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베리아 전쟁
동시베리아 전쟁 凍西伯利亞戰爭 한국어: 한소전쟁, 북방전선, 동시베리아 전쟁 | ||
---|---|---|
날짜 | 1940년 3월 30일 ~ 1945년 6월 16일 | |
장소 | 아시아 · 시베리아 · 북태평양 및 사할린 해역 | |
원인 | 2차 동아대전으로 대표되는 대한제국의 팽창정책으로 인한 국제적인 제제와 공산주의에 대한 경계심이 합쳐진 대한제국의 소련 침공 | |
교전국 | 연합국 | 추축국 |
└ |
└ └ └ └ └ └ └ └ | |
지원국 | └ |
|
지휘관 |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병력 | ||
피해 | 536,743명 전사 및 실종 1,240,000명 부상 민간인 16,000명 사망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24,425명 부상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24,425명 부상 민간인 20,000~30,000명 사망 9,780~12,031명 전사 및 실종 민간인 약 1,700만 명 사망 |
680,397명 전사 및 실종 1,304,200 부상 민간인 약 550,000 ~ 1,000,000명 사망 중한전선 제외 총 1,485,397명 전사 및 실종 |
결과 | 연합국의 승리 | |
영향 | 연합군에 의한 대한제국 강제 해체 소련의 초강대국 등극 아시아 북부전선 종결 만주를 비롯한 여러 민족의 독립과 점령으로 인한 러시아 차르국 0호 체제의 종식 |
옌시산노스
옌시산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보촨 창업주 | ||||||||||||||||||||||||||||||||
---|---|---|---|---|---|---|---|---|---|---|---|---|---|---|---|---|---|---|---|---|---|---|---|---|---|---|---|---|---|---|---|---|
중화민국 제4대 행정원장 옌시산 | ||||||||||||||||||||||||||||||||
출생 | 1883년 10월 8일 | |||||||||||||||||||||||||||||||
(現 ![]() | ||||||||||||||||||||||||||||||||
사망 | 1960년 5월 23일 (향년 76세) | |||||||||||||||||||||||||||||||
![]() | ||||||||||||||||||||||||||||||||
국적 | → → ![]() | |||||||||||||||||||||||||||||||
재임 기간 | 제 1대 베이핑 국민정부 주석 | |||||||||||||||||||||||||||||||
1930년 9월 9일 ~ 1930년 11월 4일 | ||||||||||||||||||||||||||||||||
제 4대 행정원장 | ||||||||||||||||||||||||||||||||
1949년 6월 3일 ~ 1950년 3월 7일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순나라의 혁명가,중화민국의 군벌, 군인, 정치가, 기업인.
장장 50년 가까이 중화민국 산시성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인사로 군림했으며, 오늘날 산시성에 본사를 둔 염계재벌의 창업주도 옌시산이다. 이 탓에 그에게 붙은 별명이 바로 산서의 토황제. 군벌 시절부터 당대 중국의 여러 군벌들 중에서는 드물게 경제성장, 사회개혁에 적극 힘썼기 때문에 모범 장관으로 불렸고, 정계에서 은퇴하여 재계활동에 몰두한 말년에도 막대한 이득을 벌어들이는 한편 양심적인 경영정책 덕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노환으로 인해 자신의 사저인 염가대원에서 병사했다.
황국
대한국 大韓國 | Korea | ||||||||||||||||||||||||||||||||||||||||||||||||||||||
---|---|---|---|---|---|---|---|---|---|---|---|---|---|---|---|---|---|---|---|---|---|---|---|---|---|---|---|---|---|---|---|---|---|---|---|---|---|---|---|---|---|---|---|---|---|---|---|---|---|---|---|---|---|---|
![]() | ||||||||||||||||||||||||||||||||||||||||||||||||||||||
국기 | 국장 | |||||||||||||||||||||||||||||||||||||||||||||||||||||
광명천지 光明天地 | ||||||||||||||||||||||||||||||||||||||||||||||||||||||
상징 | ||||||||||||||||||||||||||||||||||||||||||||||||||||||
애국가 | ||||||||||||||||||||||||||||||||||||||||||||||||||||||
무궁화,오얏꽃 | ||||||||||||||||||||||||||||||||||||||||||||||||||||||
참매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kr, .한국 | ||||||||||||||||||||||||||||||||||||||||||||||||||||||
국가코드 | ||||||||||||||||||||||||||||||||||||||||||||||||||||||
408, KOR | ||||||||||||||||||||||||||||||||||||||||||||||||||||||
국제전화 코드 | ||||||||||||||||||||||||||||||||||||||||||||||||||||||
+82 | ||||||||||||||||||||||||||||||||||||||||||||||||||||||
![]() |
개요
대한국(大韓國), 통칭 대한(大韓), 한국(韓國)은 동아시아의 입헌군주국이다. 북쪽으로는 중화민국과 러시아, 남쪽 해양으로는 일본과 인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청해와도 인접하는 대한반도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약 9천만명으로 세계 18위에 달하며,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은 점, 산지 면적이 국토의 70퍼센트를 차지하는 점 탓에 인구 밀도가 높은 편이다. 특히 한성부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인구의 약 40%가 몰려있는 세계 최대의 대도시권 중 하나다.
대한국은 정치적으로는 양원제 의원내각제와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한국 헌법 1조에 의거하여 대황제를 한국인의 정신적인 군주로서 상징적인 국가원수로 하되, 실권은 정부수반인 내각리대신에게 있는 정치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의결기관인 국회는 크게 비례대표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하는 참의원(상원)과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민의원(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화의 희구에 대한 조항이 헌법에 존재하는 관계로, 정식 군대가 아닌 경비사라는 준군사조직을 통해서만 기본적인 경비권을 행사할 수 있다.
1871년 개항 이후 다사다난한 근대사를 대한제국 시대동안 보냈으며, 특히 1940년대부터 통감부가 설치된 이래 일본의 국권침탈이 심각해지자 1944년 내전을 통해 일본의 세력을 축출한 뒤 신속히 연합국에게 항복했다. 전후 대한반도는 연합군의 점령을 받았고, 국권 회복 이후 미국의 대(對) 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박정희 내각 시기 향촌진흥운동등 고도의 발전을 거듭한 한편 마셜 플랜의 지원하에 막강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대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지역강대국이다.한국 원은 대한국의 높은 경제 수준과 안전성, 거대한 자산 규모 덕에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기도 하는 신뢰성이 높은 통화이며, 이 때문에 원화는 미국 달러, 유로, 엔화, 위안, 영국 파운드와 함께 무역통화로 꼽힌다. 대한의 GDP는 프랑스에 이은 세계 8위이며, 금 보유고 세계 5위, 주식시장 규모 세계 7위, 대외순자산 규모 세계 3위 및 국제통화기금(IMF) 투표권이 세계5위를 차지하는 등 수준높은 경제력을 자랑한다. 비서양권 국가 중 일본과 더불어 유일한 G7 회원국이기도 하다. 광복 대한제국 국기.sv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