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서민원의 원내구성
[ 펼치기 · 접기 ]
여당

326석
신임과 보완

6석
야당

292석

20석

8석

4석

1석
무소속 2석
재적 660석
자유당
自由黨 | Liberal Party
약칭
자유, LIB
표어
당신과 나의 자유를 위하여
창당일
1964년 4월 1일
통합한 정당
자유통합당, 자유개발당 (1964년 3월 31일)
전신
민족민주당
중앙 당사
대백제국 선양수도시 봉림구
이념
자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스펙트럼
중도우파
당수
김원홍 / 4선 (24 - 27대)
부당수
박수영 / 6선 (22 - 27대)
원내총무
김철원 / 2선 (25, 27대)
귀족원
64석 / 120석 (53.33%)
서민원
326석 / 660석 (49.39%)
시주지사
7석 / 15석 (46.67%)
당색
파란색 (#00A8F0)
당가
자유당의 노래
국제 조직
국제민주연합
유럽 정당
유럽 인민당 (옵저버)
당원 수
감소 448,372명 (2위)
학생 조직
학생 자유당
청년 조직
청년 자유당
성소수자 조직
자유당 + LGBTQ
여성 조직
자유당 여성위원회
당보
조선신보
정책 연구소
자유당 연구소

개요

대백제국의 보수 성향 여당이다. 대백제국에서 3번째로 오래된 정당으로, 김창암 전 태정 대신이 설립한 자유개발당이 전신이다. 1964년 자유개발당과 군소정당인 자유통합당이 합당하여 자유당이 창당되었다. 현재 원내 1당이자 여당이다.

역사

1950년대

1951년 5개로 쪼개져있던 보수정당중 가장 큰 보수민주당 소속이었던 김창암 전 태정대신이 죽기 직전 우파 정치의 원로로서 우파 정당의 구심점을 만들기 위해 5개 보수 정당을 합침으로서 자유개발당이 창당되었다. 창당 직후 윤보선이 태정대신으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1956년까지 자유당이 장기집권한다. 그러나 1956년 10.5 노동쟁의로 인해 장면 내각이 총사퇴하고 뒤이은 총선에서 보수당이 201석을 얻는데 그쳐 참패함에 따라 정권을 사회당에 내어줬다. 이후 1962년까지 사회당이 집권함에 따라 자유개발당은 야당의 지위로 떨어졌다.

1960년대

그러나 1962년 총선에서 다시 자유개발당이 299석을 얻고 자유통합당과 연정하여 집권했다. 이후 이민우 자유개발당 당수와 양일동 자유통합당 총재가 합의하여 1964년 총선을 앞두고 자유개발당과 중도보수 성향의 자유통합당이 합당되었고, 현재의 자유당이 창당되었다. 1964년 양일동 태정대신의 시대 이후 1967년 다시 장준하 태정대신이 임명되었지만, 4.11 안보 투쟁과 뒤이은 68혁명으로 자유당의 지지율이 폭락하면서 1968년부터 1973년까지 다시 사회당의 함석헌 태정 대신이 국정을 이끌었다.

1970년대

1973년, 함석헌 태정대신이 건강을 이유로 태정대신 사퇴와 의회 해산을 발표했고, 뒤이은 총선에서 자유당이 단 3석 차이로 다수당이 되면서 김대중 태정 대신이 임명되었다. 김대중 태정 대신은 1981년까지 태정 대신을 맡으면서 신자유주의를 기반으로 한 경제 개혁을 이끌었으나 동시에 빈부격차를 조장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대백의 마거릿 대처'로 불리고 있다. 한편으로는 1970~80년대는 사회당 내에서 사민주의-민사주의 논쟁으로 내분이 일어나 당이 2년동안 쪼개지는 등 좌파 야권의 암흑기였기에 김대중 태정 대신이 더욱 국정 업무를 수월하게 할 수 있었던 면이 있었다.

1980년대

1981년 장춘 노동자 총파업 사건으로 자유당의 지지율이 폭락하면서 김대중이 사임하고, 뒤이어 김영삼이 태정대신직에 올랐다. 김영삼 태정 대신의 집권기 내에서 서민원 해산 임기 만료로 1982년에 서민원 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선거 초반까지만 해도 사회당이 49.2%의 지지를 얻으며 불과 20.1%의 지지를 얻었던 자유당을 크게 따돌이고 최대 390석의 압승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보수 유권자의 결집과 사회당 김성주 전 태정대신의 막말 논란으로 사회당의 지지율이 대폭 하락해 자유당이 도리어 압승하기에 이른다. 이후 김영삼 태정 대신은 1984년 태정대신직을 재무대신이었던 김종인에게 넘겨준다. 김종인 체제 내에서 최저임금 도입과 기본 복지 실시 등 여러모로 김대중 내각의 입장과 반대되는 정책을 펼쳤으며, 이에 당 내에서 논란이 되자 1986년 김종인이 사임하고 김규석이 태정대신 직에 올랐다.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 이후

성향

역대 당수

지지 기반

계파

주요 인물

여담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