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
![]() 카스비르트 가문 클레도리아 초공황제 |
---|
[ 펼치기 · 접기 ]
|
![]() 클레도리아 제국 제11 · 12대 카스비르트 초공황제 세르네세 Sernethe | |||
---|---|---|---|
황실의 공식 사진은 즉위 때 찍는다. 당시 21세.[1][2] | |||
본명 | 일레미르칸 세르네세 카스비르트 Ilemircan Sernethe C'asvirt[3] | ||
이명 | 셀리 Seli[4] 레나메일라 세레니케른 Lenameila Serenicern[5][6] | ||
호칭 | 클레도리아 민중의 초공황제 세르네세 폐하 Cledoría Cledrothí o Clenied Sernethe Née 광양대주 Idemelinéd[7] | ||
성별 | 여성 | ||
출생 | 5327년 6월 17일 (수예제 중정 3년 6월 17일) | ||
클레도리아 제2제국, 카피톨리아 광역권, 카피톨리아 수도시, 네이르궁 | |||
재위 | 클레도리아 제국 제11대 초공황제 | ||
5348년 10월 2일 ~ 5370년 7월 13일 (고원제 황조 10년 10월 2일 ~ 청명제 광양 12년 7월 13일) | |||
클레도리아 제국 제12대 초공황제[8] | |||
5370년 10월 2일 ~ 5404년 3월 8일[9] (광양 12년 10월 2일 ~ 광복 34년 3월 8일) | |||
사망 | 5409년 11월 19일 (향년 82세) (원영 5년 11월 19일) | ||
클레도리아 제3제국, 카피톨리아 광역권, 카피톨리아 수도시, 테리스 엘리시아구, 엘리시아궁 | |||
능묘 | 청명제 명릉 | ||
클레도리아 제3제국, 카피톨리아 광역권, 카피톨리아 수도시, 네이르궁, 왕가의 안식 | |||
황장: 5409년 11월 25일[10] 발인: 5409년 11월 28일[11] | |||
가문 | 이데리아 자르마에니아의 카스비르트 가문 시르메닐 황가 오르도리아 신틀로리아의 마르카르 가문 슬리네델 분가[12] | ||
에르멜스 에르멜린의 클로르망 선휘황가[13] | |||
부모 | 초공황제 아르셀레인 키르메넬 카스비르트 Arthelein Cirmenel C'asvirt[14] | ||
선휘공주 에르클리에 그레니르 에르멜린 클로르망 Erclie Grenirr Ermelin Clorman[15] | |||
형제자매 | 없음 | ||
남편 | 수화제 케이렐린 일레시넬 에레수리냐 Ceirelin Ileshinel Erethuriná[16] | ||
자녀 | 1남 1녀 | ||
모국어 | 클레도리아어 북에레수리아 방언 | ||
국적 | 클레도리아 제2제국 → 클레도리아 제3제국 | ||
종교 | 클라르킬리아 종사: 에세르센디아 영당 | ||
신체 | 166cm, 51kg, A형, Rh+ | ||
연호 | 광양[17] (5349년 ~ 5370년) 광복[18] (5371년 ~ 5404년) | ||
탄생절 | 청명절[19] (6월 17일) | ||
거처 | 네이르궁 (5327~5333, 5348~5356, 5362~5404) 에셀리아궁 (5333~5348) 에셀리아 학교 여자 기숙사 (5333~5347) 에세르센디아 연구성 (5356~5357) 오르가이아 기사학교 (5357, 임시) 오르가르 행궁 (5357~5360) 신틀로리아 행궁 (5360~5362) 엘리시아궁 (5404~5409) | ||
학력 | 카스비르트 가문 설립 에셀리아 학교 초등관 (5333~5338) / 중등관 (5339~5342) / 고등관 (5343~5346)[20] 에세르센디아 대학교 국사학과 학사 졸업 (5347년 1학기, 5362년 2학기 ~ 5365년)[21] |
개요
세르네세, 본명 일레미르칸 세르네세 카스비르트는 클레도리아 제국의 제11·12대 카스비르트 초공황제이다.
클레도리아 제2제국의 마지막 황제이면서 클레도리아 제3제국의 첫 황제로, 두 전쟁과 섞인 기구한 인생을 산 인물이다.
생애
평가
가족 관계
기록
기타
- ↑ 정확한 촬영일은 5348년 9월 29일. 클로이가 5449년에 업스케일.
- ↑ 똑같은 그레시아계라 상관은 없지만, 에르멜스 황실과의 혼혈이며 그 전에도 모계를 외국에서 몇 번 데려왔기에 외양이 평범한 클레도리아인과는 살짝 다르다.
- ↑ 직역: 따스한 동백, 푸르신 여자분, 은빛 분지.
- ↑ 궁아명. 궁궐에서 생활할 때, 일부러 보안을 위해 이렇게 불렀다.
- ↑ 지방 귀족인 척 에셀리아 학교에서 생활할 때. 역시 보안을 이유로 한다.
- ↑ 자신이 이후에 쓴 <세르네세 일기>에선 친구들이 "레나(Lena)"라고 불렀다고 한다.
- ↑ 사후 높여 부를 때. 연호를 딴다. 남자 군주에게는 "대군"을, 여자 군주에게는 "대주"를 붙인다. 합쳐서 군주가 되도록.
- ↑ 일레시넬과 공동으로.
- ↑ 공동황제였던 일레시넬의 붕어로 아들 엘리세르에게 양위.
- ↑ 테리스 에르센디아구
- ↑ 왕가의 안식
- ↑ 부계. 제1제국, 제2제국, 제3제국의 황가는 일말이초 땐 6기 중간에 갈라진 공가가, 이말삼초 때는 직계가 이어받아 모두 한 뿌리다.
- ↑ 모계.
- ↑ 5300~5348. 스트레스 및 여러가지 사유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었고, 곧이어 붕어.
- ↑ 5301~5327. 출산 후유증으로 붕어. 때문에 세르네세는 어머니의 보살핌이 없었으며, 클라르킬리아 풍습 상 일부일처제였고 (첩도 없음) 재혼 제도도 없었기 때문에 유녀나 시녀는 있었다지만 가족의 총애를 받지 못한 편에 속한다. 부모님을 일찍 여의었으므로 개방적 자립에 기여하였다.
- ↑ 5325년생, 5352년 4월 3일 결혼, 5404년 3월 8일 사별. 유서 깊은 친황가 가문이었으며, 현 에레수리아현 지역을 영지로 가지고 있었고 '클레드로스(민중)'라는 별명 성씨를 가지고 있었음. 그와는 에셀리아 학교에서 처음 만났고, 정략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서로에게도 호감이 다소 있었던 것으로 알려짐.
- ↑ 光陽, Idemelis
- ↑ 光復, Idererisis
- ↑ Sernethenhart
- ↑ 년도는 '학년도'임. 가문 설립 학교라고 해서 공부에서의 특혜는 없었음. 생활상 호칭, 경호 문제는 있었지만 크게 지장을 주는 정도는 아니었고, 친구 간 교제도 평민과 큰 차이 없이 함. 차이점이라면 귀족 문화 속에서 품위를 과시했다, 정도.
- ↑ 아버지의 건강 악화로 휴학했고, 역사의 흐름을 이겨내고 15년만에 복학해 8학기 과정을 모두 이수함. `47학번, 제 384기 입학생이었고 그땐 대우를 받았으나 402기로 졸업할 때는 자신의 의지로 평민과 똑같이 행동하며 다녔음. 여전히 군주제이므로 오히려 교수진들이 행동을 지도하는 데 겁을 냈으나, 세르네세는 그냥 넘겼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