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권력이란 무엇인가? 국민 대다수가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이 새로운 권력의 본질은 무엇인가? 점점 노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이 권력의 본질은 부자들과 자본가들이 독점하던 국가 경영이 이제는 처음으로 억압받고 박해당하던 계급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블라디미르 레닌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통칭 소련(蘇聯)은 20세기 러시아 혁명을 통해 유라시아 북부에 건국된 공산주의 국가이다. 제 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래 공산권을 위시한 제 2세계의 종구국로서 군림해오고 있다.
상징
국호
국기
국장
사회
자연환경
정치
최고회의 의장
장관회의
전인민대회
행정구역
외교
한소관계
미소관계
금소관계
일소관계
독소관계
중소관계
러소관계
경제
특징
소련의 경제 체제는 계획 경제를 토대로 한 사회주의 경제에 기반해있다. 흔히 소련의 경제라고 하면 세간에서는 스탈린 시절의 시스템을 떠올리기 십상이지만, 그 이후로 상당한 시간이 지난 오늘날에는 모든 경제요소를 중앙의 단일 기구에서 통제하지 않는다. 산업의 부문과 특성에 따라 중앙집권화/자율화 되어있다. 그러나 모든 경제 요소들은 집산주의적 경제구조 내에서 느슨하거나 끈끈하게 연결되어있다.
2024년 기준 소련의 경제는 세계 2위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서구를 비롯한 제 1세계의 자유시장경제와 대비되는 사회주의 경제 체제의 중심 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경제는 막대한 인구와 영토, 자원을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또한 사회주의 경제의 특성 상 국민들의 소득 격차가 낮고 따라서 전반적인 구매력이 상승했는데, 이 구매력으로 구축된 거대한 소련 시장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있어 막대한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며, 동시에 거대한 경쟁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소련산 상품들과 서구 상품들이 세계 시장에서 가격 및 품질 경쟁을 벌이면서 소련의 경제적 위협론이 대두되는 등의 현상도 벌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미국을 위시한 서구권의 보호무역주의자들은 소련에 대한 관세나 금수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약속을 잡을때나 국가단위의 시간대 사용의 경우 보통 UTC+03:00(모스크바 시간)을 사용한다.
↑패전 이전까지 대한제국 정부는 러시아 차르국과의 외교관계만을 기존 러시아 수교의 연장선이라고 주장했지만, 현재는 소련, 러시아 차르국과의 수교일 모두를 러시아제국과 최초로 수교한 시기로서 기념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특별행정관구인 칼리닌그라드, 세바스토폴에서는 90일 무비자가 적용되지만, 이 지역들은 소련 본토와 입국심사가 별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논외다. 그나마 일반 여권으로 일부 무비자 방문 가능한 사례(비행기 환승이나 특정 조건이 주어진 방문 등)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예외인 관계로 통상적인 경우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소련인이 대한국 제주도에 방문할 경우 90일 무비자가 적용되나, 제주도에서 도항하여 본토로 진입하기 위해선 비자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