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커피와 사탕4

커피와 사탕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6월 23일 (월) 22:00 판
커피와 사탕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창작 세계관 아침해의 원유관 (운영중) · 벚꽃이 질때까지 (휴재) · 정족지세:무쇠솥 아래에서 (예정) · 광목성대 (운영중) · 고천원:반천년의 종막 (예정) · 대명천지 (단편선) · 도리만천하 (예정) · ??? (예정)
참여 세계관 빌레펠트 (참여) · 아침의 나라 (참여) · 주홍빛 잔물결 (참여) · 엘리시온 프로젝트 (참여) · 신질서의 황혼 (일부 지원) · 위망지매영매 · ZEROCELL (참여)
관련 단체 원유관 팀 (팀장) · 빌레펠트 제작진 (회원) · 네겐트로피 (회원)
연습장 1 · 2 · 3 · 4 · 5
기타 여담 · 성향 및 사상

위망지매영매

작성예정 리스트

  • 신교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 금씨 종묘사직 > 작성준비✔ > 문서화
  • 구 금성부 현 동경부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국 내각총리대신 > 작성준비✔ > 문서화✔

계림

콩코드
계림국
鷄林国 |Gyelim
국기 국장
網羅四方
망라사방
상징
국가
月金歌(월금가) (법률상)
국화
진달래 (관습상)
국조
역사
[ 펼치기 · 접기 ]
정묘개화 1867년 5월 18일
내외칭제의 대호령 및 대계림제국 출범 1868년 1월 15일
폐주구도(藩州具道)령 반포 1870년 6월 4일
대계림제국 국헌 시행 1890년 7월 17일
연합군의 점령 1945년 9월 3일
계림국 국헌 공표 1946년 10월 3일
계림국 국헌 시행 및 계림국 출범 1947년 8월 15일
국권회복 1952년 4월 18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최대도시
중경부
면적
279,678km²| 세계 84위
내수면비
3.4%
위치
동북아시아 계림반도
주변국
일본국
중화민국
러시아
동녕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141,254,275명 (2025년)| 세계 10위
민족 구성
계림인 96.5%
중국인 0.54%
일본인 0.5%
동녕인 0.46%
필리핀인 0.26%
베트남인 0.24
기타 1.5%
인구밀도
125.1명/km²
출산율
1.53명
기대수명
84.5(2025년 기준)
언어
공용어
계림어, 계림 수어
공용문자
언문 문자, 한자(신자체)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종교 분포
불교(대승 불교) 34.2%
기독교 15.1%
• 가톨릭 10.1%
• 개신교 4%
• 정교회 1%
천도교 1.2%
기타 3%
무종교 51.5%
군대
계림국 국군
인간개발지수
0.929(2022년)| very high | 세계 19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경목부도
5경(京) 1목(牧) N부(部) 23 도(道)
시방향
?시(市) ?방(坊) ?현(縣) 125향(鄕)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양원제, 다당제, 지방자치
성황
(국가 원수)
정개제[1]
정부
요인
내각총리대신
(정부수반)
류승민
참의원 의장
?
민의원 의장
?
대법재판장
?
민주주의 지수
8.20점, 완전한 민주주의
(163개국 중 17위, 아시아 2위)
여당
민주자유당
왕조
계림왕조(鷄林王朝)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GDP
2조 6,765억$(2024년 기준) |세계 8위
1인당 GDP
54,036$(2024년 기준) |세계 36위
GDP
(PPP)
전체 GDP
3조 3,420억$(2022년 기준) |세계 6위
1인당 GDP
39,345$(2022년 기준) |세계 18위
국부
14조 6,330억$(2024년 기준) |세계 7위
수출입액
수출
6,212억$(2024년 기준) |세계 4위
수입
6,354억$(2024년 기준)
외환보유액
1,947억 8,756만$(2024년 기준)
신용등급
무디스 Aa2

S&P A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계림 원(圓,₩)
ISO 4217
KW
국가예산
1년 세입
1조 6578억$(2024년 기준)
1년 세출
1조 1,654억$(2024년 기준)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정개 (正開)
시간대
UTC+9(계림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운전석(통행 방향)
오른쪽(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UN 가입
1956년 7월 25일
연합국회원국 승인여부
198개국 승인
수교국
198개국
ccTLD
.gy, .계림
국가코드
408, gyl
국제전화 코드
+82

개요

계림국(鷄林国), 통칭 계림(鷄林)는 동아시아의 신라반도 및 그 부속도서에 위치한 입헌군주국이다.


전 국무총리 막부

아원
계림
덕문세정 | 德紋勢政
국기(사실상)
상선기 가인
1603년 ~ 1867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무가정란기 대계림제국
권씨 정권 탐라 민주국
영토
삼한, 동북, 간요, 탐라지방
수도
조정:한성부 → 금성부 (현 동경부)
세정:한성부 (현 중경부)
접경국
대청
정치 체제
도호 체제 (계림식 봉건제)
국가원수
임금
정부 수반
병마도원수[2]
주요 병마도원수
[ 펼치기 · 접기 ]
1603년 ~ 1621년 - 덕순 도원수 (초대)
1865년 ~ 1867년 - 덕홍섭 도원수 (말대)
주요 실권자
[ 펼치기 · 접기 ]
군사
세정육군, 세정수군
언어
근대 계림어 → 현대 계림어
문자
언문 문자, 한자
민족
삼한족, 여진족
종교
대승 불교 (선종 우위), 유교, 신교, 도교
비공인 종교
가톨릭(천주교)
통화
해동중보, 상평통보,

개요

한성 시대계림을 통치했던 세정으로, 계림사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세정인 한편, 최후의 무신정권이다. 이 시대를 호칭할 때에는 주로 당대 중심지였던 한성의 이름을 따서 한성세정으로 부르지만, 당시 덕풍왕이자 병마도원수였던 인물들의 성씨인 덕씨를 따 덕문세정이라고도 부른다.


삼별초의 난 시즌 2

아원

탐라 민주국
耽羅民主國
제남대도독인
濟南大都督印
1867년 ~ 1868년
건국 이전 멸망 이후
덕문세정
탐라번
대계림제국
제남목
위치
제남목, 대마세마
수도
무근향
정치체제
공화제
국가원수
통제사
통제사
신헌
언어
계림어
문자
언문 문자, 한자
민족
계림인, 제남인, 일본인
주요 사건
1867년 9월 9일 건국
1868년 11월 21일 계탐전쟁, 멸망
현재 국가
계림국

개요

1867년에서 1868년 사이 계림 제남목 일대에 세정수군통제사 신헌의 주도로 덕문세정의 남별초들이 필두로 세워졌던 정권이다. 계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 공화국이기도 하다.


망탁조의 희망편

아원
계림
진문세정 | 甄紋勢政
계림어기 가인
937년 ~ 1097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후삼국시대 왕문세정
국호
신라 → 계림
수도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세정:남원경 (현 진남도 남원시)
정치 체제
무가정권
국가원수
임금
정부 수장
병마도원수, 섭관청정사
제후왕작
백제왕
주요 병마도원수
[ 펼치기 · 접기 ]
937년 ~ 941년 - 진훤 도원수
965년 ~ 995년 - 진미언 도원수
1067년 ~ 1097년 - 진개자 도원수
주요 섭관청정사
[ 펼치기 · 접기 ]
1085년 ~ 1097년 - 왕희 섭관청정사
언어
중세 계림어
문자
언문 문자, 한자
민족
삼한족
종교
대승 불교 (선종 우위), 신교, 유교
화폐
정(錠)
주요 사건
해동중보, 상평통보,

개요

진훤이 937년에 개창한 계림 최초의 세정.

실질적으로 세정이 개막된 시기는 여러 관직들을 겸직하고 있던 진훤이 신라 조정에 입조하여 병마도원수에 임명된 시기인 937년이지만, 그 이전부터 896년에 일어난 적고적의 난을 진압한 견훤의 권세는 여전히 커지고 있었기에, 실질적으론 그가 신라 서면도통에 임명된 뒤 태봉을 평정한 918년부터를 실질적인 진씨세정의 시작으로 본다.

계림사 역사상 최초의 세정인 동시에 국호의 개칭, 금성 금씨 종묘신궁의 종주의 명칭을 성황으로 하는 한편 병마도원수의 종씨들이 대대로 왕작을 하사받도록 하는 등, 훗날 이어질 계림의 문화적 제도들을 정비하였으나 말대에 이르러 고려왕을 겸직한 병마도원수들 섭관청정사들의 종횡이 이어지던 중, 결국 또 다른 유력가인 개성 왕씨 출신의 섭관청정사이자 무인인 왕희가 정변을 통해 임금에게 왕작을 하사받아 고려왕으로서 등극한 뒤, 새로운 세정을 개막하면서 1097년에 멸망했다.


  1. 2025년 기준
  2. 대외적으로는 병마도원수 집안이 대대로 임금에게 하사받은 왕작을 근거삼아 계림의 국왕(國王)을 자처했다. 다만 세정 말기에 이르러 본가의 종통 단절과 병약한 도원수의 취임 등이 이어졌으며, 이 탓에 도원수를 보좌하여 정무를 담당하는 체찰사들의 권력이 커지는 현상이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