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현재 세계관의 최대 일자는 2028년 4월 11일입니다.×

 3.67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1대
2027년 3월 3일
제22대
2032년 3월 3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헌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전국동시지방선거 제9대
2026년 6월 3일
제10대
2030년 6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제1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제9회 · 제10회
재보궐선거 추가 예정 추가 예정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추가 예정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부통령직 폐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1차 · 제2차 · 제3차 · 제4차 · 제5차 · 제6차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을 폐지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부 일부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201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했다.
본 템플릿(틀)은 2028년 4월 11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출구조사 영상
2016년 4월 13일
20대 총선
2020년 4월 15일
21대 총선
2024년 4월 10일
22대 총선
투표율: 66.2% (▲ n%p)
선거 결과
민주·연합 96석 (32.0%)
(28.6%) 86석 자유·미래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민주당
민주시민당
139석 14석 153석 51.0%
자유당
자유한국당
82석 17석 99석 33.0%
변화당 26석 6석 32석 10.6%
한국사회당 1석 4석 5석 1.67%
국민의당 0석 3석 3석 1.0%
열린민주당 0석 3석 3석 1.0%
무소속 5석 -석 5석 1.67%

개요

2020년 4월 15일에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로, 66.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의원 정수는 지난 총선과 동일한 300석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2019년 12월 27일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통해 투표권이 만 19세에서 18세로 하향되었고, 2002년 4월 16일생까지 투표권을 갖게 된다. 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재외투표 불가 지역이 생겨났지만 투표 가능 지역은 대한민국의 개표시간에 맞춰 현지 개표를 진행하기로 했다. 동시에 임기 중 사퇴, 사망 등의 사유로 공석이 된 곳에서 실시하는 재보궐선거도 함께 치러진다.

선거 이전

주요 변수

주요 상황

선거제 개편 논의

선거구 획정

선거구

여론조사

선거 진행

선거 일정

참여 정당 및 기호

최종 선거기호는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2020년 3월 27일 기준 각 정당의 의석수를 바탕으로 확정되었다.

  • 지역구 의석 5석, 또는 직전 대통령선거,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 3% 이상을 획득한 정당들은 의석 순으로 전국통일기호를 부여받는다. 의석수가 동일할 경우 직전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득표수 순으로 부여한다. 전국통일기호는 특정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아도 결번으로 남겨진다.
  • 전국통일기호정당이 아닌 원내정당은 의석수 순으로, 의석이 동일한 경우 직전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득표율 순으로 기호를 부여받는다.
전국 통일 기호 정당
기호 정당 당대표 후보자 수
지역 비례 설명
1 이해찬 지역구: 253
제19대 대통령 문재인이 속한 여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1당으로, 민주당계 정당이다.
비례대표 후보는 '선거용 위성정당'인 민주시민당을 통해 공천되었다.
2 황교안 지역구: 237
대한민국의 제1야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2당으로, 보수정당이다.
비례대표 후보는 '선거용 위성정당'인 자유한국당을 통해 공천되었다.
3 김정화
유성엽
지역구: 58
비례: 21
대한민국의 제2야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3당으로, 제3지대 정당이다.
4 원유철 비례: 39
자유당이 총선을 앞두고 창당한 선거용 비례위성정당.
5 우희종 비례: 30
민주당을 중심으로 기본소득당, 시대전환이 참여한 비례위성정당.
6 최민기
안혜령
지역구: 44
비례: 19
대한민국의 제5야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6당으로, 제3지대 정당이다.
7 여영국
강은미
배진교
지역구: 89
비례: 29
2008년 진보신당, 사회당, 민주사회연합의 통합으로 출범한 원내 진보정당이다.
20대 국회 원내 정당
8 조원진 지역구: 42
비례: 15
2017년 새누리당을 탈당한 후 원내정당 지위를 유지 중인 친박 성향 극우정당이다.
8~9 9 민중당 이상규 지역구: 59
비례: 8
2017년 민중연합당과 새민중정당의 합당으로 출범한 NL 성향 진보정당이다.
10 한국경제당 최종호
김경세
비례: 6
21대 총선을 앞두고 기존의 국민희망당에서 명칭을 바꾼 보수정당이다.
11 안철수 비례: 26
안철수 전 의원을 중심으로 창당한 제3지대, 보수정당이다.
8~9 12 친박신당 홍문종 지역구: 4
비례: 12
우리공화당 탈당파가 홍문종 의원을 중심으로 창당한 친박 성향 극우정당이다.
13 이근식 비례: 17
민주당 내 강성 친문계를 중심으로 창당한 민주당계 정당이다.
20대 국회 원외 정당
무소속
7~9 무소속 지역구: 119
무소속 후보는 모든 정당 후보가 부여된 후 맨 마지막 기호를 받는다. 복수 후보 시 추첨.

후보자

선거 운동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출구조사

예측조사

개표 결과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별 결과 분석

당선인 통계

20대 총선과의 비교

가상 시나리오

평가

보수정당

민주당계 정당

제3지대 정당

진보정당

극우정당

기타정당

논란 및 사건사고

여담

둘러보기

각주

숨김 처리된 각주를 보시려면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