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 이 문서는 아침의 나라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주의. 문서를 동의없이 함부로 수정할 경우 반달 사용자로 지목되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정할 것이 있으시다면 문서 작성자의 동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아사달국 관련 문서 | ||||||||||||||||||||||||||||||||
---|---|---|---|---|---|---|---|---|---|---|---|---|---|---|---|---|---|---|---|---|---|---|---|---|---|---|---|---|---|---|---|---|
[ 정치 · 군사 ]
[ 역사 ]
[ 사회 · 경제 ]
[ 문화 ]
[ 기타 ]
|
개요
- 사료가 부족하여 원래 구결자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구결자(口訣字)는 아사달에서 고대시대부터 계속되어온 문자 체계로 15세기의 대군(代君) 이도(세종)가 창제한 훈민정음이 널리 쓰이기까지 아사달어의 문법 체계를 표기하는데 가장 널리 쓰인 문자이다. 원래는 훈민정음이 일본어에서의 가타카나, 구결자가 일본어에서의 히라가나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근대를 거쳐 현대에 들어서면서 가독성이 떨어져 점차 모습을 감추었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거의 일부 동사의 활용형 표기 등에서만 사용되고 있으며 문학에선 예스러운 분위기를 내기 위해서 자주 쓰이는 편이다.
구결표
구결자는 기본적으로 한 음절 당 한 글자를 나타내는데, 이 법칙을 따르기에는 음절 수가 매우 많아 받침과 이중모음, 된소리, 거센소리를 따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이럼에도 불구하고 표기해야하는 음절 수가 매우 많아 경우에 따라서 다르게 읽어야하는 글자도 많으며, 표가 매우 불완전하다.
- 기본표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ㅔ/ㅐ | ㅖ/ㅒ | ㅚ/ㅙ/ㅞ | ㅟ | ㅢ | ㅘ | ㅝ | |
---|---|---|---|---|---|---|---|---|---|---|---|---|---|---|---|---|---|
ㄱ | 叻 | 己牙 | ㄊ | ナ | ロ | 己ノ | ク | 己于 | 己 | 令 | 己厂 | ロ乀 | ク乀 | 己 | ハ | ク仒 | |
ㄴ | 尹 | ヒ牙 | 汝 | 女 | ヌ | 了 | ト | ヒ于 | ヒ | 汝乀 | ヒ厂 | ヌ乀 | ト乀 | ヒ | ヌ牙 | ト仒 | |
ㄷ | タ | 支牙 | カ | 支仒 | 刀 | 支ノ | 丩 | 支于 | 支 | 弋 | 支厂 | 刀乀 | 丩乀 | 支 | 刀牙 | 丩仒 | |
ㄹ | 亽 | リ牙 | 户 | リ仒 | ヌ | 了 | ト | リ于 | リ | 户乀 | リ厂 | ヌ乀 | ト乀 | リ | ヌ牙 | ト仒 | |
ㅁ | 广 | 厼 | モ | 无 | 未 | ||||||||||||
ㅂ | |||||||||||||||||
ㅅ | 士 | 彳 | 小 | 手 | ン | ||||||||||||
ㅇ | 牙 | 𠃌 | 仒 | 余 | ノ | 夭 | 于 | 由 | ラ | 乀 | 厂 | 乂 | 外 | 位 | ム | ト | 元 |
ㅈ | 皮 | ||||||||||||||||
ㅊ | |||||||||||||||||
ㅋ | |||||||||||||||||
ㅌ | 土 | ||||||||||||||||
ㅍ | |||||||||||||||||
ㅎ | 丷 | 乊 | |||||||||||||||
ㄲ | |||||||||||||||||
ㄸ | |||||||||||||||||
ㅃ | |||||||||||||||||
ㅆ | |||||||||||||||||
ㅉ |
- 종성표
국자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ㅇ |
---|---|---|---|---|---|---|---|
구결자 | フ | 卩 | 叱 | 乙 | ス | 巴 | O |
- 종성 일체형 표
국자 | 정 | 든 | 들 | 만 | 면 | 신 | 은/는 | 을/를 | 인 | 한 |
---|---|---|---|---|---|---|---|---|---|---|
구결자 | 丁 | ホ | の | 万 | 丆 | 申 | 卩 | 乙 | 引 | 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