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아침해의 원유관)

 [ 국가 목록 ] 
 [ 소개 ]  
아침해의 원유관
아침해의 원유관은 임진왜란 축소로 인해 뒤바뀐 한국의 근현대사를 다룬 세계관입니다.
청화대에 이화문이 꽂혀있는 이 세계의 국가, 사회, 정치 및 문화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대한국

일본국

대금민국

러시아 차르국

중화민국

티베트 왕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련

마다가스카르 왕국

몽골

타이완민주주의인민공화제국

대한제국

대한 공화국

예케 몽골 울루스

대청제국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상징
정치
외교
사법 · 치안
군사
[ 역사 ]
일반
국가 · 시대
[ 사회 · 경제 ]
경제
교육
언어
지리
과학 · 기술
교통
교포
[ 문화 · 사상 ]
매체
전통문화
음식
종교 · 신화
사상 스탈린주의 · 글라스노스트의 원칙 · 레닌주의
스포츠
기타
[ 기타 ]
기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국기[1] 국장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상징
국가
소비에트 연방 찬가
국화
해바라기
역사
[ 펼치기 · 접기 ]
1917년 10월 혁명
1922년 연방수립조약
1941년 대조국전쟁
1970년 데당트
1990년 10년 계획 시작
2000년 크리스마스 선언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최대도시
모스크바
면적
22,236,300km²
내수비
12.9%
위치
유라시아 북부, 중앙아시아,동유럽
주변국
러시아 차르국
몽골 공화국
대금민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폴란드
노르웨이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95,189,913(2024년)
민족 구성
러시아인 (43.7%)
우크라이나인 (14.9%)
우즈베크인 (12.1%)
카자흐인 (4.5%)
아제르바이잔인 (4.6%)
벨라루스인 (4.8%)
타지크인 (3.2%)
타타르인 (2.3%)
투르크멘인 (1.9%)
키르기스인 (1.8%)
기타 (6.2%)
인구밀도
13.5명/km2
출산율
2.03명
기대수명
82.5(2024년 기준)
언어
공용어
러시아어사실상
상용어
우크라이나어, 우즈베크어, 카자흐어, 아제르바이잔어, 벨라루스어, 타지크어, 타타르어, 투르크멘어, 키르기스어, 아르메니아어, 그루지야어,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에스토니아어, 몰도바어
지역어
가가우즈어, 바시키르어, 사하어, 알타이어, 인구시어 등
공용문자
키릴 문자(사실상)
종교
국교
없음(국가무신론)
종교 분포
무종교 및 무신론 61.8%
정교회 25.7%
이슬람 9.4%
기타 4.1%
군대
소비에트 연방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공화국
1개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14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2개 특별행정관구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사회주의, 공산주의, 양원제, 공화제, 민주집중제, 일당우위제, 연방제, 중앙집권제, 성문법주의
국가 원수
(연방 최고회의 의장, 소련 공산당 서기장)
파벨 니콜라예비치 그루디닌[2]
정부
요인
장관회의 의장
(정부수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전인민대회 의장
알렉산드르 주코프
대법원장
뱌체슬라프 볼로딘
민주주의 지수
163개국 중 108위,권위주의[3]
여당
소련 공산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사회주의적 시장경제(명목상)
과학사회주의적 계획경제(사실상)
명목 GDP
전체GDP
10조 8,898억$세계 2위
1인당 GDP
29,675$세계 47위
GDP
(PPP)
전체 GDP
12조 9,567억$세계 2위
1인당 GDP
25,937 $세계 33위
국부
6조 880억$세계 13위
수출입액
수출
8,346억 5,200만$2017
수입
6,579억 9,340만$2017
외환보유액
2조 3,497억$2024
신용등급
무디스 Aa3

S&P A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소련 루블(₽, рубль)
ISO 4217
RUB
국가예산
1년 세입
9,835억 4,335만$2017
1년 세출
9,719억 4,335만$2017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2 ~ +12[4]
도량형
SI 단위
운전석(통행 방향)
오른쪽(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최초 수교:1867년 7월 7일
연방성립 후 수교:1945년 10월 24일[5]
무비자입국 가능시간
양국 모두 비자필요[6]
UN 가입
1945년 10월 24일(창립회원국)
수교국
192개국
주한대사관·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소련대사관
황경 한성부 성내방 서소문로11길 53
주평양총영사관
서경 평양부 중평방 광덕로 86
주동래총영사관
동래부 임소구 부평로 56
주인천총영사관
인천부 연수구 갯벌로 12
ccTLD
.su
국가코드
810, SU, SUN
국제전화 코드
+7
위치
수도 모스크바의 전경

레닌그라드의 전경

개요


소비에트 권력이란 무엇인가? 국민 대다수가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이 새로운 권력의 본질은 무엇인가? 점점 노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이 권력의 본질은 부자들과 자본가들이 독점하던 국가 경영이 이제는 처음으로 억압받고 박해당하던 계급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블라디미르 레닌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통칭 소련(蘇聯)은 20세기 러시아 혁명을 통해 유라시아 북부에 건국된 공산주의 국가이다. 제 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래 공산권을 위시한 제 2세계의 종구국로서 군림해오고 있다.

상징

국호

국기

국장

사회

자연환경

정치

최고회의 의장

장관회의

전인민대회

행정구역

외교

한소관계

미소관계

금소관계

일소관계

독소관계

중소관계

러소관계

경제

특징

소련의 경제 체제는 계획 경제를 토대로 한 사회주의 경제에 기반해있다. 흔히 소련의 경제라고 하면 세간에서는 스탈린 시절의 시스템을 떠올리기 십상이지만, 그 이후로 상당한 시간이 지난 오늘날에는 모든 경제요소를 중앙의 단일 기구에서 통제하지 않는다. 산업의 부문과 특성에 따라 중앙집권화/자율화 되어있다. 그러나 모든 경제 요소들은 집산주의적 경제구조 내에서 느슨하거나 끈끈하게 연결되어있다.

2024년 기준 소련의 경제는 세계 2위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서구를 비롯한 제 1세계의 자유시장경제와 대비되는 사회주의 경제 체제의 중심 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경제는 막대한 인구와 영토, 자원을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또한 사회주의 경제의 특성 상 국민들의 소득 격차가 낮고 따라서 전반적인 구매력이 상승했는데, 이 구매력으로 구축된 거대한 소련 시장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있어 막대한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며, 동시에 거대한 경쟁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소련산 상품들과 서구 상품들이 세계 시장에서 가격 및 품질 경쟁을 벌이면서 소련의 경제적 위협론이 대두되는 등의 현상도 벌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미국을 위시한 서구권의 보호무역주의자들은 소련에 대한 관세나 금수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산업구조

무역

소련 루블

사회

사회 전반

일상생활

대외인식

공휴일

문화

과학사회주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대중매체에서의 소련의 모습

전반적인 매체에서

대체역사에서


  1. 적기
  2. 2024년 기준
  3. 3.47점
  4.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약속을 잡을때나 국가단위의 시간대 사용의 경우 보통 UTC+03:00(모스크바 시간)을 사용한다.
  5. 패전 이전까지 대한제국 정부는 러시아 차르국과의 외교관계만을 기존 러시아 수교의 연장선이라고 주장했지만, 현재는 소련, 러시아 차르국과의 수교일 모두를 러시아제국과 최초로 수교한 시기로서 기념하고 있다.
  6. 예외적으로 특별행정관구인 칼리닌그라드, 세바스토폴에서는 90일 무비자가 적용되지만, 이 지역들은 소련 본토와 입국심사가 별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논외다. 그나마 일반 여권으로 일부 무비자 방문 가능한 사례(비행기 환승이나 특정 조건이 주어진 방문 등)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예외인 관계로 통상적인 경우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소련인이 대한국 제주도에 방문할 경우 90일 무비자가 적용되나, 제주도에서 도항하여 본토로 진입하기 위해선 비자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