하나 다수의 청년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는 변화당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다. 이와는 별개로 청년 지지층 중에서는 여성층이 많은데,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호의로 결집된 것으로 보인다.

3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의 경우 청년기를 민주당계 정부 시절에 보낸 이들인데 2015년 12월부터 시작된 온라인 입당 제도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의 중요한 의사결정 집단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양당 통합 당시에도 같은 세대인 반대 진영 지지자들과 연대하는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각종 이슈 때문에 언제든지 돌아설 수 있다는 것이 변수가 되기 때문에 그만큼 이탈한 지지층도 꽤 많다.

50대 중후반은 소위 'n86세대'라 불리는 운동권 세대로, 김대중과 노무현을 당선시킨 주역이지만 의외로 보수 성향이 짙다. 21세기인 현 시점에서 10대 혹은 20대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지라 교육이나 부동산 등 각종 이슈에 민감한 면이 있다. 더 나아가 60대 이상은 민주당계 지지 성향이 강한 호남권 노년층을 제외하면 민주당계에 대한 지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보수 색채가 강하다.

선거 기록

대통령 선거
연도 대수 후보자 득표수 (득표율) 결과
2017년 제19대 문재인 13,423,800 (41.08%) 당선
2022년 제20대 이재명 16,147,738 (47.83%) 낙선(2위)
2027년 제21대 추미애 - (- %) 낙선(3위)
국회의원 선거
연도 대수 지역구 (비율) 비례대표 (득표율) 총 의석 (비율) 결과
2016년 제20대 n석 (n%) n석 (n%) n석 (n%) 원내 1당
2020년 제21대 n석 (n%) n석 (n%) n석 (n%) 원내 1당
2024년 제22대 n석 (n%) n석 (n%) n석 (n%) 원내 n당
전국동시지방선거
연도 대수 광역단체 (비율) 기초단체 (비율) 광역의원 (비율) 기초의원 (비율) 결과
2018년 제7회 14 / 17 (82.4%) 151 / 226 (66.8%) 652 / 824 (79.1%) 1,639 / 2,927 (56.0%) 제1당
2022년 제8회 5 / 17 (29.4%) 63 / 226 (27.9%) 322 / 872 (36.9%) 1,384 / 2,988 (46.3%) 제2당
2026년 제9회 n / 17 (n%) n / 226 (n%) n / 897 (n%) n / 3,006 (n%) 제n당
재보궐선거
연도 국회의원 광역단체 기초단체 광역의원 기초의원 결과
2016년 해당 없음 해당 없음 0 / 0 0 / 0 0 / 0 제1당
여러분은 지금 변화의 시대를 보고 계십니다. 모든 문서는 공식 설정이자 허구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