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
![]() | ||
과학당 科学党 / Scientific Party of Japan | ||
---|---|---|
슬로건 | 科学を貫くとき、物語は始まる! 과학을 관통할 때, 이야기는 시작된다! | |
창당일 | 2004년 3월 13일 (금서위원회) | |
당명변경 | 2007년 5월 2일 | |
사상 | 중도개혁주의 사회자유주의 경제적 개입주의 과학지상주의 보수자유주의 기술민족주의 | |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좌파 | |
총재 | 야모리 코우 / 2선 (중, 49·50대) | |
간사장 | 신에이 노우젠 / 2선 (중, 49·50대) | |
총무회장 | 시이나 마히루 / 2선 (중, 49·50대) | |
정무조사회장 | 호리키타 스즈네 / 5선 (중, 46-50대) | |
국회대책위원장 | 스오 하야토 / 초선 (중, 50대) | |
참의원 의원회장 | 인덴스 프로히비토룸 / 3선 (참, 22-26대) | |
참의원 | 87석 / 245석 (35.1%) | |
중의원 | 146석 / 480석 (30.4%) | |
도도부현지사 | 18석 / 47석 (38.3%) | |
시구정촌장 | 714석 / 1,741석 (41.0%) | |
도도부현의회 | 824석 / 2,679석 (30.8%) | |
시구정촌의회 | 11,572석 / 30,002석 (38.6%) | |
상징색 | 사이언스 오렌지(#FF5B00)
| |
당원 수 | 3,794,228명 (2024년 1분기) |
개요
과학당(科学党, かがくとう)은 2004년 금서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창당한 정당으로 현재 일본의 연립여당이다. 약칭은 과학으로, 영어 약자는 SCP이다. 현 당수는 2선의 시노미야 카구야이다. 창당된 지는 22년차 이며 그 기간을 대부분 원내 1, 2당으로 존재했다.
한국에선 카토 메구미 총리 집권 당시의 한국과의 마찰 때문에 우익 정당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지만, 국제적으로는 자유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한 중도 좌익에서 중도 우익에 걸쳐있는 정당으로 인식된다. 카토 총리는 과학당에서도 유별나게 한국과의 관계에 강경한 입장인 편이다. 실제로 미사카 미코토 총리를 비롯한 많은 당수들은 최소 지한파였다.
그러나 당이 대체적으로 친한 성향을 띄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반한 성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카토 메구미를 비롯한 지제회 소속 의원들은 한국과의 관계에 소극적일 뿐만 아니라 일부 사안에서는 굉장히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과학당은 좌익도 아니고 우익도 아니며, 한국 문제에 있어서도 친한과 반한을 모두 공존하는 정당이다.
하지만 17년을 지나며 강경파 성향의 인물들의 세가 많이 죽은 편인데, 이는 카토 메구미 당시 총리의 스텔스 해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과학당 내의 파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다.
신2세대 정당 중에서는 2007년 이후부터 소년동맹과 함께 유이하게 집권을 이어나가고 있다. 따라서 현대 일본 정치에서 소년동맹과 함께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따라서 과학당을 알면 일본 정치의 3분의 1은 알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1]
성립
소속 의원
파벌
![]() |
---|
[ 펼치기 · 접기 ]
|
- 학원도시 이사회(理事会, 리지카이, 미사카계) : 중도~중도좌파 성향의 파벌로 현재 이사장은 요미카와 아이호 중의원 의원이다. 소속 의원 수는 41명(중의원 17명, 참의원 24명)이며 과학당 내에서 창당과 함께 존재한 파벌이다. 학원도시 계획을 주도하여 현재 정당의 파벌임에도 불구하고 학원도시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간섭할 권한 또한 가진 막강한 조직이다. 학원도시 특례법으로 고도의 자치권을 가지며 내각조차 학원도시 내의 문제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런 권한은 과학당 내에서 학원도시 이사회가 2위 파벌임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유이다. 미사카 미코토 단 한 명의 총리만을 배출했다. 그러나 미사카 수상은 87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 이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1000일 이상 재임한 총리이다. 현재까지 미사카 수상을 제외하면 35년 동안 2년 9개월 이상 집권한 총리가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 한 명의 총리이지만 2명 이상의 총리를 배출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2022년 세대교체 압력으로 미사카 간사장이 퇴임했지만, 이후 총선에서 1당이 되지 못하면서 다시 부상하고 있으며 2025년 초 4차 과학도시개발사업이 확정되면서 거의 완벽히 주류로 돌아왔다.
- 일상회(日常, 니치죠) : 중도좌파~중도우파 성향의 파벌로 현재 회장은 카루이자와 케이 전 총재이다. 소속 의원 수는 39명(중의원 19명, 참의원 20명)으로 과학당 내 4대 파벌 중 하나 이면서 학원도시 이사회와 함께 2007년 창당부터 함께한 파벌이기도 하다. 2000년대 초중반을 강타한 중도개혁주의의 좌장격 파벌이다. 일상회는 특히 고도육성고등학교나 토오츠키 학원 등 특정 학교재단 출신 엘리트 케이스가 많다. 이 때문에 일상회는 관련 인재 차출에서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해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 파벌회장인 카루이자와 케이 전 총재 역시 일가족에 관련직 종사자가 다수 분포해있고, 좌장인 시다레 호타루 역시 아버지가 시다레 재단의 이사장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배출한 총리는 없다. 주로 다른 파벌에 힘을 실어주는 편이다.
- 순정연구회(純情研, 준죠켄): 중도좌파~중도우파 성향의 파벌로 현재 회장은 공석이다. 소속 의원 수는 37명(중의원 31명, 참의원 6명)이다. 현재 4대 파벌인 것과는 다르게 과거 과학당에서는 비주류로 여겨졌다. 순정회의 역사는 2008년 아이사카 타이가 전 총재 때 부터로 결코 짧지 않지만, 창립 직후인 2009년 총선에 가담해 의석을 잃고 아이사카 의원이 회장직을 사퇴해 2010년대 후반까지 가입자들도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고 지냈다. 그러던 2021년 시노미야 카구야 의원이 10여년 간 공석이던 회장직에 취임하면서 다시 활동을 시작했으며, 49회 중원선에서 비슷한 성향의 의원들을 많이 늘려 현재는 세가 죽은 지제회를 넘어 4대 파벌로 성장했다. 게다가 중원선 직후의 총재선에서 승리하며 명실상부한 주류 계파가 되었다. 다만 파벌 내에는 시이나 마히루를 중심으로하는 의원의 수가 많고, 시노미야 카구야 의원이 이사회에 너무 저자세라는 입장을 가진 사람들도 있어 파벌 내 잡음이 있었는데 결국 시노미야가 총재선 불출마와 함께 회장직을 내려놓겠다고 하면서 현재는 회장직이 공석인 상태이다.
- 비일상연구회(非日, 히니치): 중도좌파~좌파 성향의 파벌로 현재 회장은 마가츠가미 야토 전 총리이다. 소속 의원 수는 34명(중의원 24명, 참의원 10명)으로 과학당 4대 파벌 중 하나이다.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낸 것은 역시나 마가츠가미 의원이 수상으로 오르면서 이다. 선진국의 지위에 걸 맞는 기준을 가지고 국제사회에서의 일본의 위치를 재고(再考)하는 인연외교로 주목 받았다. 파벌이 좌익 성향임에도 국내 문제에 있어서 균형과 합리성을 강조했다. 마가츠가미 야토 단 한 명의 총리를 배출했다.
- 지제회(志濟, 시사이) : 중도~중도우파 성향의 파벌로 현재 회장은 토모자키 후미야 참의원 의원이다. 소속 의원 수는 25명(중의원 6명, 참의원 19명)이다. 2019년까지는 유키노시타 유키노가 회장직을 맡아왔으나 3년 전 교체되었다. 지제회에는 카토 메구미 중심의 카토계와 히키가야 하치만 중심의 히키가야계의 두 계파가 존재했었다. 두 그룹 모두 정치적 기반으로 여겨지는 미디어가 끝나 이렇다 할 이슈가 없는 상황에서 2025년 카토와 히키가야가 은퇴를 선언하며 계파에 빨간불이 켜졌다. 은퇴로 인해 파벌 내 대부분이 초선의원이며, 때문에 당내 영향력이 급격하게 축소되었다. 현재 지제회 안에는 방풍림계와 토모자키계, IS계가 존재한다.
- 근린회(近隣会, 킨린카이): 중도~중도좌파 성향의 파벌로 현재 회장은 이즈미 사기리 의원이다. 소속 의원 수는 20명(중의원 12명, 참의원 8명)으로 과학당 내 4대 파벌 중 하나이다. 2011년 현재 고문으로 있는 코우사카 키리노 전 의원에 의해 창립된 파벌이다. 근린회라는 이름도 많이 알려져 있지만, 더 자주 쓰이는 말은 치바회(千葉会)이다. 말 그대로 치바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근린회가 공천한 치바현 의원은 위로는 참의원부터 아래로는 시구정촌 의회까지 가리지 않고 사실상 모두 당선된다고 볼 수 있는 수준이다. 당 내에서의 입지는 일상회와 마찬가지로 다른 파벌에 힘을 실어주는 존재이다. 다만 그 대가로 치바에서 지금과 같은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다른 파벌과는 파벌 이름처럼 두루두루 친하게 지내는 편이다.
- 마방대(防隊, 호타이): 능력주의 성향 파벌로 회장은 야마시로 렌 의원이다. 소속 의원 수는 16명으로 전원 중의원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상회와 정치적 입장이 비슷하지만, 이사회와의 관계도 좋은 편이라 어느 쪽이라고 속단하기 어렵다.
- SAO혁신회(S革, 에스카쿠): 기술민족주의 성향의 파벌로 현재 회장은 키리가야 카즈토 의원이다. 소속 의원 수는 12명으로 전원 중의원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소드 아트 온라인 사태 이후 생환한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사회와 가까운 정치적 입장을 보이기 때문에 범이사회 파벌로 여겨진다.
- 카자하야고등학교 동창회(風高, 카자코): 나가토로 하야세 전 총재의 인척으로 이루어진 파벌이다. 소속 의원 수는 9명으로 전원 중의원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가토로 의원의 출신성분 자체가 미사카 미코토 의원의 권유였기 때문에 범이사회 파벌로 여겨진다.
지지기반
과학당 집행부
과학당 집행부는 일본 과학당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를 집행하는 임원의 총칭이다.
과학당에는 간사장, 총무회장, 정무조사회장 등 3개의 중책이 총재 다음의 최고 간부이기 때문에 3역이라고 칭한다. 통상적으로 총재를 제외하고 3역 당직자는 국무대신 겸임을 피하고 당의 집무에 충실한다.
3역 이외에 4역이나 5역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4역은 3역 + 참의원 의원회장, 5역은 3역 + 참의원 의원회장 + 참의원 간사장을 가리키는데 3역에 비해 사용빈도는 적다.
총재
![]() |
---|
[ 펼치기 · 접기 ]
|
대수 | 이름 | 파벌 | 임기 | 대표 선거 |
1 | 카미조 토우마 | 학원도시 이사회 | 2007년 5월 2일 ~ 2009년 4월 1일 | 2007 |
2 | 아이사카 타이가 | 순정연구회 | 2009년 4월 1일 ~ 2009년 5월 19일 | 2009.03 |
대행 | 시라이 쿠로코 | 학원도시 이사회 | 2009년 5월 19일 ~ 2009년 5월 26일 | - |
3 | 미사카 미코토 | 학원도시 이사회 | 2009년 5월 26일 ~ 2015년 5월 26일 | 2009.05 |
4 | 2011 | |||
5 | 2013 | |||
6 | 마가츠가미 야토 | 비일상연구회 | 2015년 5월 26일 ~ 2016년 10월 1일 | 2015 |
대행 | 이츠카 코토리 | 비일상연구회 | 2016년 10월 1일 ~ 2016년 10월 8일 | - |
7 | 카토 메구미 | 지제회 | 2016년 10월 8일 ~ 2017년 10월 13일 | 2016 |
대행 | 오리하라 이자야 | 비일상연구회 | 2017년 10월 13일 ~ 2017년 10월 20일 | - |
8 | 카루이자와 케이 | 일상회 | 2017년 10월 20일 ~ 2021년 10월 20일 | 2017 |
9 | 2019 | |||
10 | 나가토로 하야세 | 카자하야 동창회 | 2021년 10월 20일 ~ 2023년 5월 8일 | 2021 |
대행 | 시이나 마시로 | 순정연구회 | 2023년 5월 8일 ~ 2023년 5월 15일 | - |
11 | 시노미야 카구야 | 순정연구회 | 2023년 5월 15일 ~ 2025년 5월 15일 | 2023 |
12 | 야모리 코우 | 비일상연구회 | 2025년 5월 15일 ~ | 2025 |
역대 당7역
기수 | 총재 | 간사장 | 총무회장 | 정무조사회장 | 국회대책위원장 | 참의원 의원회장 | 선거대책위원장 | |||
---|---|---|---|---|---|---|---|---|---|---|
1기 집행부 2007.05.02~2009.04.01 |
카미조 토우마 |
미야미즈 미츠하 | 아즈키 미호 | 키쿠치 마코토 | ||||||
2기 집행부 2009.04.01~2009.05.19 |
아이사카 타이가 49일 재임 |
|||||||||
총재대행집행부 2009.05.19~2009.05.26 |
요시다 하루 | |||||||||
3기 집행부 2009.05.26~2011.05.26 |
미사카 미코토 2192일 재임 |
나츠키 스바루 | ||||||||
4기 집행부 2011.05.26~2013.05.26 |
아리마 코우세이 | |||||||||
5기 집행부 2013.05.26~2015.05.26 |
사와타리 하루오미 | |||||||||
6기 집행부 2015.05.26~2016.10.01 |
마가츠가미 야토 495일 재임 |
아이사카 타이가 | ||||||||
총재대행집행부 2016.10.01~2016.10.08 |
나카노 이치카 | |||||||||
7기 집행부 2016.10.08~2017.10.13 |
카토 메구미 371일 재임 |
이츠카 시도 | 쿠로가네 잇키 | |||||||
총재대행집행부 2017.10.13~2017.10.20 |
토도로키 쇼토 | 이누즈카 로미오 | ||||||||
8기 집행부 2017.10.20~2019.10.20 |
카루이자와 케이 1462일 재임 |
카게야마 토비오 | ||||||||
9기 집행부 2019.10.20~2021.10.20 |
미도리야 이즈쿠 | 이즈미 사기리 | ||||||||
10기 집행부 2021.10.20~ |
나가토로 하야세 -일 재임 |
히나타 쇼오 |
원내 지도부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중의원 의원 총선거
연도 | 의석수 | 정원 | 득표율 (지역구/비례대표) | 결과 |
---|---|---|---|---|
2007년 | 125 | 480 | 22.8%/20.3% | 소년동맹 연립정부 |
2009년 | 100 | 480 | 20.5%/17.4% | 소년동맹 연립정부 |
2011년 | 129 | 480 | 23.9%/19.9% | 학생자유당-아이돌마스터 연립정부 |
2014년 | 162 | 480 | 28.7%/25.3% | 학생자유당-아이돌총연합 연립정부 |
2016년 | 147 | 480 | 25.6%/23.8% | 소년동맹-아이돌총연합 연립정부 |
2017년 | 95[2] | 480 | 18.4%/14.9% | 비집권 |
2019년 | 120 | 480 | 24.2%/20.6% | 비집권 |
2023년 | 170[3] | 480 | 32.6%/30.9% | 소년동맹-아이돌총연합 연립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