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커피와 사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동시베리아 전쟁 =
{{글 숨김3|아원|ID=대한제국의 시베리아 정벌 2차ㅕ}}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536349; float: right; margin-top:5px;width:450px"
! colspan="3" style="background:#536349; color:#fff;width:450px"  | <big>'''동시베리아 전쟁'''</big><br/> 凍西伯利亞戰爭<br/>
한국어: 한소전쟁, 북방전선, 동시베리아 전쟁<br/>
러시아어: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대조국전쟁)<br/>
영어: Far East Front (극동전선), Great Patriotic War (대조국전쟁), East Siberian War (동시베리아 전쟁)
|-
! width={{{범례 너비|25%}}}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날짜
| colspan="2" | 1940년 3월 30일 ~ 1945년 6월 16일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장소
| colspan="2" | 아시아 · 시베리아 · 북태평양 및 사할린 해역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원인
| colspan="2" | [[제 2차 동아시아 전쟁|2차 동아대전]]으로 대표되는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의 팽창정책으로 인한 국제적인 제제와 공산주의에 대한 경계심이 합쳐진 대한제국의 소련 침공
|-
! rowspan="2"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교전국
! width=37.5%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연합국'''
! width=37.5%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추축국'''
|-
| style="vertical-align:top;" | [[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소비에트 연방<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미합중국<br/>[[File: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25px|border]] 몽골 인민공화국<br/>[[File:탄누투바.svg|25px|border]] 투바 인민 공화국 (~1944)<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중화민국<br/> └ [[File:중국 공산당 국기.svg|25px|border]] 중국 공산당<br/>[[File:멕시코 국기 고퀄.svg|25px|border]]  멕시코
| style="vertical-align:top;" | [[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대한제국<br/> └ [[File:CMS 러시아 차르국 국기.svg|25px|border]] 전 러시아 극동정부<br/> └ [[File:몽고국 국기.svg|25px|border]] 예케 몽골 울루스<br/> └ [[File:왕정위_정권기.svg|25px]] 중화민국 남경정부<br/> └ [[파일:송나라 조정기.svg|25px]] 후송 임시조정<br/> └ [[File:아합국 국기.svg|25px|border]] 아합국(1942~)<br/> └ [[File:의제아번_번기.svg|25px|border]] 의제아번(1943~)<br/> └ [[File:적탑번기.svg|25px|border]] 적탑번(1943~)<br/> └ [[File:젤레나 우크라이나 임시정부.svg|25px|border]] 젤레나 우크라이나 임시정부(1943~)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지원국
| style="vertical-align:top;" | [[File:자유프랑스.svg|25px|border]] 자유 프랑스 (1942~)<br/>[[File:English.svg|25px|border]] 영국 (1941)<br/> └ [[File:캐나다 자치령.svg|25px|border]] 캐나다 자치령<br/>[[File:핀란드 국기.svg|25px|border]] 핀란드 (1944~)
| style="vertical-align:top;" | [[File:나치 독일의 국기.svg|25px|border]] 나치 독일<ref>[[독소전쟁 (아침해의 원유관)|서부전선]]의 당사국이기도 했던 만큼 패망 이전까지 지원을 유지했다.</ref><br/>[[File:일본제국 국기.svg|25px|border]] 일본 제국<ref>전쟁 초반에는 일소불가침조약에 의거하여 직접적인 지원을 하지는 않았으나, 1942년부터 북태평양 일대에서 대한제국 해군을 끌어들일 목적으로서 일본령 코리히치(캄차카 반도)에 주둔한 일본군을 중심으로 마가단에서의 극동합작을 통한 지원을 유치.</ref><br/>[[File:이탈 왕국.svg|25px|border]] 이탈리아 왕국<br/>[[File:프랑스국 국기.svg|25px|border]] 비시 프랑스<br/>[[File:핀란드 국기.svg|25px|border]] 핀란드 (~1944)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지휘관
| style="vertical-align:top;" |{{펼접|id=example-one}}
| [[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이오시프 스탈린 (아침해의 원유관)|이오시프 스탈린]]'''<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세묜 부됸늬 (아침해의 원유관)|세묜 부됸늬]]<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아침해의 원유관)|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로디온 말리놉스키 (아침해의 원유관)|로디온 말리놉스키]]<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게오르기 주코프 (아침해의 원유관)|게오르기 주코프]]<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바실리 추이코프 (아침해의 원유관)|바실리 추이코프]]<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그리고리 시테른 (아침해의 원유관)|그리고리 시테른]]<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키릴 메레츠코프 (아침해의 원유관)|키릴 메레츠코프]]<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이반 치스차코프 (아침해의 원유관)|이반 치스차코프]]<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세묜 티모셴코 (아침해의 원유관)|세묜 티모셴코]]<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표도르 톨부힌 (아침해의 원유관)|표도르 톨부힌]]<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아침해의 원유관)|니콜라이 쿠즈네초프]]<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아침해의 원유관)|세르게이 고르시코프]]<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아침해의 원유관)|알렉산드르 노비코프]]<br/>[[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아침해의 원유관)|알렉산드르 노비코프]]<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아침해의 원유관)|프랭클린 D. 루스벨트]]†'''<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해리 S. 트루먼 (아침해의 원유관)|해리 S. 트루먼]]'''<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헨리 L. 스팀슨 (아침해의 원유관)|헨리 L. 스팀슨]]<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제임스 포레스탈 (아침해의 원유관)|제임스 포레스탈]]<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로버트 P. 패터슨 (아침해의 원유관)|로버트 P. 패터슨]]<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윌리엄 리히 (아침해의 원유관)|윌리엄 리히]]<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린썬 (아침해의 원유관)|린썬]]'''<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장제스 (아침해의 원유관)|장제스]]'''<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허잉친 (아침해의 원유관)|허잉친]]<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천청 (아침해의 원유관)|천청]]<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리쭝런 (아침해의 원유관)|리쭝런]]<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바이충시 (아침해의 원유관)|바이충시]]<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쑨리런 (아침해의 원유관)|쑨리런]]<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탕언보 (아침해의 원유관)|탕언보]]<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쉐웨 (아침해의 원유관)|쉐웨]]<br/>[[File:중국 공산당 국기.svg|25px|border]] '''[[마오쩌둥 (아침해의 원유관)|마오쩌둥]]'''<br/>[[File:중국 공산당 국기.svg|25px|border]] '''[[펑더화이 (아침해의 원유관)|펑더화이]]'''<br/>[[File: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25px|border]] [[허를러깅 처이발상 (아침해의 원유관)|허를러깅 처이발상]]
{{펼접끝}}
| style="vertical-align:top;" |{{펼접|id=example-two}}
|-
| [[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고종 성황제 이영 (아침해의 원유관)|고종 성황제]]'''<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김창암 (아침해의 원유관)|김창암]]'''<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송병조 (아침해의 원유관)|송병조]]'''<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의화군 이강 (아침해의 원유관)|의화군 이강]]'''<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이동녕 (아침해의 원유관)|이동녕]]†<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류동렬 (아침해의 원유관)|류동렬]]<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수영군 이건 (아침해의 원유관)|수영군 이건]]<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홍영군 이우 (아침해의 원유관)|홍영군 이우]]<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김광서 (아침해의 원유관)|김광서]]<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김홍일 (아침해의 원유관)|김홍일]]<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홍사익 (아침해의 원유관)|홍사익]]<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홍범도 (아침해의 원유관)|홍범도]]†<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이범석 (아침해의 원유관)|이범석]]<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김석원 (아침해의 원유관)|김석원]]<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김학규 (아침해의 원유관)|김학규]]<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오동진 (아침해의 원유관)|오동진]]<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김재균 (아침해의 원유관)|김재균]]<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신순성 (아침해의 원유관)|신순성]]<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양세봉 (아침해의 원유관)|양세봉]]<br/>[[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최용건 (아침해의 원유관)|최용건]]<br/>[[File:CMS 러시아 차르국 국기.svg|25px|border]]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아침해의 원유관)|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br/>[[File:CMS 러시아 차르국 국기.svg|25px|border]] [[그리고리 세묘노프 (아침해의 원유관)|그리고리 세묘노프]]<br/>[[File:CMS 러시아 차르국 국기.svg|25px|border]] [[표트르 브란겔 (아침해의 원유관)|표트르 브란겔]]<br/>[[File:CMS 러시아 차르국 국기.svg|25px|border]] [[비사리온 무스타핀 (아침해의 원유관)|비사리온 무스타핀]]<br/>[[File:몽고국 국기.svg|25px|border]] [[데므치그돈로브 (아침해의 원유관)|데므치그돈로브]]<br/>[[File:왕정위_정권기.svg|25px]] [[왕징웨이 (아침해의 원유관)|왕징웨이]]†<br/>[[File:왕정위_정권기.svg|25px]] [[천궁보 (아침해의 원유관)|천궁보]]
{{펼접끝}}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병력
| style="vertical-align:top;" | [[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 1,961,669명<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 53,258명<br/>[[File: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25px|border]] 24,500명<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 200,000명 이상
| style="vertical-align:top;" | [[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 1,500,000 ~ 1,800,000명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피해
| style="vertical-align:top;" | [[File:소비에트연방.svg|25px|border]]<br/>536,743명 전사 및 실종<br/>1,240,000명 부상<br/>민간인 16,000명 사망<br/>[[File:별이 빛나는 성조기.svg|25px|border]]<br/>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br/>24,425명 부상<br/>[[File: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25px|border]]<br/>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br/>24,425명 부상<br/>민간인 20,000~30,000명 사망<br/>[[File:청천백일만지홍기 고퀄.svg|25px|border]]<br/>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br/>민간인 약 1,700만 명 사망
| style="vertical-align:top;" | [[File: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5px|border]]<br/>680,397명 전사 및 실종<br/>1,304,200 부상<br/>민간인 약 550,000 ~ 1,000,000명 사망<br/> 중한전선 제외 총 1,485,397명 전사 및 실종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결과
| colspan="2" | '''연합국의 승리'''
|-
!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영향
| colspan="2" | '''연합군에 의한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강제 해체'''<br>'''[[소련 (아침해의 원유관)|소련]]의 초강대국 등극'''<br>'''아시아 북부전선 종결'''<br> '''[[6.15 광복 (아침해의 원유관)|만주를 비롯한]] 여러 민족의 독립과 점령으로 인한 [[러시아 차르국 (아침해의 원유관)|러시아 차르국]] 0호 체제의 종식'''
|-
|}
</div>
{{clearfix}}
----
{{글 숨김 끝3}}


= 방문자들을 위한 안내문 =
= 옌시산노스 =
 
{{글 숨김3|아원|ID=옌시산 회장님}}
이곳은 [[커피와 사탕]]의 연습장입니다. 흥미있거나 신박한 소재에 한해서 합작 또한 가능합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095; width: 100%;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000095; color: #fff" | 옌시산 관련 틀
= [[아침해의 원유관]] =
|-
 
| colspan="1"  | {{펼접|id=옌시산 관련 틀}}
= [[벛꽃이 질때까지]] =
|-
동명의 소설인 높은 성의 사나이 세계관의 설정들을 각색,확대 및 세세하게 정리해보는 문서이다. 배경은 루즈벨트와 처칠의 이른 암살로 인해 연합국이 추축국에게 패배한 세계를 배경으로 하며, 이 세계에서 각각 나치와 일본제국이 독일령 아메리카와 태평양 합중국 외 지역에서 무슨 일을 하였는지, 그리고 이 두 아메리카 점령지가 정확히 어떻게 돌아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
'''세력'''
{{역대 보촨그룹 총수 (아침해의 원유관)}}종우 홍.png
 
------
* '''아인하이츠팍트''':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에 가맹국들을 두고 있는 아인하이츠팍트는 대게르만국과 그 동맹, 혹은 괴뢰국들이 가입되어있는 국제기구이다. 다만 점거한 영토가 지나치게 광범위한 관계로 보통 '아메리카 팍트'와'유로피아 팍트'로 지부들을 나누어서 부르기도 한다. 대전 이후 원활한 지배를 위해 아메리카의 유대인을 제외한 백인 인구를 모두 아리아인으로 편입시킨 결과, 현재 아인하이츠팍트는 북미 경쟁과, 나아가서 태양계까지 넘나드는 세계 패권 경쟁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는 세력이라 볼 수 있다. 아인하이츠팍트의 우주 기술은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정점에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이들의 우주기지는 현재 달 그리고 화성에 설치되어있는 상태다. 공용화폐는 라이히스마르크화다.
{{역대 중화민국 행정원장 (아침해의 원유관)}}
 
------
* '''지중해 연맹''':3대 국제기구중 가장 약하다고 평가받는 기구로, 이탈리아 왕국과 스페인 왕국, 그리고 그들의 동맹들이 가입되어 있는 집단이다. 주로 지중해권 국가들과 아프리카 국가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빈약한 기본국력탓에 일본제국의 대동아공영권과도 격차가 심각할 수준으로 나는, 사실상 아인하이츠팍트의 하청집단 수준의 역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이들의 민주주의 및 자유도 수치는 현재 지구에서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독일과 일본에서 밥먹듯이 일어나는 전화기 도청도 꽤나 드문 편으로 이루어진다. 공용화폐는 지중해 페소화다.
|}
 
|}
* '''공영권''':두번째로 강대한 세력인 공영권은 일본제국이 지도하는 기구다. 본디 대동아공영권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으나, 호주와 아메리카 서부를 정복한 뒤 점령지에 있는 백인들의 모순성을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공영권'으로 부르는것을 권장하는 중이다. 다만, 1980년부터는 정식으로 서부 아메리카지역과 오세아니아 지역을 문화적으로 동아시아권으로 편입시키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공영권은 나치에 이어 가장 강대한 세력들 중 하나이나, 지도국 일본의 고질적인 문제 육해군 대립이 괴뢰국들과 식민지에도 반영되어, '아시아 공영권 동맹'과 '태평양 공영권 동맹'으로 대표되는 내부의 분열이 생각외로 심각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디 우주기술은 없었으나, 1980년대에 우주선 '이나자미'를 달로 발사하면서 우주 진출을 시작하였다. 공용화폐는 일본 엔이다.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20px; width: 100%;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000095; text-align: left"
 
|-
'''주요 국가들'''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e03636; color: #fff" | [[보촨그룹 (아침해의 원유관)|{{color|#fff|보촨}}]] 창업주
 
|-
-'''대독일국'''
! colspan="2" style="width:450px; color:#fff; background:#000095;" | 중화민국 제4대 행정원장<br>{{large|옌시산}}<br>{{후리가나|閻錫山|염석산}}<nowiki>|</nowiki>Yan Xishan
-북미와 아프리카의 자원, 그리고 구 소련의 요충지들과 유럽 국가들의 역량을 빨아들이면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거듭났다.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옌시산노스.jpg|450px]]</div>
주요 식민지
|-
-노르트아메리카 국가판무관부
! rowspan="2" width=25%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출생
-미텔아메리카 국가판무관부
| 1883년 10월 8일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
|-
 
| [[파일:알 신 상선기.svg|border|25px]] [[대순 (아침해의 원유관)|순나라]] 산시성 타이위안부 우타이현<br>(現 [[파일:중화민국의 국기.png|border|25px]] [[중화민국 (아침해의 원유관)|중화민국]] 산시성 타이위안시 우타이현)
-'''일본제국'''
|-
 
! rowspan="2" width=25%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사망
주요 식민지
| 1960년 5월 23일 (향년 76세)
-제국 대양주
|-
-제국 북방주
| [[파일:중화민국의 국기.png|border|25px]] [[중화민국 (아침해의 원유관)|중화민국]] 산시성 신저우 딩샹현 염가대원
-제국 태평양주
|-
 
! width=25%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국적
= 그대에게 영원한 승리의 왕관을 =
| [[파일:알 신 상선기.svg|border|25px]] [[대순 (아침해의 원유관)|순나라]]<br>→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25px|border]] [[중화민국 (아침해의 원유관)|중화민국(북양)]]<br>→ [[파일:중화민국의 국기.png|25px|border]] [[중화민국 (아침해의 원유관)|중화민국]]
 
|-
! colspan="1" rowspan="4" width="24%"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재임 기간
| colspan="1" style="background:#f5f5f5;color:#111;"| 제 1대 베이핑 국민정부 주석
|-
| colspan="1" style="font-size: ;" | 1930년 9월 9일 ~ 1930년 11월 4일
|-
| colspan="1" style="background:#f5f5f5;color:#111;"| 제 4대 행정원장
|-
| colspan="1" style="font-size: ;" | 1949년 6월 3일 ~ 1950년 3월 7일
|-
| colspan="4" |{{펼접|id=옌시산 정보}}
|-
! width=25%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부모
| 아버지 염서당<br>친모 곡월청, 계모 진수경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배우자
| 정실 [[쉬주칭 (아침해의 원유관)|쉬주칭]]<br>첩 [[쉬란썬 (아침해의 원유관)|쉬란썬]]
|-
! style="ccolor:#fff; background:#000095;" | 자녀
| 옌즈공(閻志恭),옌즈콴(閻志寬),옌즈신(閻志信),옌즈민(閻志敏),옌즈후이(閻志惠)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학력
| 타이위안 국립무비학당 <small>(졸업)</small><br>한성 성무학교 <small>(졸업)</small><br>[[대한육군무관학교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small>(19기)</small>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자
| 백천(百川, 伯川)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지역구
| 우타이현 선거구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최종당적
| {{중국 국민당 (아침해의 원유관)}}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서훈
| 청천백일훈장<br>운휘훈장
|-
! colspan="2"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군사 경력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임관
| 타이위안 국립무비학당 <small>(졸업)</small><br>한성 성무학교 <small>(졸업)</small><br>[[대한육군무관학교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small>(19기)</small>
|-
! rowspan="6" width=25%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복무
| style="font-size: ; background: #f5f5f5; color:#black;""|  [[파일:알 신 상선기.svg|border|25px]] 대순군
|-
| 1909년 ~ 1911년
|-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black;"|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24px|border|]] 북양군
|-
|| 1911년 ~ 1928년
|-
| style="background: #f5f5f5; color:#black;"|  [[파일:간계군벌 국기.svg|24px|border|]] 중화민국 국군
|-
| 1928년 ~ 1952년
|-
! style="color:#fff; background:#000095;" | 최종 계급
| 일급상장(一級上將) (☆☆☆)
|}</div></div>
|}
{{목차}}
{{-}}
== 개요 ==
== 개요 ==
{{인용문|우리는 이제, 독일 민족의 정당한 자격인 영지로서의 양지를 마침내 받아내었다. 이제부터 해나갈 일은 이 영지를 영지답게 만드는 일이다.|벨트쾨니히 총회의 초대 의장 오토 폰 비스마르크 2세}}
[[대순 (아침해의 원유관)|순나라]]의 혁명가,[[중화민국 (아침해의 원유관)|중화민국]]의 군벌, 군인, 정치가, 기업인.  


'''그대에게 영원한 승리의 왕관을''' 세계관은 2024 1월 13
장장 50년 가까이 중화민국 산시성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인사로 군림했으며, 오늘날 산시성에 본사를 둔 염계재벌의 창업주도 옌시산이다. 이 탓에 그에게 붙은 별명이 바로 '''산서의 토황제'''. 군벌 시절부터 당대 중국의 여러 군벌들 중에서는 드물게 경제성장, 사회개혁에 적극 힘썼기 때문에 모범 장관으로 불렸고, 정계에서 은퇴하여 재계활동에 몰두한 말년에도 막대한 이득을 벌어들이는 한편 양심적인 경영정책 덕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노환으로 인해 자신의 사저인 염가대원에서 병사했다.
8일부터<ref>독일 시간 기준</ref> 구상을 시작한 세계관이다. 2020년대 제이위키에서 광기의 창작자로서 유명했던 이들의 세계관을 모델로 구상을 시작하였으며,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외계인에게 납치(?)되었다가, 발전된 기술 및 미래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되면서 바뀌게 된 역사를 주로 다루는 내용이다.
</div>
 
{{clearfix}}
== 내용 ==
----
 
{{글 숨김 끝3}}
= 낙일상맹 =
= 황국 =
 
{{글 숨김3|콩코드|ID=dfgfd}}
== 개요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fff; font-size:10.5pt; float:right"
{{인용문|일본은 영미의 식민지가 아니다!!! 에도 막부 만세!!!! |하야시 리스케, 신센구미 대원}}
|-
{{인용문|재팬은 미개하여 스스로를 통치할 자격이 없으니 미국의 도움을 받는것이 마땅하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미 대통령}}
! colspan="4"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da251d 81%, #da251d 90%, #29166f 90%); color:#240f6f" | [[파일:EOK국장.svg|30px|link=]]<br>{{글씨 색|#240f6f|{{large|대한국}}}}<br>{{글씨 색|#240f6f|大韓國 <nowiki>|</nowiki> Korea}}
 
|-
'''낙일상맹'''은 미국의 자치령이 되어버리게 된 상황에 처한 일본을 다룬 소세계관이다. 너무나 많은 권한을 잡았던 고메이 덴노의 오판으로 인해 일본의 정세가 오히려 더 막장으로 변하면서 졸지에 막부가 존황파를 앞서는 명분을 가지게 되버렸고, 이런 혼란한 정국 속에 영국이 개입하면서 영미의 패권다툼이 벌어지는 일본 열도를 주로 그리고 있다.
! colspan="3 "style="height:150px" | {{테두리|[[파일:대한국 국기 광목성대.svg|150px]]}}
 
! [[파일:원유관아침_대한국_국장.png|x110px]]
특징 중 하나라면 존황파의 조기 몰락으로, 고메이 덴노의 심각한 실수로 인해서 오히려 존황파는 일본 내에서 혐오받는 조직 중 하나로 거듭나버린 상황이다. 한편, 조선은 이미 영국의 식민지인 '''영국령 조선왕국'''이 되어버렸다.
|-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da251d; color:#fff" | 국기
= [[또 한번의 남북시대]](임시명칭) =
! width="50%" style="background:#29166f; color:#fff" | 국장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max-width:430px; font-size:10.5pt; border: 2px solid #ED1C27; float: right"
! colspan="4" width="100%" style="color:#da251d;"|  '''광명천지'''<br>'''{{글씨 색|#29166f|光明天地}}'''
! colspan="4" width=430px style="color:#fff;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7%, #FFF 17%, #FFF 19%, #ED1C27 19%, #ED1C27 81%, #FFF 81%, #FFF 83%, #024FA2 83%, #024FA2)" | [[파일:북한 국장.png|30px]]<br>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상징
|-
|-
! colspan="4" class="dark:bg-jwiki-020" style="background:#e0e0e0" | [[파일:만주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webp|20px|link=]] {{color|#fff|만주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구성국}}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국가</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애국가
|-
|-
| colspan="2" width=50% style="padding:5%" |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png|200px]]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국화</center>
| colspan="2" width=50% | [[파일:북한 국장.png|100px]]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무궁화,오얏꽃
|-
|-
! colspan="2" style="background:#024FA2; color:#fff;" | 국기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center>국조</center>
! style="background:#024FA2; color:#fff;" | 국장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참매
|-
|-
! colspan="4" width="100%" style="color:#024FA2;"| '''강성국가'''<br>'''強盛國家'''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역사
|-
|-
| colspan="4" style="color:#fff; background:#ED1C27;" | '''상징'''
| colspan="4" |{{펼접|id=ks-1}}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colspan="1" width="35%" style="background:#024FA2; color:#fff;" | '''국가'''
| 개국 1392년 8월 5일<br>[[태조 고황제 (광목성대)|태조 고황제]] 즉위  1392년 8월 13일<br>[[조미수호통상조규 (광목성대)|조미수호통상조규]] 1871년 9월 11일<br>[[조일수호조규 (광목성대)|조일수호조규]] 1875년 2월 27일<br>[[갑신경신 (광목성대)|갑신경신]] 1883년 9월 11일<br>홍문 16조 반포 및 [[대조선국 (광목성대)|대조선국]] 선포 1886년 5월 1일<br>칭제건원 및 [[대한제국 (광목성대)|대한제국]] 선포 1894년 10월 12일<br>[[흠정대한국 국제 (광목성대)|흠정대한국 국제]] 공포 1899년 8월 17일<br>[[대한통감부 (광목성대)|통감부]] 설치 1940년 7월 25일<br>[[대한독립전쟁 (광목성대)|독립전쟁]] 발발 1944년 8월 29일<br>[[연합군 점령 하 대한 (광목성대)|연합군의 점령]] 1945년 8월 15일<br>[[대한국 국제 (광목성대)|대한국 국제]] 공포 1946년 10월 17일<br>대한국 국제 시행 및 대한국 출범 1947년 11월 29일<br>[[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광목성대)|국권회복]] 1952년 4월 28일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애국가
|}</div></div>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국화</center>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지리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목란꽃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국조</center>
| colspan="4" |{{펼접|id=ks-34567890-1}}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까치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국수</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수도|최대도시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소나무
</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한성부 (광목성대)|경성 한성부]]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면적</center>
| colspan="4" |{{펼접|id=DPRK-1}}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223,646 km²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내수면</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5,370 km²
|-
|-
| 광복 1945년 8월 15일</br>소비에트 민정청 수립 1945년 10월 3일</br>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수립 1946년 2월 16일</br>북조선인민위원회 수립 1947년 2월 22일<br>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1948년 9월 9일</br>6.25 전쟁 발발 1950년 6월 25일</br>국부천대의 고난 종료 및 만주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수립 1958년 1956년 8월 30일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위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동북아시아 대한반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주변국</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파일:일본 국기.webp.svg|22px|border|link=]] [[일본 (광목성대)|일본국]]<br>[[파일:북양정부 국기.svg|22px|border|link=]] [[중화민국 (광목성대)|중화민국]]<br>[[파일:러시아 국기.png|22px|border|link=]] [[러시아 (광목성대)|러시아]]
|}</div></div>
|}</div></div>
|-
|-
! colspan="4" style="background:#ED1C27; color:#fff;" | 지리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인문환경
|-
| colspan="4" |{{펼접|id=ks-2}}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수도</center>
| colspan="1" rowspan="5" width="15%"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인구'''</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연길시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총 인구'''</center>
| colspan="2" align=left | 87,954,922명<small>(2023년)</small>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최대도시</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민족 구성'''</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연길시
| colspan="2" align=left | [[한민족 (광목성대)|한민족]] 97.4%<br/>일본인 1.05%<br/>중국인 0.75%<br/>러시아인 0.26%<br/>태국인 0.35%<br/>기타 0.27%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면적</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인구밀도'''</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233,437 km2²
| colspan="2" align=left | 392.9명/km²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위치</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출산율'''</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동북아시아 남만주 일대
| colspan="2" align=left | 1.23명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주변국</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기대수명'''</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대한제국, 둥베이인민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
| colspan="2" align=left | 84.4<small>(2024년 기준)</small>
|-
|-
! colspan="4" style="background:#ED1C27; color:#fff;" | 인문환경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언어</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공용어'''</center>
| colspan="2" align=left | 한국어<small>사실상</small>
|-
|-
| colspan="4" |{{펼접|id=DPRK-2}}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공용문자'''</center>
| colspan="2" align=left | 한자, 한글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총 인구</center>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종교</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약 3700만명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국교'''</center>
| colspan="2" align=left | 없음<small>(제정분리)</small>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공용어</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종교 분포'''</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중국어, 몽골어, 러시아어, 문화어 <small>(법정 공용어)</small>
| colspan="2" align=left | 무종교 50.8%<br/>불교 20.3%<br/>기독교 20.7%(개신교 10.4, 카톨릭 10.3)<br/>천도교 2.7%<br/>대종교 1.3%<br/>그 외 5.2%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공용 문자</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군대'''</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한글 <small>(법정 문자)</small>, 한자, 키릴 문자
| colspan="2" align=left | 없음 (사실상 [[경비사 (광목성대)|경비사]])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민족</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주둔군'''</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조선인 92%</br>중국인 6%, 그 외 2%
| colspan="2" align=left | 주한미군, UN군
|}</div></div>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국교</center>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하위 행정구역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국교 없음 <small>(국가무신론)</small>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종교 분포</center>
| colspan="4" |{{펼접|id=ks-26}}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무종교 64.5%, 민족종교 16.0%, 천도교 13.5%, 불교 4%, 개신교 2%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군대</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경부도</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없음(만주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연방군인 만주연방군이 대체)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3경(京) 13부(府) 15개 도(道)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시현방</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150시(郡) 155현(縣) 87방(坊) 25특별방(特別坊)
|}</div></div>
|}</div></div>
|-
|-
! colspan="4" style="background:#ED1C27; color:#fff;" |  정치 및 경제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정치  
|-
| colspan="4" |{{펼접|id=ks-3}}
|-
|-
| colspan="4" |{{펼접|id=DPRK-3}}
| colspan="2" align="center"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정치 체제'''</center>
| colspan="2" align="left"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의원내각제, 일당우위제, 양원제, 단일국가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정치 체제</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국가 원수'''</center><small>(대황제)</small>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사회주의, 인민민주주의, 공화제, 연방제, 일당제 → 다당제, 양원제, 연방제, 사회주의
| [[태창제 이순 (광목성대)|태창제]]<ref>2024년 기준</ref>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국가 원수</center>
| colspan="1" width="15%" rowspan="4"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연방 최고회의 주석 → 연방회의 수상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광목성대)|{{color|#fff|내각총리대신}}]]<div>(정부수반)'''
| [[한덕수 (광목성대)|한덕수]]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정부 수반</center><small>(황제)</small>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참의원 의장'''</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공화국 연맹의원장
| [[이회창 (광목성대)|이회창]]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민주주의 지수</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민의원 의장'''</center>
| colspan="4" style=" | 163개국중 45위<br>(결함있는 민주주의)<ref>7.31점</ref>
| [[김진표 (광목성대)|김진표]]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여당</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평리원장'''</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만주공산당
| [[조희대 (광목성대)|조희대]]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경제 체제</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민주주의 지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사회주의적 계획경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colspan="2" align="left" | 163개국 중 17위,'''{{글씨 색|green|완전한 민주주의}}'''<ref>8.65점</ref>
|-
|-
! colspan="1" rowspan="2" width="15%" style="color: #fff; background: #024FA2;" | 명목 GDP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여당'''</center>
      ! colspan="1" width="15%" style="color: #fff; background:  #024FA2;" | 전체 GDP
| colspan="2" align="left" | [[민주자유당 (광목성대)|민주자유당]]
      | colspan="4" style=" |
      |-
      ! colspan="1" style="color: #fff; background:  #024FA2;" | 1인당 GDP
      | colspan="4" style=" |  
|-
|-
      ! colspan="1" rowspan="2" style="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GDP(PPP)</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연립여당'''</center>
      ! colspan="1" style="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전체 GDP
| colspan="2" align="left" | [[천도교정우회 (광목성대)|천도교정우회]]
      | colspan="4" style=" |
      |-
      ! colspan="1" style="color: #fff; background:  #024FA2;" | 1인당 GDP
      | colspan="4" style="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24FA2;" | <center>통화</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국성'''</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만주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원 ()
| colspan="2" align="left" | 전주 이씨(全州 李氏)<ref>영어로는 House (of) Yi.</ref>
|}</div></div>
|}</div></div>
|-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경제
|-
| colspan="4" |{{펼접|id=ks-4}}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da251d;" | <center>'''경제체제'''</center>
| colspan="2" align="left"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명목 GDP'''</center>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전체GDP'''</center>
| colspan="2" align="left" | 2조 6,765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8위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center>'''1인당 GDP'''</center>
| colspan="2" align="left" | 54,036$<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36위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GDP<br>(PPP)'''</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전체 GDP'''</center>
| colspan="2" align="left" | 3조 3,420억$<sup>(2022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6위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1인당 GDP'''</center>
| colspan="2" align="left" | 39,345$<sup>(2022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18위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국부'''</center>
| colspan="2" align="left" | 14조 6,330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7위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수출입액'''</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수출'''</center>
| colspan="2" align="left" | 6,212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4위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수입'''</center>
| colspan="2" align="left" | 6,354억$<sup>(2024년 기준)</sup>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외환보유액'''</center>
| colspan="2" align="left" | 1,947억 8,756만$<sup>(2024년 기준)</sup>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신용등급'''</center>
| colspan="2" align="left" | 무디스 Aa2<br>
S&P AA<br>Fitch A-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화폐'''</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공식 화폐'''</center>
| colspan="2" align="left" | 대한국 원(圓,₩)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ISO 4217'''</center>
| colspan="2" align="left" | KW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국가예산'''</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center>'''1년 세입'''</center>
| colspan="2" align="left" | 1조 6578억$<sup>(2024년 기준)</sup>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1년 세출'''</center>
| colspan="2" align="left" | 1조 1,654억$<sup>(2024년 기준)</sup>
|-
|}</div></div>
|-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단위
|-
| colspan="4" |{{펼접|id=ks-5}}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법정 연호</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태창 시대 (광목성대)|태창]](泰昌)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시간대</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UTC+9(한국 표준시)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도량형</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SI 단위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center>운전석(통행 방향)</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오른쪽(우측통행)
|}</div></div>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외교
|-
| colspan="4" |{{펼접|id=ks-6}}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UN 가입</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1956년 7월 25일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da251d;" | <center>수교국</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195개국
|}</div></div>
|-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ccTLD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kr, .한국
|-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국가코드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408, KOR
|-
! colspan="4" style="background:#29166f; color: #fff;" | 국제전화 코드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82
|-
! colspan="4"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da251d 81%, #da251d 90%, #29166f 90%); color:#fff;" |[[파일:원유관아침_대한국_국장.png|30px|link=]]
|-
|}</div>
|}
|}
{{clearfix}}
{{목차}}
{{목차}}
{{clearfix}}
{{-}}
 
== 개요 ==
= [[정족지세:무쇠솥 아래에서]] =
'''대한국(大韓國)''', 통칭 '''대한(大韓)''', '''한국(韓國)'''은 동아시아의 입헌군주국이다.
정족지세:무쇠솥 아래에서는 아침해의 원유관에 기반한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북쪽으로는 중화민국과 러시아, 남쪽 해양으로는 일본과 인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청해와도 인접하는 대한반도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약 9천만명으로 세계 18위에 달하며,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은 점, 산지 면적이 국토의 70퍼센트를 차지하는 점 탓에 인구 밀도가 높은 편이다. 특히 [[경성 한성부 (광목성대)|한성부]]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인구의 약 40%가 몰려있는 세계 최대의 대도시권 중 하나다.  
 
아침해의 원유관이 한국과 아시아 방면의 근대 및 최근의 현대사에 대한 간략한 설명, 배경설정 등에 치중해있다면 해당 세계관은 현대사에 중점을 두고 서사성을 위주로 세계관의 작성을 하고자 기획하고 있으며, 아침해의 원유관의 설정이 어느정도 구비되었다고 판단됬을 때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주 테마는 상하이 안보 조약기구의 중화인민공화국,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미국과 그 동맹인 유럽연합 및 태평양 의정서 기구, 소련의 바르샤바 조약기구가 현대에 펼치는 일종의 새로운 그레이트 게임이며, 이 거대한 대립과 더불어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 속 세계의 전경을 묘사해보고자 한다.  
대한국은 정치적으로는 양원제 의원내각제와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한국 헌법 1조에 의거하여 [[대황제 (광목성대)|대황제]]를 한국인의 정신적인 군주로서 상징적인 국가원수로 하되, 실권은 정부수반인 내각리대신에게 있는 정치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의결기관인 국회는 크게 비례대표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하는 [[대한국 참의원 (광목성대)|참의원]](상원)과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한국 민의원 (광목성대)|민의원]](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화의 희구에 대한 조항이 헌법에 존재하는 관계로, 정식 군대가 아닌 [[경비사 (광목성대)|경비사]]라는 준군사조직을 통해서만 기본적인 경비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연()=흥종 정황제
1871년 개항 이후 다사다난한 근대사를 [[대한제국 (광목성대)|대한제국]] 시대동안 보냈으며, 특히 1940년대부터 통감부가 설치된 이래 일본의 국권침탈이 심각해지자 1944년 내전을 통해 일본의 세력을 축출한 뒤 신속히 연합국에게 항복했다. 전후 대한반도는 연합군의 점령을 받았고, 국권 회복 이후 미국의 대(對) 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박정희 내각 시기 [[향촌진흥운동 (광목성대)|향촌진흥운동]]등 고도의 발전을 거듭한 한편 마셜 플랜의 지원하에 막강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대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지역강대국이다.[[한국 원 (광목성대)|한국 원]]은 대한국의 높은 경제 수준과 안전성, 거대한 자산 규모 덕에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기도 하는 신뢰성이 높은 통화이며, 이 때문에 원화는 미국 달러, 유로, 엔화, 위안, 영국 파운드와 함께 무역통화로 꼽힌다. 대한의 GDP는 프랑스에 이은 세계 8위이며, 금 보유고 세계 5위, 주식시장 규모 세계 7위, 대외순자산 규모 세계 3위 및 국제통화기금(IMF) 투표권이 세계5위를 차지하는 등 수준높은 경제력을 자랑한다. 비서양권 국가 중 일본과 더불어 유일한 G7 회원국이기도 하다. 광복 대한제국 국기.svg
----
----
{{글 숨김 끝3}}
[[분류:커피와 사탕]]
[[분류:커피와 사탕]]

2025년 4월 11일 (금) 22:00 기준 최신판

동시베리아 전쟁

아원
동시베리아 전쟁
凍西伯利亞戰爭

한국어: 한소전쟁, 북방전선, 동시베리아 전쟁
러시아어: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대조국전쟁)
영어: Far East Front (극동전선), Great Patriotic War (대조국전쟁), East Siberian War (동시베리아 전쟁)

날짜 1940년 3월 30일 ~ 1945년 6월 16일
장소 아시아 · 시베리아 · 북태평양 및 사할린 해역
원인 2차 동아대전으로 대표되는 대한제국의 팽창정책으로 인한 국제적인 제제와 공산주의에 대한 경계심이 합쳐진 대한제국의 소련 침공
교전국 연합국 추축국
소비에트 연방
미합중국
몽골 인민공화국
투바 인민 공화국 (~1944)
중화민국
중국 공산당
멕시코
대한제국
전 러시아 극동정부
예케 몽골 울루스
중화민국 남경정부
후송 임시조정
아합국(1942~)
의제아번(1943~)
적탑번(1943~)
젤레나 우크라이나 임시정부(1943~)
지원국 자유 프랑스 (1942~)
영국 (1941)
캐나다 자치령
핀란드 (1944~)
나치 독일[1]
일본 제국[2]
이탈리아 왕국
비시 프랑스
핀란드 (~1944)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병력 1,961,669명
53,258명
24,500명
200,000명 이상
1,500,000 ~ 1,800,000명
피해
536,743명 전사 및 실종
1,240,000명 부상
민간인 16,000명 사망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24,425명 부상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24,425명 부상
민간인 20,000~30,000명 사망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민간인 약 1,700만 명 사망

680,397명 전사 및 실종
1,304,200 부상
민간인 약 550,000 ~ 1,000,000명 사망
중한전선 제외 총 1,485,397명 전사 및 실종
결과 연합국의 승리
영향 연합군에 의한 대한제국 강제 해체
소련의 초강대국 등극
아시아 북부전선 종결
만주를 비롯한 여러 민족의 독립과 점령으로 인한 러시아 차르국 0호 체제의 종식

옌시산노스

아원
옌시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보촨 창업주
중화민국 제4대 행정원장
옌시산
閻錫山 (염석산)|Yan Xishan
출생 1883년 10월 8일
순나라 산시성 타이위안부 우타이현
(現 중화민국 산시성 타이위안시 우타이현)
사망 1960년 5월 23일 (향년 76세)
중화민국 산시성 신저우 딩샹현 염가대원
국적 순나라
중화민국(북양)
중화민국
재임 기간 제 1대 베이핑 국민정부 주석
1930년 9월 9일 ~ 1930년 11월 4일
제 4대 행정원장
1949년 6월 3일 ~ 1950년 3월 7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염서당
친모 곡월청, 계모 진수경
배우자 정실 쉬주칭
쉬란썬
자녀 옌즈공(閻志恭),옌즈콴(閻志寬),옌즈신(閻志信),옌즈민(閻志敏),옌즈후이(閻志惠)
학력 타이위안 국립무비학당 (졸업)
한성 성무학교 (졸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19기)
백천(百川, 伯川)
지역구 우타이현 선거구
최종당적
서훈 청천백일훈장
운휘훈장
군사 경력
임관 타이위안 국립무비학당 (졸업)
한성 성무학교 (졸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19기)
복무 대순군
1909년 ~ 1911년
북양군
1911년 ~ 1928년
중화민국 국군
1928년 ~ 1952년
최종 계급 일급상장(一級上將) (☆☆☆)

개요

순나라의 혁명가,중화민국의 군벌, 군인, 정치가, 기업인.

장장 50년 가까이 중화민국 산시성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인사로 군림했으며, 오늘날 산시성에 본사를 둔 염계재벌의 창업주도 옌시산이다. 이 탓에 그에게 붙은 별명이 바로 산서의 토황제. 군벌 시절부터 당대 중국의 여러 군벌들 중에서는 드물게 경제성장, 사회개혁에 적극 힘썼기 때문에 모범 장관으로 불렸고, 정계에서 은퇴하여 재계활동에 몰두한 말년에도 막대한 이득을 벌어들이는 한편 양심적인 경영정책 덕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노환으로 인해 자신의 사저인 염가대원에서 병사했다.


황국

콩코드

대한국
大韓國 | Korea
국기 국장
광명천지
光明天地
상징
국가
애국가
국화
무궁화,오얏꽃
국조
참매
역사
[ 펼치기 · 접기 ]
개국 1392년 8월 5일
태조 고황제 즉위 1392년 8월 13일
조미수호통상조규 1871년 9월 11일
조일수호조규 1875년 2월 27일
갑신경신 1883년 9월 11일
홍문 16조 반포 및 대조선국 선포 1886년 5월 1일
칭제건원 및 대한제국 선포 1894년 10월 12일
흠정대한국 국제 공포 1899년 8월 17일
통감부 설치 1940년 7월 25일
독립전쟁 발발 1944년 8월 29일
연합군의 점령 1945년 8월 15일
대한국 국제 공포 1946년 10월 17일
대한국 국제 시행 및 대한국 출범 1947년 11월 29일
국권회복 1952년 4월 28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최대도시
경성 한성부
면적
223,646 km²
내수면
5,370 km²
위치
동북아시아 대한반도
주변국
일본국
중화민국
러시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87,954,922명(2023년)
민족 구성
한민족 97.4%
일본인 1.05%
중국인 0.75%
러시아인 0.26%
태국인 0.35%
기타 0.27%
인구밀도
392.9명/km²
출산율
1.23명
기대수명
84.4(2024년 기준)
언어
공용어
한국어사실상
공용문자
한자, 한글
종교
국교
없음(제정분리)
종교 분포
무종교 50.8%
불교 20.3%
기독교 20.7%(개신교 10.4, 카톨릭 10.3)
천도교 2.7%
대종교 1.3%
그 외 5.2%
군대
없음 (사실상 경비사)
주둔군
주한미군, UN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경부도
3경(京) 13부(府) 15개 도(道)
시현방
150시(郡) 155현(縣) 87방(坊) 25특별방(特別坊)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의원내각제, 일당우위제, 양원제, 단일국가
국가 원수
(대황제)
태창제[3]
정부
요인
내각총리대신
(정부수반)
한덕수
참의원 의장
이회창
민의원 의장
김진표
평리원장
조희대
민주주의 지수
163개국 중 17위,완전한 민주주의[4]
여당
민주자유당
연립여당
천도교정우회
국성
전주 이씨(全州 李氏)[5]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GDP
2조 6,765억$(2024년 기준) |세계 8위
1인당 GDP
54,036$(2024년 기준) |세계 36위
GDP
(PPP)
전체 GDP
3조 3,420억$(2022년 기준) |세계 6위
1인당 GDP
39,345$(2022년 기준) |세계 18위
국부
14조 6,330억$(2024년 기준) |세계 7위
수출입액
수출
6,212억$(2024년 기준) |세계 4위
수입
6,354억$(2024년 기준)
외환보유액
1,947억 8,756만$(2024년 기준)
신용등급
무디스 Aa2

S&P A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대한국 원(圓,₩)
ISO 4217
KW
국가예산
1년 세입
1조 6578억$(2024년 기준)
1년 세출
1조 1,654억$(2024년 기준)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태창(泰昌)
시간대
UTC+9(한국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운전석(통행 방향)
오른쪽(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UN 가입
1956년 7월 25일
수교국
195개국
ccTLD
.kr, .한국
국가코드
408, KOR
국제전화 코드
+82

개요

대한국(大韓國), 통칭 대한(大韓), 한국(韓國)은 동아시아의 입헌군주국이다. 북쪽으로는 중화민국과 러시아, 남쪽 해양으로는 일본과 인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청해와도 인접하는 대한반도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약 9천만명으로 세계 18위에 달하며,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은 점, 산지 면적이 국토의 70퍼센트를 차지하는 점 탓에 인구 밀도가 높은 편이다. 특히 한성부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인구의 약 40%가 몰려있는 세계 최대의 대도시권 중 하나다.

대한국은 정치적으로는 양원제 의원내각제와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한국 헌법 1조에 의거하여 대황제를 한국인의 정신적인 군주로서 상징적인 국가원수로 하되, 실권은 정부수반인 내각리대신에게 있는 정치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의결기관인 국회는 크게 비례대표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하는 참의원(상원)과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민의원(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화의 희구에 대한 조항이 헌법에 존재하는 관계로, 정식 군대가 아닌 경비사라는 준군사조직을 통해서만 기본적인 경비권을 행사할 수 있다.

1871년 개항 이후 다사다난한 근대사를 대한제국 시대동안 보냈으며, 특히 1940년대부터 통감부가 설치된 이래 일본의 국권침탈이 심각해지자 1944년 내전을 통해 일본의 세력을 축출한 뒤 신속히 연합국에게 항복했다. 전후 대한반도는 연합군의 점령을 받았고, 국권 회복 이후 미국의 대(對) 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박정희 내각 시기 향촌진흥운동등 고도의 발전을 거듭한 한편 마셜 플랜의 지원하에 막강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대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지역강대국이다.한국 원은 대한국의 높은 경제 수준과 안전성, 거대한 자산 규모 덕에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기도 하는 신뢰성이 높은 통화이며, 이 때문에 원화는 미국 달러, 유로, 엔화, 위안, 영국 파운드와 함께 무역통화로 꼽힌다. 대한의 GDP는 프랑스에 이은 세계 8위이며, 금 보유고 세계 5위, 주식시장 규모 세계 7위, 대외순자산 규모 세계 3위 및 국제통화기금(IMF) 투표권이 세계5위를 차지하는 등 수준높은 경제력을 자랑한다. 비서양권 국가 중 일본과 더불어 유일한 G7 회원국이기도 하다. 광복 대한제국 국기.svg


  1. 서부전선의 당사국이기도 했던 만큼 패망 이전까지 지원을 유지했다.
  2. 전쟁 초반에는 일소불가침조약에 의거하여 직접적인 지원을 하지는 않았으나, 1942년부터 북태평양 일대에서 대한제국 해군을 끌어들일 목적으로서 일본령 코리히치(캄차카 반도)에 주둔한 일본군을 중심으로 마가단에서의 극동합작을 통한 지원을 유치.
  3. 2024년 기준
  4. 8.65점
  5. 영어로는 House (of) 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