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커피와 사탕5: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99번째 줄: 199번째 줄:
|-
|-
|}</div></div>
|}</div></div>
</div>
{{clearfix}}
{{clearfix}}
== 평덕랑만 ==
== 평덕랑만 ==

2025년 6월 28일 (토) 04:19 판

커피와 사탕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창작 세계관 아침해의 원유관 (운영중) · 벚꽃이 질때까지 (휴재) · 정족지세:무쇠솥 아래에서 (예정) · 광목성대 (운영중) · 고천원:반천년의 종막 (예정) · 대명천지 (단편선) · 도리만천하 (예정) · ??? (예정)
참여 세계관 빌레펠트 (참여) · 아침의 나라 (참여) · 주홍빛 잔물결 (참여) · 엘리시온 프로젝트 (참여) · 신질서의 황혼 (일부 지원) · 위망지매영매 · ZEROCELL (참여)
관련 단체 원유관 팀 (팀장) · 빌레펠트 제작진 (회원) · 네겐트로피 (회원)
연습장 1 · 2 · 3 · 4 · 5
기타 여담 · 성향 및 사상

위망지매영매

기여자:금태자, Kelifonium, 키르

위망지매영매만약 신라가 봉건 체제로서 2천년 간 이어졌다면?이라는 질문에서 개화한, 신라의 정세를 봉건화시킨 특유의 세정 체제와 그로 인한 역사적 개변을 주요 소재로 삼은 제이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통일 시대 말기, 실제보다 큰 규모로 일어난 적고적의 난으로부터 금씨 왕을 구해낸 진훤(견훤)은 일찍이 자신이 주장한 관직의 정통성을 확립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진훤이 신라의 권신으로 거듭나며 후백제는 탄생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왕건과의 밀담으로 태봉을 평정한 진훤은 당나라로부터 신라의 새로운 국호인 계림을 하사받고, 호족과 백제왕작, 그리고 자신의 씨족인 진씨가 군림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인 세정의 병마도원수로서 등극하며 역사의 축은 뒤바뀌었고, 이후 신라는 실권 없이 구름 위로 떠받들어진 금씨의 종묘신궁을 뒤로 한 채, 귀족과 무가들이 난립하는 또 다른 역사의 장으로 쓸려내려갔다.

작성예정 리스트

  • 신교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 금씨 종묘사직 > 작성준비✔ > 문서화
  • 언어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 애니메이션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 드라마 > 작성준비 > 문서화
  • 평덕낭만 > 작성준비 > 문서화
  • 부여 대내씨 > 작성준비 > 문서화
  • 새당 덕씨 > 작성준비 > 문서화
  • 대마 종씨 > 작성준비 > 문서화

언어정리

콩코드

달 아래서 임금님 부르며
푸른 구름에 한 송이 꽃을 날려 보내네
은근하고 정중한 곧은 마음의 명이니
멀리 도솔천의 미륵불을 맞이하라

세마=섬
모라=마을
강씨=김씨

화백회의(和白會議)는 훗날 화백원(和白院)으로 변화. 귀족들의 의결기관.
전근대 계림의 행정은 큰 구분인 주(洲)와 호족들이 다스리는 도호부(都護府)로 나뉘어짐. 이후 1856년 개항 이후 근대화를 추진하며 폐주구도 운동을 통해 새로운 행정구역을 정립하였으며, 그 예시로 웅천주 부여군 구룡향(熊川洲 扶餘郡 九龍鄕)은 하남도 부여시 구룡향(河南道 扶餘郡 九龍鄕)으로 바뀜.

시대정리

콩코드

신라의 역사적 지역들:
신라반도(삼한 · 동북 · 송화)
대마도(대마국)
제주도(탐라국, 우산국)

왕권-통일시대
혼란-삼국의 난
막부-진훤의 진문정권(甄門政權,무진세정. 조정:금성, 세정:무진.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 체제 시작. 세정수군, 세정육군 창립.)
귀족-삼가신정(三家神政. 조정:금성, 세정:무진)
막부-왕희의 왕문부가(王門斧柯,개경세정. 조정:금성, 세정:개성)
-외세-원간섭기(元干涉期, 원치시대)
-막부&왕권-신종 광무성황의 광무경장(光武更張, 정명론 주장한 금씨 감금, 4군 6진 및 이도의 한글 창제, 정치력 소모로 왕씨 실각.)
-귀족-권문정치(權門政治, 오우치(대내)호족 입갤, 부여 영지 책봉)
혼란-정란시대(政亂時代,무신정권과 세정들의 잦은 교체. 조정:금성, 세정:개성)
권율의 강화시대(江華時代,권문정권. 조정:금성, 세정:강화. 임진왜란, 정유재란)
막부-덕순의 덕문세정(德門勢政,중경시대. 조정:금성, 세정:중경. 존유정치 시작)

임진왜란 당시 계림 측 장수진

콩코드

성황(聖皇)
덕종 호은임금 김화 (德宗 乎隐帝 金和)

상대시중(上大侍中), 봉 신라왕(新羅王) 신립(申砬)

중서령(中書令)
권율(權慄)
지휘부
순변사(巡邊使)
순변사(巡邊使) 이환양
체찰사(體察使)
체찰사(體察使)
체찰사(體察使)
도총도통사(都摠都統使) 겸 제 2군 상원수(節度使)
대내평훤
제 1군 상원수(節度使)
덕순신
제 2군 상원수(節度使)
대내평훤
제 3군 상원수(節度使)
제 4군 상원수(節度使)
제 5군 상원수(節度使)
제 6군 상원수(節度使)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

성황임금님

콩코드

계림국 성황
鷄林国 聖皇 | Emperor of Gyelim
국가 계림국
가문 계림 황실
현직 금표 / 제 120대
즉위 2019년 N월 N일
연호 정개 (正開)
초대 혁거세 거서간
창립일 기원전 57년 1월 15일
(시조 즉위 원년 1월 1일)
경칭 폐하(陛下)
관저 중경부 재성(在城)(법궁)
성황기[1]

개요

성황(聖皇)은 계림의 군주이다.

현재 계림의 성황은 연호를 정개(正開)로 하여 즉위한 제 120대 성황인 정개제이며, 부황(父皇) 금석은 태상황(太上皇)으로 천극하여 물러났다.

밀양 박문,경주 석문, 금성 금문 등 세 차례의 국성교체를 거치며 왕위를 이어왔으며, 계림의 민족종교인 신교(神道)의 최고신인 천지제신(天池帝神)의 제사를 지내는 역할 또한 맡았다. 19세기 정묘개화 당시 유신정책의 일환으로서 대계림국의 국가원수(元首)이자 구 계림군을 통수하는 대원수(大元帥)로 추대되었으나, 종전 이후 국헌이 개정된 현재에 이르러서의 성황은 국헌을 총람하고, 계림 정기와 국민의 통합을 담당하는 것 그 이상의 대권을 가지고 있지 않게 되었다.

경칭

한자 성황(聖皇)은 언론과 대중, 각국 정부들의 공식 호칭으로서 불리우는 공인된 명칭으로, 중세시기 진문세정의 정책의 일환으로서 격상되며 만들어진 호칭이다. 해외에서는 주로 계림어의 고유명사로 보아 성황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으나, 몇몇 국가들의 경우 비하하려는 의도에서 '계림왕'으로 호칭하는 일도 더러 존재한다. 영미권의 경우 'Emperor of Gyelim'으로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구 외에 다른 국가에서도 황제 칭호로 부르는데, 일례로 태국에서는 자국 군주는 라자(국왕)라고 하지만 계림 성황은 마하라자(황제)라고 칭하는 한편, 비슷하게 천황제를 체택중인 류큐에서는 한자 성황(聖皇)을 음독하여 세이오(せいおう)라고 호칭한다. 동녕의 경우엔 동녕식 한자어의 발음인 셍황(shèng huáng,ㄕㄥˋ ㄏㄨㄤˊ)으로 칭하는 편.

계림인들이 성황을 칭할때는 주로 성황(聖皇) 혹은 성황폐하(聖皇陛下)라고 호칭하며, 언론에서는 대부분 '성황폐하' 혹은 '임금님'이라고 한다. 임금은 군주국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신라어로, 주로 재위중인 성황을 호칭할 때 사용되는 언어로서 현재는 존속중이다. 사용이 확연히 드문 편이지만, 성황을 칭하는 또 다른 어구로는 '신성한 제왕'이라는 뜻의 신성제왕(神聖帝王)도 존재한다. 황후와 같이 호칭할 경우, '성황황후양폐하(聖皇皇后両陛下か'라고 부른다. 해외에서 흔히 하는 것처럼 그냥 이름을 바로 부르는 경우는 급진적인 일부 계림인이 아니면 드물다.

'성황'을 한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성스러운 황제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천자와 더불어 황제를 상징하는 삼한천명과 연결된 표현이기도 하다. 종종 성황은 문자 그대로 신격을 띈 군주여서 성스러운 황제로 불린다는 오해가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계림의 건국 신화에서도 황실을 하늘의 후예인 천손(天孫)이라고 해석하여도, 신 그 자체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성황을 신 그 자체로 여기던 사상은 신교의 교파 중 하나인 국체대도에서 나온 것이다. 다만, 신종 광무성황의 치세인 1388년 경 계림 신종이 명 태조에게 보냈던 서신에선 '신성한 곳의 천자(聖所處天子)가 땅 위에 선 천자(地在沒處天子)에게 다음과 같이 고하노라'라는 내용의 간접적 하대를 한 적이 있었다.

황사

콩코드

천수(天授) 시대
성황:고조 천수성황 금원
정실:신정황후
후궁:2명
종교:불교(묘청종)
형제:경희친왕, 궁문친왕

평덕(平德) 시대
성황:혜종 평덕성황 금굉
정실:순희황후
종교:불교(묘청종)
형제:덕수친왕

양화(陽和) 시대
성황:의종 평덕성황 금인
정실:명성황후
종교:불교(묘청종)
형제:양덕친왕, 경운친왕

융흥(隆興) 시대
성황:태상황 금석 (舊 융흥성황 금석)
정실:순희황후
종교:불교(묘청종)
형제:인경친왕

정개(正開) 시대
성황:정개성황 금표
종교:불교(묘청종)
황태자:금안

원전일맥(源傳一脈)으로 후손만대 영원토록 이어질 해동삼한의 임금, 계림의 성황. 이천년 종묘신궁(宗廟神宮)의 신주이자 신교(神敎)의 교주

삼한민족

콩코드
삼한민족
[ 펼치기 · 접기 ]

평덕랑만

콩코드
계림의 연호
광조 천수성황 혜종 평덕성황 의종 양화성황
天授(천수) 平德(평덕) 陽和(양화)
새로운 연호인 평덕의 개원소식을 보도하는 1911년 3월 1일자 중경일보[2]
원년
서력 1911년
국가
대계림국
대황제
혜종 평덕성황/ 제117대
개막
1911년 7월 8일
(혜종 평덕성황 즉위)
종막
1927년(평덕 16년) 8월 29일
(혜종 평덕성황 붕어 및 의종 양화성황 즉위, 양화 연호 공포)
기간
15년 6개월 14일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금온옥균 (1911)

홍종우 (19NN)
어종윤중 (19NN~19NN)
금홍집 (19NN~19NN)
서재필 (19NN~19NN)
홍영식 (19NN~19NN, 19NN~19NN)
민영환 (19NN~19NN)
호답중응 (19NN~19NN)
이완용 (19NN~19NN)
신덕성 (19NN~19NN)
오세창 (19NN~19NN)

{{clearfix}

  1. 가운데의 꽃 문양은 금성 금씨를 상징하는 두견화 문장으로, 관습법상 계림의 국장이기도 하다.
  2. 매일신문의 전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