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달 같은 국가, 노르웨이
밴드 가상국가 지성의 총집인 노르웨이, 그 중심엔 국민이, 여러분이 - 모든면에서 다른 국가를 압도하는 파워가 다릅니다. Since. 2020 |
이 문서는 가상국가 노르웨이 왕국의 공식문서입니다.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 자제 부탁드립니다. |
| ||||||||||||||||||
[ 펼치기 · 접기 ]
|
→ | → | |||
바른정당 (2023.7.27. ~ 9.30.) |
부흥당 (2023.10.1. ~ 2024.3.17.) |
시민민주당 (2024.3.18. ~ 6.8.) | ||
→ | → | (현재) | ||
사회민주당 (2025.1.25. ~ 4.24.) |
부흥당 (2025.4.25. ~ 현재) |
RENAISSANCE | |
---|---|
한글명칭 | 부흥당 |
창당일 | 2023년 9월 30일 |
당명 변경 | 2024년 8월 1일 (부흥신당) |
2024년 11월 16일 (부흥당) | |
중앙당사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노르웨이 오슬로 국회의사당로 | |
이념 | 노를란 지역주의 지방분권 자유주의 자유주의 중도 빅 텐트 |
스펙트럼 | 중도우파 |
대표 | 김명박 |
원내대표 | |
노르웨이 의회
|
24석 / 100석 |
당색 | 보라색 (#604990) |
정당원 수 | 5명 (2024년 11월 19일 기준) |
링크 | ![]() |
개요
노르웨이의 지역주의 정당. 노를란주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군소 지역정당이라는 현재의 위상과는 달리 최초에는 중도 빅 텐트, 자유주의 정당으로 출범했다. 2023년 9월 30일 리틀과 김명박, 김남국 3인 체제로 창당하였다.
김명박이 단독 대표로 선출된 이후, 리틀과 김명박은 "시민민주당과의 연정"을 두고 극한의 대립을 이루었다. 결국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리틀, 이호선, 김현미 등이 분당을 선언하면서 오랜 기간 내홍을 겪었다. 부흥당에서 이탈하여 창당한 새로운부흥이 11대 총선에서 제1당으로 등극하면서 당세가 크게 위축되기도 했으나, 내홍을 수습하고 합당을 선언하며 당명을 부흥신당으로 바꿨다. 그러나 당 내 우파와 좌파가 분당해 나가면서 결국 다시 부흥당으로 당명을 복구했다.
13대 총선 이후로 노를란주 지역주의 노선을 천명하며 지역정당으로 변화하였다.
역사
공동 지도부
2023년 9월 30일 노르웨이 자코뱅의 리틀과 바른정당의 김명박이 합당을 통해 신설 창당하였다. 창당 직후 이미미 사단 등 주요 제도권 세력이 합류하여 8대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정권 창출에도 성공하였다. 이후 8대 의회에서 유일한 원내 정당으로서, 활발한 의정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9대 총선을 앞두고 중진 현역의원 이미미가 잠정 은퇴를 선언했을뿐 아니라, 이사미를 위시한 중도보수 세력이 대거 이탈하여 문민신당으로 분당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에 위기 의식을 느낀 부흥당은 사실상의 지도부 해산을 발표하고, 리틀을 중심으로하는 비대위를 꾸려, 다가오는 선거를 준비하게 된다.
리틀 비대위 체제
12월 28일, 부흥당 중앙당사에서 리틀을 위원장으로 김남국을 부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가 발족했다. 리틀은 중도좌파 성향의 중도좌파 정당 사회자유당과의 선거 연대를 선언하며, 원내에 입성할 시 연정을 이룰 것을 공약했다. 이렇듯 당 내에서의 쇄신과 진보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빠른 속도로 지지세를 확보하던 문민신당을 봉쇄할 수 있었고 결국 총선에서 총석 151석 중 77석을 획득하면서 원내 1당에 등극하였다. 총선 이후, 전당대회를 통해 김명박이 차기 당대표로 당선됐다.
김명박 1기 지도부
2024년 2월 4일 김명박 지도부가 출범했다. 9대 의회에서 문민신당과 대립하는 구도를 펼쳤으나, 개헌에 한해서는 한시적으로 협력하기도 했다. 10대 총선 때에는 문민신당에서 당명을 변경한 시민민주당과 50석:50석으로 동률의 의석을 가지게 되었다.[1] 그러나 지도부의 전략 공천에 의해, 험지에 출마한 리틀 등 일부 중진의원들이 낙선하였다. 총선 종료 직후, 리틀이 지도부에 대한 비판 섞인 발언을 남기면서 내홍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여기에 한술 더 떠, 김명박 대표가 시민민주당의 연정을 선언하기에 이르며, 리틀을 비롯한 연정 반대파들이 새로운부흥으로 분당하게 되는 사태를 직면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부흥당 분당 파동 참고.
시민민주당과 협력하여 이승배 내각 5기를 탄생시켰다. 그러나 11대 총선에서 30석을 얻으며 41석의 새로운부흥에 밀려 원내 2당이 되었다.[2] 11대 의회에서도 을파소 내각을 탄생시키며 시민민주당과의 연정을 이어갔다.
11대 의회 임기가 끝나갈 즈음인 2024년 7월말, 김명박 대표가 새로운부흥의 지도부와 회동을 가지며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나섰고, 8월 1일 마침내 오랜 내홍을 끝내고 다시 탈당파들과 손을 잡았다. 기존 부흥당이 부흥신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새로운부흥이 흡수되는 방식으로 합당이 이뤄졌다.
부흥신당 시기
김명박 지도부 2기
2024년 11월 15일 당명을 부흥신당에서 다시 부흥당으로 회귀했다. 또한 노를란주 기반의 지역정당으로 재시작 할 것임을 밝혔다. 11월 16일 야권 선거연대인 인민전선에 합류하였으며 당에서 유일하게 김명박을 노를란주에 공천했으며, 무투표 당선되었다. 다음 해 1월에 열린 제14대 노르웨이 의회의원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로 김명박 혼자 당선됐다.
역대 지도부
| ||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여담
- 중앙당사 채팅방은 바른정당 시절의 채팅방을 사용한다.
- 부흥당이라는 당명은 실제 프랑스의 여당, 르네상스(구 앙 마르슈!)를 오마주한 것이다.
- 현존하는 정당 중 등록일이 가장 오래됐으며, 제8대 총선을 시작으로 역대 정당 중 각종 선거에서 최다 참여를 한 정당이다.
선거
의회의원 선거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
2023년 | 8대 | 100 / 120 (83.33%) | 100 / 100 (100%) | 200 / 220 (90.91%) | 원내 1당[3] |
2024년 | 9대 | 50 / 100 (50%) | 27 / 51 (52.94%) | 77 / 151 (50.99%) | |
2024년 | 10대 | 50 / 100 (50%) | 후보를 내지 않음.[4] | 50 / 100 (50%) | |
2024년 | 11대 | 30 / 80 (37.5%) | 후보를 내지 않음.[5] | 30 / 100 (30%) | 원내 2당 |
2024년 | 13대 | 10 / 80 (12.5%) | 후보를 내지 않음. | 10 / 100 (10%) | 원내 4당 |
2025년 | 14대 | 10 / 80 (12.5%) | 후보를 내지 않음. | 10 / 100 (10%) | 원내 4당 |
2025년 | 15대 | 10 / 80 (12.5%) | 14 / 20 (70%) | 24 / 100 (24%) | 원내 3당 |
재보궐선거
연도 | 선거명 | 의회의원 |
---|---|---|
2024년 | 2024년 1월 | 1 / 2 |
둘러보기
노르웨이의 중도·보수정당 | ||||
---|---|---|---|---|
바른정당 (신설 합당)
|
→ | 부흥당
|
→ | 부흥당 |
자코뱅 (신설 합당)
|
→ | 문민신당 (개별 합류)
| ||
국민민주연합 (개별 합류)
|
→ | → | 새로운부흥 (개별 합류)
| |
부흥당 | → | 부흥당 | → | 부흥신당 (당명 변경)
|
새로운부흥 (흡수 합당)
| ||||
부흥신당 (당명 변경)
|
→ | 부흥당 | → | (현재) |
노르웨이의 여당 | ||||||||||||||||||||||||||||||||||||
---|---|---|---|---|---|---|---|---|---|---|---|---|---|---|---|---|---|---|---|---|---|---|---|---|---|---|---|---|---|---|---|---|---|---|---|---|
[ 펼치기 · 접기 ]
|
노르웨이의 정당(2023년 ~ 2024년) |
---|
[ 펼치기 · 접기 ]
|
노르웨이의 정당(2025년 ~ 2026년) |
---|
[ 펼치기 · 접기 ]
|
| ||||||||||||||||||||||
제10대 의회 2023년 8월 14일 ~ 2023년 10월 5일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 ||||||||||||||||||||||
| ||||||||||||||||||||||||||||||||||||||||
제8대 의회 2023년 10월 6일 ~ 2023년 12월 6일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 ||||||||||||||||||||||||||||||||||||||||
| ||||||||||||||||||||||||||||||||||||||||||||
제10대 의회 2024년 3월 6일 ~ 2024년 6월 5일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 ||||||||||||||||||||||||||||||||||||||||||||
| ||||||||||||||||||||||||||||
제11대 의회 2024년 6월 6일 ~ 2024년 8월 8일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 ||||||||||||||||||||||||||||
| ||
제12대 의회 2024년 8월 20일 ~ 2024년 11월 19일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 ||
| ||||||||||||||||||||||||||||||||||||||||||||||||||||||||||||||||
제13대 의회 2024년 11월 22일 ~ 2025년 1월 16일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 ||||||||||||||||||||||||||||||||||||||||||||||||||||||||||||||||
| ||||||||||||||||||||
제14대 의회 2025년 1월 21일 ~ 2025년 4월 20일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