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세계관의 최대 일자는 2028년 4월 11일입니다.×
★★★★★ 3.67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
출구조사 영상 | ||||
2016년 4월 13일 20대 총선 |
→ | 2020년 4월 15일 21대 총선 |
→ | 2024년 4월 10일 22대 총선 |
투표율: 66.2% (▲ n%p) | ||||
선거 결과
|
개요
2020년 4월 15일에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로, 66.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의원 정수는 지난 총선과 동일한 300석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2019년 12월 27일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통해 투표권이 만 19세에서 18세로 하향되었고, 2002년 4월 16일생까지 투표권을 갖게 된다. 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재외투표 불가 지역이 생겨났지만 투표 가능 지역은 대한민국의 개표시간에 맞춰 현지 개표를 진행하기로 했다. 동시에 임기 중 사퇴, 사망 등의 사유로 공석이 된 곳에서 실시하는 재보궐선거도 함께 치러진다.
선거 이전
주요 변수
주요 상황
선거제 개편 논의
선거구 획정
선거구
여론조사
선거 진행
선거 일정
참여 정당 및 기호
최종 선거기호는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2020년 3월 27일 기준 각 정당의 의석수를 바탕으로 확정되었다.
- 지역구 의석 5석, 또는 직전 대통령선거,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 3% 이상을 획득한 정당들은 의석 순으로 전국통일기호를 부여받는다. 의석수가 동일할 경우 직전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득표수 순으로 부여한다. 전국통일기호는 특정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아도 결번으로 남겨진다.
- 전국통일기호정당이 아닌 원내정당은 의석수 순으로, 의석이 동일한 경우 직전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득표율 순으로 기호를 부여받는다.
전국 통일 기호 정당 | ||||
---|---|---|---|---|
기호 | 정당 | 당대표 | 후보자 수 | |
지역 | 비례 | 설명 | ||
1 | 이해찬 | 지역구: 253 | ||
제19대 대통령 문재인이 속한 여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1당으로, 민주당계 정당이다. 비례대표 후보는 '선거용 위성정당'인 민주시민당을 통해 공천되었다. | ||||
2 | 황교안 | 지역구: 237 | ||
대한민국의 제1야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2당으로, 보수정당이다. 비례대표 후보는 '선거용 위성정당'인 자유한국당을 통해 공천되었다. | ||||
3 | 김정화 유성엽 |
지역구: 58 비례: 21 | ||
대한민국의 제2야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3당으로, 제3지대 정당이다. | ||||
4 | 원유철 | 비례: 39 | ||
자유당이 총선을 앞두고 창당한 선거용 비례위성정당. | ||||
5 | 우희종 | 비례: 30 | ||
민주당을 중심으로 기본소득당, 시대전환이 참여한 비례위성정당. | ||||
6 | 최민기 안혜령 |
지역구: 44 비례: 19 | ||
대한민국의 제5야당이자 제20대 국회의 제6당으로, 제3지대 정당이다. | ||||
7 | 여영국 강은미 배진교 |
지역구: 89 비례: 29 | ||
2008년 진보신당, 사회당, 민주사회연합의 통합으로 출범한 원내 진보정당이다. | ||||
20대 국회 원내 정당 | ||||
8 | 조원진 | 지역구: 42 비례: 15 | ||
2017년 새누리당을 탈당한 후 원내정당 지위를 유지 중인 친박 성향 극우정당이다. | ||||
8~9 | 9 | 민중당 | 이상규 | 지역구: 59 비례: 8 |
2017년 민중연합당과 새민중정당의 합당으로 출범한 NL 성향 진보정당이다. | ||||
10 | 한국경제당 | 최종호 김경세 |
비례: 6 | |
21대 총선을 앞두고 기존의 국민희망당에서 명칭을 바꾼 보수정당이다. | ||||
11 | 안철수 | 비례: 26 | ||
안철수 전 의원을 중심으로 창당한 제3지대, 보수정당이다. | ||||
8~9 | 12 | 친박신당 | 홍문종 | 지역구: 4 비례: 12 |
우리공화당 탈당파가 홍문종 의원을 중심으로 창당한 친박 성향 극우정당이다. | ||||
13 | 이근식 | 비례: 17 | ||
민주당 내 강성 친문계를 중심으로 창당한 민주당계 정당이다. | ||||
20대 국회 원외 정당 | ||||
무소속 | ||||
7~9 | 무소속 | 지역구: 119 | ||
무소속 후보는 모든 정당 후보가 부여된 후 맨 마지막 기호를 받는다. 복수 후보 시 추첨. |
후보자
선거 운동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출구조사
예측조사
개표 결과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별 결과 분석
당선인 통계
20대 총선과의 비교
가상 시나리오
평가
보수정당
민주당계 정당
제3지대 정당
진보정당
극우정당
기타정당
논란 및 사건사고
여담
둘러보기
각주
숨김 처리된 각주를 보시려면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