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주요 문서 ]
[ 국가 소개 ]
당신의 달 같은 국가, 노르웨이
밴드 가상국가 지성의 총집인 노르웨이, 그 중심엔 국민이, 여러분이 - 모든면에서 다른 국가를 압도하는 파워가 다릅니다. Since. 2020 |
이 문서는 가상국가 노르웨이 왕국의 공식문서입니다.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 자제 부탁드립니다. |
노르웨이의 주요 선거 |
---|
[ 펼치기 · 접기 ]
|
제7대 노르웨이 의회의원 선거 7. norske stortingsvalg | ||||||||||||||||||||||||
---|---|---|---|---|---|---|---|---|---|---|---|---|---|---|---|---|---|---|---|---|---|---|---|---|
2021년 1월 12일6대 총선 | → | 2023년 8월 3일7대 총선 | → | 2023년 10월 5일8대 총선 | ||||||||||||||||||||
투표율 | 24.32% ▲ -%p | |||||||||||||||||||||||
선거 결과 | ||||||||||||||||||||||||
▼
| ||||||||||||||||||||||||
|
개요
2023년 8월 3일에 실시된 노르웨이의 의회의원 선거. 동면기 해제 이후 열린 최초의 선거이다.
선거 전 상황
- 7월 27일 제2차 이사미 내각이 출범했다.[1] 부흥당 당수를 맡고있던 리틀이 선관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이미미가 보수당의 당권을 잡게됐다. 또한 보수당 등 노르웨이 원류 세력과 테티스 등 외부 세력까지 모두 포괄하는 거국 내각이 발표됐다. #
- 같은 날, 글뤽스부르크 가문 혈통의 이자성 前검찰총장이 국왕에 즉위하였다.
- 같은 날, 바른정당과 유신회가 창당됐다.
- 7월 28일 보수당을 배제한 유신회-바른정당 간의 선거 연합(우파연대)이 출범했다.
- 7월 30일 삼당의 공천안이 발표됐다.
- 7월 31일 조태준 보수당 후보가 '노르웨이를 위한 진정한 가치'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유신회 후보들의 출신이 노르웨이가 아님을 거론했다. 이에 도비 등 유신회 후보들이 반발하며 나섰다. 라인하르트 등 보수당 후보들은 과거 열린민주당의 사례를 언급하며 조 후보의 발언에 문제가 없음을 주장했다.
- 같은 날, 88 후보와 정세균(레이넌) 후보간의 욕설이 섞인 말다툼이 오갔다.
개표 결과
제7대 노르웨이 의회의원 선거 | ||||
---|---|---|---|---|
전국 | 보수당 | 유신회 | 바른정당 | 합계 |
오슬로 | 10석 | 0석 | 20석 | 30석 |
인란덴주·비켄주
|
10석 | 20석 | 0석 | 30석 |
베스트폴오그
텔레마르크주 ·아그데르주 |
10석 | 10석 | 0석 | 20석 |
베스트란주
·로갈란주 |
10석 | 10석 | 0석 | 20석 |
트뢰겔라그
·노를란주 |
10석 | 0석 | 0석 | 10석 |
트롬오스그
핀마르크주 ·뫼레오그 롬스달주 |
0석 | 10석 | 0석 | 10석 |
지역구 | 50석 | 50석 | 20석 | 120석 |
비례 | 20석 | 10석 | 0석 | 30석 |
총합 | 70석 | 60석 | 21석 | 150석 |
당선자 명단
- 지역구 의회의원 당선자 명단
결과
총평
선거가 끝난 이후 7대 의회 내내 유신회 의원들은 입법 활동에 일제히 불참했다. 결국 차기 선거에도 후보를 내지 않으며 뜨거운 감자였던 이 선거를 끝으로 유신회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일련의 사건을 거치며 테티스가 노르웨이에 선재적인 군사 도발을 하기 시작하며 보수당과 유신회, 노르웨이와 테티스의 관계는 파국에 이르렀다.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노르웨이와 테티스가 함께 치룬 선거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