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1961}})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1961}} | {{1961}} | ||
{{css|1961 툴팁}} | |||
<div class="NSO-bg" style="position:fixed;top:0px;left:0px;width:100%;height:100vh;">[[파일:1961 배너1.jpg|link=]]</div>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dd0000; width: 99%;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222; color:#fff" | '''{{#switch:{{랜덤2|13}} | |||
|1 = "인생은 나약함을 용서하지 않는다."<BR> - 아돌프 히틀러 | |||
|2 = "이 세상을 잠시의 꿈이라고 들었지만 생각하면 긴 세월이 되었도다."<br>- 도쿠가와 요시노부 | |||
|3 = "거짓이 판치는 시대에는 진실을 말하는 것이 곧 혁명이다."<br>- 조지 오웰 | |||
|4 = "나는 이제 죽음이며,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br>- 로버트 오펜하이머 | |||
|5 = "모든 영국인은 베를린의 심장에 칼을 꽂을 준비가 되어 있다."<br> - 클로드 오킨렉 | |||
|6 = "난 독일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했다." <br> - 아돌프 히틀러, 1961년 | |||
|7 = "그 콧수염 미치광이가 피레네를 넘을 줄은 신조차 알 수 없었을 것이다." <br> -프란시스코 프랑코, 1947년 | |||
|8 = "우리는 도살장에 순순히 끌려가지 않을 것 이다." <br> -어느 유대인 | |||
|9 = "맑고 쌀쌀한 4월의 어느 날, 시계가 13시를 가리켰다." <br> - 1984 | |||
|10 = "그들은 1946년 우리를 우랄 너머로 쫒아냈다. 이젠 우리가 그들을 라인강 너머로 쫒아낼 차례이다." <br> - 게오르기 말렌코프 | |||
|11 = "하나는 모두를 위하여, 모두는 하나를 위하여." <br> - 삼총사 | |||
|12 = "우리에게 아무것도 없다고 하지 말지니, 우리가 필히 천하의 주인이 되리!" <br> - 인터내셔널 | |||
|13 = "정치의 본질은, 죽이는 것이다." <br> - 미시마 유키오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none solid #222; color: #fff; width: 100%; max-width:100%; background:#222;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 |||
|- | |||
| style="width: 30%; border: none" | <div style="box-shadow:0px 0px 50px 6px rgba(0,0,0,.5)>[[파일:나치 점령 하 빅벤 (1961).jpg|330px|link=]]</div><div style="height:30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60%, #222);position:relative;top:-300px;left:0px;margin-bottom:-300px;"></div> | |||
|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top" | {{글씨 크기|16|'''다른 역사, 1961년의 세계'''}}{{구분선}}{{공백}}1939년 시작된 제2차 세계대전은 많은 희생자를 낳은 채 1946년 '''{{글씨 색|#dd0000|독일의 유럽에서의 승리}}'''로 종결되었습니다. 프랑스와 영국, 소련을 차례로 꺾은 독일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우랄 산맥에 이르는 유럽을 지배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반도 남부의 이탈리아 왕국만이 유럽의 마지막 연합국으로써 독일에 저항하고 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루마니아 원정과 이베리아 침공으로 세력을 확대한 '''{{글씨 색|#dd0000|독일}}'''은 명실상부 유럽의 최강국이자 세계 초강대국으로 거듭났습니다. <br> | |||
{{공백}}'''{{글씨 색|skyblue|미합중국}}'''은 그들이 자랑으로 여기던 '''{{글씨 색|skyblue|중립법}}'''을 후회했습니다. 유럽에서의 혼란 속에서도 미국은 스스로를 신대륙에 가두었고, 1941년 진주만이 공격 받기 전까지 깊게 침전하여 있었습니다. 진주만 공습으로 일본과 개전한 미국은 뒤늦게 유럽에 개입하려 했으나, 때는 이미 영국이 점령된 이후였습니다. 태평양 전역에서는 일본을 크게 몰아넣으며 승승장구하던 미국이었지만, 유럽 전선에서는 독일 점령 하의 브리튼을 폭격하거나 북아프리카에서 추축국을 상대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945년에는 핵을 투하하여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고, 일시적으로 이탈리아 반도 상륙에 성공하여 로마에 자유를 찾아주었으나 더 이상의 진격을 하지는 못했습니다. 결국 1946년 영국과 자유 프랑스 정부의 반대에도 미국은 런던에서 독일과 단독 강화를 맺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마무리 지었습니다.<Br> | |||
{{공백}}8년간의 항전 끝에 '''{{글씨 색|#000095|중국}}'''의 장제스 정부는 일치단결하여 충칭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고, 일본을 몰아내며 전쟁의 승리자가 되었습니다. 국토는 황폐화 되었지만, 그들에겐 기회가 있었습니다. 무한한 인적 자원과 광대한 영토는 중국의 빠른 회복을 도와주었고, 그들만의 방식으로 중국을 재정비하여 중국의 고도 성장을 이루어냈습니다. 한때는 서양 열강들에 뒤쳐저 자존심을 구기던 중국은 빠르게 도약하여 미국과 독일에게 도전하는 신흥 초강대국으로 떠올랐습니다. | |||
<br> | |||
{{공백}}세 국가는 이제 차가운 전쟁에 돌입했습니다. 버튼 하나로 세계의 멸망을 초래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며 20년 전 전쟁의 열기는 급격한 속도로 식어 '''{{글씨 색|#0A3161|냉전}}'''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베일에 가려진 동맹과 은밀한 음모가 국가의 운명을 형성하는 반면, 수 억의 사람들은 그저 소수의 엘리트들에 의해, 강력한 권력에 대한 충성심, 열망, 끊임없는 권력 추구의 모순적인 그물에 얽혀있습니다. 불안한 균형의 대립 속에서, 각각의 개인들은 한 시대를 풍미하던 '''{{글씨 색|#965930|어느 지도자}}'''의 죽음과 함께 1961년을 맞이합니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none solid #222; color: #fff; width: 100%; max-width:100%; background:#222;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 |||
|- | |||
|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top" | {{글씨 크기|16|'''독창적인 시나리오들'''}}{{구분선}}{{공백}}1961의 세계의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자는 결국 독일 하나였습니다. 수많은 국가가 전쟁에 참여했지만, 오로지 독일만이 정점에 설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흥미로운 대체역사 설정은 독자 여러분께 몰입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HOI4의 대체역사 모드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와 Thousand-Week Riech 그리고 대체역사 소설 높은 성의 사나이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성과 흥미 위주의 대체역사 시나리오들을 구성했습니다. | |||
<br>'''{{글씨 색|#880E4F|제이위키}}''' 내에서 유일하게 독자가 직접 클릭하여 체험하는 방식으로 문서를 읽을 수 있습니다. 치열한 권력투쟁의 검투사가 되거나, 얽히고설킨 정치 공작을 설계하거나 푸는 총리대신 등 세계관 속의 인물들과 그 상황에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1961만의 특별한 문서들을 감상해 보세요. | |||
| style="width: 30%; border: none" | <div style="box-shadow:0px 0px 50px 6px rgba(0,0,0,.5)>[[파일:달 나치 (1961).jpg|330px|link=]]</div><div style="height:30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60%, #222);position:relative;top:-300px;left:0px;margin-bottom:-300px;"></div> | |||
|- | |||
|} | |||
{| style="clear: both; width: 100%; margin: 0 auto; border-collapse: collapse; background: #222; border: 1px solid #aaa; border-top: 5px solid #dd0000;padding:12px; text-align:left;" | |||
|- | |||
|style="padding-left: 35px;padding-right: 35px;padding-bottom: 10px;padding-top: 15px; font-size:95%; text-align:left; color:#fff;"|<span style="color:#fff; font-size:150%;">'''추천하는 문서'''</span><br /><span style="color:#fff"> | |||
---- '''{{#switch: {{랜덤2|5}} | |||
|1 = {{일본 소개 (1961)}} | |||
|2 = {{희생 소개 (1961)}} | |||
|3= {{틀:대한민국 소개 (1961)}} | |||
|4= {{아돌프 히틀러 소개 (1961)}} | |||
|5= {{고국 소개 (1961)}} | |||
}}''' | |||
|- | |||
|} | |||
</span>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222; color:#fff; border-radius: 0px 0px 16px 16px; padding-top:9px;" | '''{{중앙|THANKS:{{여백|0.6em}}[[사용자:아바투르너마저|아바투르너마저]]{{여백|0.6em}}[[사용자:모니터링|모니터링]] {{여백|0.6em}} 문의 - 제이위키 디스코드 @아바투르너마저}}''' | |||
|} | |||
{{아바투르너마저 제작 세계관}} |
2025년 7월 3일 (목) 00:30 기준 최신판

![]()
|
---|

"모든 영국인은 베를린의 심장에 칼을 꽂을 준비가 되어 있다." - 클로드 오킨렉 |
![]() |
다른 역사, 1961년의 세계 미합중국은 그들이 자랑으로 여기던 중립법을 후회했습니다. 유럽에서의 혼란 속에서도 미국은 스스로를 신대륙에 가두었고, 1941년 진주만이 공격 받기 전까지 깊게 침전하여 있었습니다. 진주만 공습으로 일본과 개전한 미국은 뒤늦게 유럽에 개입하려 했으나, 때는 이미 영국이 점령된 이후였습니다. 태평양 전역에서는 일본을 크게 몰아넣으며 승승장구하던 미국이었지만, 유럽 전선에서는 독일 점령 하의 브리튼을 폭격하거나 북아프리카에서 추축국을 상대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945년에는 핵을 투하하여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고, 일시적으로 이탈리아 반도 상륙에 성공하여 로마에 자유를 찾아주었으나 더 이상의 진격을 하지는 못했습니다. 결국 1946년 영국과 자유 프랑스 정부의 반대에도 미국은 런던에서 독일과 단독 강화를 맺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마무리 지었습니다. |
독창적인 시나리오들
|
![]() |
추천하는 문서
|
![]() 아바투르너마저 제작 세계관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