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전쟁

8개월 전쟁
The Eight-month War
기간 1991년 3월 19일 – 1991년 11월 21일
장소 네베세치 군도 전역
원인 민주 동맹솔레브 연방국 선제 타격
교전국 및
교전 세력
민주 동맹 진보 사회주의 연합
노바니아
필리아
카레스
로스카
코윈
솔레브
엘라스
지휘관 피레스 보케이만
에르벨 아즈사
산데스 아인
루카스 베르쿠트
사페르 노만
벤 오르칸
이바노프 페트로비치
세르게이 쿠르초네프
이반 사페르토비치
이반 레이샤비
페르지노 쉬베롭
마커스 엘리시오
병력 동맹군 650,000명 연합군 525,000명
피해 전사 118,000여명, 부상 282,000여명 전사 98,000여명, 부상 301,000여명
결과 현재의 외교 관계 형성
로스카 공국이 네레브 섬을 반환 받음
노바니아와 코윈의 군비 감축
영향 민주 동맹을 향한 미국의 군사 원조의 확대

개요

8개월 전쟁은 네베세치 군도에서 두 파벌로 나뉜 국가들이 벌인 전쟁으로, 네베세치 군도에서의 첫번째 전쟁이다.

전쟁 전

엘라스에서 사크라티아군의 혁명이 발생하고, 코윈에서 사회주의 정권이 발생했으며, 솔레브에서는 군사 정변(쿠데타)가 발생하여 사회주의 체계의 군정이 세워지는 등, 네베세치 군도는 1980년대에 들어 대격변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는데, 기존의 민주주의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민주 동맹이 창설되면서 이에 위협을 느낀 사회주의 체계의 국가들은 진보 사회주의 연합을 창설했다. 둘은 이념과 체제의 차이, 그리고 창설 목적이[1] 다르기 때문에 창설 직후로도 크고 작은 외교적 충돌이 발생하고 있었다. 전쟁 당시의 노바니아 대통령이었던 피레스 보케이만은 군 출신으로 흔히 전쟁광으로 불리는 사람이었고, 많은 반대를 무릅쓰고 필리아-노바니아 연합군을 창설하여 솔레브와의 전쟁을 준비했다. 그 와중에, 솔레브 연방군이 노바니아 국민이 탑승한 차량을 향해 총격을 가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

전개

초기 - 카즈네트 사건을 계기로 노바니아 정부는 자국민 보호라는 명목으로 필리아-노바니아 연합군을 운용하여 솔레브를 침공한다. 솔레브는 군정이 시작된지 5년이 채 되지 않은 시기라 지역 안정화도 미흡한 실정이었고, 솔레브 연방군의 필사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베니온 강 전투에서 솔레브 연방군이 완패하며 수도인 네베르스크까지 후퇴하였다. 카레스로스카, 코윈, 엘라스는 아직 참전하지 않은 상태였으나, 코윈이 솔레브의 지원 요청을 받아들여 네베르스크로 병력을 파견하면서 카레스는 필리아의 지원 요청을 받아 참전, 로스카는 다른 지역으로 병력이 파견된 코윈이 차지한 네레브 섬을 침공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크라티아군은 코윈의 지원 요청을 받아 네레브 섬으로 파견되었다.
중기 - 코윈의 공군력과 뛰어난 작전 능력으로 네베르스크 포위전진보 사회주의 연합압도적인 승리로 종료되었고, 네베세치 전역에 전선이 형성되었다. 대표적인 전선으로는 필리아-노바니아 연합군과 솔레브, 코윈의 솔레브 전선[3], 사크라티아군과 로스카의 코윈 전선이[4] 있다. 노바니아는 후퇴를 거듭하다가 솔레브의 항구 도시 시리온으로 철수하였다.
후기 - 코윈과 솔레브는 노바니아 본토까지 치고 올라왔으나, 캐리엇 섬 포위 작전에서 미국이 원조한 대함미사일에 상륙부대 대부분을 손실하면서 전선이 고착화되었다. 전쟁 7개월 차에는 사크라티아군이 네레브 섬을 포기했고 코윈 본토에서 방어 작전을 전개했다. 이후 1개월 간 전선의 변화는 없었고, 소모전이 지속되던 중 이바노프 페트로비치의 주도로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종전

1991년 11월 21일 0시 00분을 기점으로 진보 사회주의 연합과 민주 동맹의
8개월 간의 전쟁을 끝내기로 협의하였습니다.
(중략) 코윈 공화국의 네레브 섬을 로스카 공국에게 양도하며...(중략)
노바니아와 코윈은 군비를 각각 10%, 5% 감축하기로 협의하였습니다.
노바니아는 솔레브에 3억 달러의 배상금을 지급해야 하며...(중략)
네베르스크 종전협약에서 발췌.

종전협약 체결 이후, 미국은 민주 동맹을 향한 경제 및 군사 원조를 더욱 강화하였다. 이 전쟁으로 두 연합 간의 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았다.

  1. 민주 동맹의 경우, 민주주의 보존. 진보 사회주의 연합의 경우, 사회주의 보존.
  2. 그러나 이 사건은 탑승자가 총기 소지가 엄격히 금지된 카즈네트 시내로 총기를 반입하고 진입했으며, 경계 인원을 향해 총을 겨둔 것이 확인되어 8개월 전쟁이 크나큰 오해가 불러온 사건이라는 사실을 더욱 명확히할 뿐이었다.
  3. 솔레브 전역에 형성된 전선
  4. 네레브 섬에 형성된 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