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

틀: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 공식 문서

소련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овый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국기 국장
Пpoлeтap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상징
국가 소련 국가
국화 해바라기
역사
[ 펼치기 · 접기 ]
• 2022년 10월 비공식 수립
• 2022년 11월 12일 수립
• 2023년 2월 19일 제2대 서기장 취임
• 2023년 4월 13일 제3대 서기장 취임
• 2023년 6월 제1차 소련 공산당 전당대회 개회
• 2023년 7월 4일 쇼스타코비치 고양이 헌법 개정
• 2023년 7월 미제 헌법 개정
• 2023년 8월 12일 쇼스타코비치 헌법 백지화 및 재개정
• 2024년 2월 1일 제4대 서기장 취임
• 2024년 2월 14일 제5대 서기장 취임
• 2024년 2월 21일 제6대 서기장 취임
• 2024년 5월 6일 헌법 개정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모스크바
면적 32,459,380km²
접경국 핀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튀르키예 공화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 몽골, 캐나다, 멕시코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714,772,571명(2022년)
민족 러시아인 51%, 우크라이나인 15%, 우즈베크인 6% 등
인구밀도
출산율
공용 언어 러시아어
공용 문자 키릴 문자
전체 언어 러시아어라트비아어루마니아어리투아니아어벨라루스어아르메니아어아제르바이잔어에스토니아어우즈베크어우크라이나어조지아어카자흐어키르기스어타지크어투르크멘어한국어 | 문화어 | 영어 | 각 지역별 언어
종교 국교 없음(국가 무신론)
군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공화제, 민주집중제, 연방제, 일당제
정부요인
최고회의 의장
(국가원수)
페르빌 파르니예프
(Первиль Парниев)
최고인민회의 의장
(정부수반)
페르빌 파르니예프
(Первиль Парниев)
집행위원회[br]위원장 페르빌 파르니예프
(Первиль Парниев)
중앙집행위원회[br]위원장 페르빌 파르니예프
(Первиль Парниев)
역대
최고지도자
페르빌 파르니예프
매흠
페르빌 파르니예프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페르빌 파르니예프
여당

소련 공산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집산주의 및 국유재산제
GDP
(명목)
1인당 GDP
통화 소련 루블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도량형 미터법
파일:2024년 3월 27일 (НСССР) 지도.jpg
이미지화 지도
파일: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НСССР)의 국기화 이미지.jpg

개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또는 신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으로 불린다. 약칭 소련, 신소련, HCCCP는 21세기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된 후 건국된 인류 역사상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를 계승하였다.

2022년 11월 12일에 수립하였고,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32,459,380km²)와 번째로 많은 인구(2024년 기준)를 가진 국가이다.

상징

국기

국장

국가

역사

지리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영토의 러시아와 가장 큰 내륙국인 카자흐스탄을 포함해 총 17개국이 합쳐진 영토를 가지고 있다.

시베리아 지역은 비록 춥고 척박해서 개발이 안 되어 사람이 살기 어려운 대신, 석유, 철, 망간, 천연가스, 금, 아연, 니켈 등 다양한 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소련의 최고봉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파미르 고원에 위치한 공산주의 봉으로, 높이는 7,495m이며 세계 50위이다. 이 산은 소련 내외의 훌륭한 산악인에게 수여되는 눈표범 상의 수상 조건 중 하나이다.

인문환경

인구

언어

공용어로 러시아어, 한국어를 채택하고 있으며 다민족 국가답게 여러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에스토니아어, 몰도바어, 리투아니아어, 카자흐어, 투르크멘어, 타지크어, 그루지야어[1], 아르메니아어, 아제르바이잔어, 라트비아어, 우즈베크어, 몽골어, 한국어, 문화어

종교

(구) 소련이 국가 무신론을 따랐다는 점에서, 국가 무신론을 채택하고 있으며, 종교행위는 일절 허락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모든 종교행위를 전부 막는데에는 한계가 있어서, [2] 지역 특성상 모든 종교를 제거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하여, 문화 관습 정도로 이해하는게 대부분이다.

행정구역

HCCCP는 전연방이랑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하고 각기 다른 곳에 있으며, 기존의 (구) 소련 구성국보다 몽골, 만주까지 2곳 더 많았으나, 3대 서기장에 의해 해산되면서 기존 15국을 유지하게 되었다.

현재는 미국한반도까지 영토를 넓혔고, 동독, 그리고 폴란드, 모두 19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펼치기 · 접기 ]


# 국호 수도 인구(2023~4년) 면적(2024년)
파일:RSFSRFLAG.png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143,740,789명 17,075,400
파일:Flag of the Byelorus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1951–1991).svg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민스크 9,455,037명 207,600
파일:카자흐SSR.png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알마아타 19,606,633명 2,717,300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트빌리시 3,732,014명 69,700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시뇨프 3,467,020명 33,843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비슈케크 6,708,195명 198,500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바쿠 10,399,056명 86,600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타슈켄트 35,007,681명 447,400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예레반 2,777,835명 86,600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두샨베 10,094,363명 143,100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슈하바트 6,598,071명 488,100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빌뉴스 2,725,027명 65,200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가 1,835,418명 64,589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탈린 1,319,041명 45,226
파일:우크라이나SSR.png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예프 37,937,821명 603,700
파일:1709303112478.jpg 고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개경 77,445,950명 223,663
파일:아메리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jpg 아메리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워싱턴 D.C. 345,922,478명 9,833,520

사라진 구성국

# 국호 수도 존속기간 해체후
파일:소비에트 행복주의 공화국 연방.png 소비에트 행복주의 공화국 연방 모스크바 2023.09.26~10.26 러시아
파일:만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png 만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창춘 2023.10.09~11.17 러시아, 중국, 몽골
파일:20240126 132841.png 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울란바토르 2023.10.09~11.16 몽골인민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페트로자보츠크 2023.12.12~2024.03.28 러시아

자치구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자치공화국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바시키르 АССР

부랴트 АССР

체첸-인구시 АССР

추바시 АССР

다게스탄 АССР
[[파일:|100px]]
고르노-알타이 АССР

카바르디노-발카리야 АССР

칼미크 АССР

코미 АССР

마리 АССР

모르도비야 АССР

북오세티야 АССР

타타르 АССР

투바 АССР

우드무르트 АССР

야쿠트 АССР
[[파일:|100px]]
아디게야 АССР
[[파일:|100px]]
카렐리야 АССР
[[파일:|100px]]
하카시야 АССР
[[파일:|100px]]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АССР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압하스 АССР

아자리야 АССР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나히체반 МСС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라칼파크 АСС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100px]]
크림 АССР


주요 도시

순위 공화국 도시 인구
1 러시아 SFSR 모스크바 13,011,112명
2 고려 SSR 서울 9,350,995명
3 아메리카 SSR 뉴욕 8,992,908명
4 러시아 SFSR 레닌그라드 5,600,044명
5 아메리카 SSR 로스앤젤레스 3,930,586명
6 고려 SSR 부산 3,273,473명
7 고려 SSR 인천 3,016,250명
8 우크라이나 SSR 키예프 2,962,180명
9 우즈베크 SSR 타슈켄트 2,860,511명
10 아메리카 SSR 시카고 2,761,625명

정치

틀:소련 총 역대 국가요인 (НСССР) 틀: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제 3대 국가 기관 (НСССР)

정치기구

최고 인민 회의

Статья 28

Верховное Народное Собрание — В состав Верховного Народного Собрания входят государи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желающие участвовать в Верховном Народном Собрании, изъявившие это намерение Верховному Совету и получившие окончательное одобр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제28조:최고 인민 회의는 최고 인민 회의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주권자들 중 이러한 의사를 최고 소비에트에 표현하고 최종적으로 최고 소비에트의 승인을 받은 이들로 구성된다.

 
ㆍㆍ헌법

Статья 29

Верховное Народное Собрание — Верховное Народное Собрание является административным органом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и его роль заключается в оказании помощи и проверк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повышени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решения вопросов, решаемых Верховным Советом, а также в рассмотрении различных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дел.

제29조:최고 인민 회의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행정 기관이며, 최고 소비에트를 보조 및 견제하며 최고 소비에트에 의해 결정된 사안의 처리에 효율성을 더하는 역할과 각종 공적 서류 및 공적 업무들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 소련 ㆍㆍ헌법

주로, 행정부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최고회의가 없을경우, 입법ㆍ사법부의 기능을 하는 기구이다.

최고회의

Статья 21

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собрание профильных законодателей или делегатов и является представительным органом местной и центральной власти.

제21조:최고 소비에트는 전문성을 지닌 의원이나 대의원들로 구성된 회의로, 지방 정부와 중앙 정부의 대표 기관이다.

 
ㆍㆍ헌법

Статья 22.

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является собранием, представляющим суверенитет Совет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законодательным органом и учреждением, способным устанавливать исполнительную власть. ㆍ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обладает высшей властью во всех сферах жизни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в том числе в политике, экономике, дипломатии, военной сфере и культуре, в пределах, предусмотренных Конституцией и законами.

제22조:최고 소비에트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주권을 대표하는 회의이며 입법 기관이자 행정부를 구축할 수 있는 기관이다. ㆍ최고 소비에트는 헌법과 법률에서 규정된 한계내에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정치, 경제, 외교, 군사, 문화 등 모든 방면에서 최고의 권한을 지닌다.

 
ㆍㆍ헌법

최고회의는 최고소비에트 대의원7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정치기구이다. 평상시 입법ㆍ사법부 기능을 가지며, 헌법 또는 법률 개정, 동시에 여러 중범자를 심판하는 소련의 최고권력기구이다.

공산당 전당대회

정당

2020년 11월 12일에 창당된 공산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따르는 소련 공산당이다.

자세한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공산당 (НСССР)참고.

헌법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헌법 (НСССР)참고.

외교

다음은 HCCCP의 외교국가에 대한 HCCCP 내무부에 의해 작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표시한다.

현재 외교국을 기준으로 하며, 과거 외교국은 포함되지 않는다.

사회주의 국가 관계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CPCCP 혹은 RSSRU라고 불리는 이 국가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따르는 국가이다.

과거 제국이였으나, 사회주의 혁명으로 사회주의 국가로 수립한 국가이다. 이후,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탔으며, 제국주의 노선을 시도하다가 관계가 악화되어 단교 위기까지 갔으나, 리차렬 서기장의 철회로 일반 수교국 강등에 그쳐졌다. [3]

진시황제의 진나라를 표방한 제국이였으나, 사회주의 혁명으로 수립한 사회주의 국가였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제국이였으나, 사회주의 혁명으로 사회주의 국가로 수립한 국가였다.

카카오톡에서는 HCCCP보다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국가이다.

HCCCP의 우방국중 하나였으며 기업계 사회주의 국가였다.

HCCCP의 우방국중 하나였으며 소통계 사회주의 국가이다. 이오시프 스탈린 서기장이 2024년 2월 중에 위성국을 자처하였다.

KCCCP라고도 불리며 현존하면서 가장 인구가 많은 사회주의 국가이다. 붉은평화 2차사태때, 단교의 위기가 있었으나, 본국에서 사과문을 전달하여 원만하게 합의된 사회주의 국가이다. 지금은 기본 수립 상태이며 외교관이 서로 파견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빙칠링이 자칭 KCCCP구성국으로 유지하였던 사회주의 국가였다.

발트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KCCCP구성국으로 유지하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 그레이트 브리튼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영국의 공산화 버전이며 감자연방에 속해있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아나키즘이 주류인 국가였으나, CPCCP에 의해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자리잡은 사회주의 국가이다. 최근 관할국에서 위성국으로 승격되었으며 2024년 4월 16일 공식 영향권에서 탈출하였다.

마이크로네이션으로 전환한 국가이나, 공식적으로 가상국가 틀에 분류되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현재는 운영을 무기한 중단한 상태이다.

그리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마이크로네이션으로 바꾸었던 소련의 구성국이다. 현재는 운영을 무기한 중단한 상태이다.

튀르키예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마이크로네이션으로 바꾸었던 소련의 구성국이다. 현재는 운영을 무기한 중단한 상태이다.

USSR을 따르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운영하던 사회주의 국가이다.

UISR이라고도 하며, 제국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였다.[4]

호주전역을 영토로 규정하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본국과는 초기 일간베스트로 인해, 외교부 장관이랑 충돌하였지만, 이후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소비에트 마치를 국가로 채택하고 있는 마리노프 서기장의 사회주의 국가였다.

고구려 전성기 영토를 규정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프라우다 고교를 배경으로 하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사회주의 혁명 단체였으나, 부진한 인구수에 사회주의 국가를 수립한 사회주의 국가였다.

국가라고 하기에는 어려운 아나키즘이 주류지만 국가 체제를 갖추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였다.

국가를 유지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였다.

(구)소련의 유지를 수정하여 받드는 국가였다.

명목상 아나키즘을 유지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체계적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지를 받드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일간베스트 문제 때문에 일이 있었지만,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자칭 최초의 가상국가이며 2016년에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이다.

한반도를 영토로 하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논리를 따르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였다.

스스로 컨셉임을 인정한 과일주스권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원래 자본주의 국가였으나, 사회주의 혁명으로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이다.

지구전체가 공산화된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루마니아의 독립된 사회주의 국가였다.

고르바초프 개혁이 첨가된 사회주의 국가였다. 사회주의 정당 다당제를 실시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였었다.

항시 바뀌는 공화국이다.

사민주의 국가에서 바뀐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체제로 하는 사회주의 국가였다.

  • 조선천지 공화국

소통계 사회주의 국가이다.

북극을 영토로 규정하며 인간에 의해 영토가 사라지기 쉬운 사회주의 국가였다.

카국의 판다랑은 전혀 상관이 없으며, 소통계 사회주의 국가이다.

  •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乂𝖘𝖎𝖗ᴮᵒˢˢ‽이 수립한 국가였다.

  •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박헌영이 수립한 사회주의 국가였다.

  • 발트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워게이가 수립한 사회주의 국가였다.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평의회 1대 서기장이 수립한 사회주의 국가이다.

공화국 체제 관계

대부분 공화국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왕국/제국 체제 관계

대부분 왕국/제국에 대해서 중립관계를 맺고 있다.

  • 팔성연합

HCCCP의 사회주의 외교법 이후, 유일하게 동맹을 맺은 군주제 출신 연합이다.

종교 국가 관계

중립적인 관계를 일부 표방하고 있으나, 수교를 맺는등의 외교는 금지하고 있다.[5][6]

경제

사회

복지

복지제도는 사회주의 국가답게 되어 있다. 탁아소는 전국에 있고, 임산부에 대한 배려, 아이를 기르는데에도 보조금을 충분히 지급해준다.

30일의 유급휴일이 보장되며, 휴가 비용을 국가에서 보조해주고, 필요하다면 별장(다챠)도 공짜로 지급한다.

게다가 사회주의 국가여서 명목상으로는 부의 분배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기에, 의식주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생활, 여가 생활과 같이 인간적인 삶을 위한 기본적인 복지가 보장된다.

국가 차원에서 노동자들을 위해 만든 요양원도 공기 좋은 곳에 만들어놓은 상태이다.

연금은 남녀구분없이 65세이상부터 가능하다.

주거

소련의 주거 문화는 아파트가 주류이다. 시골과 소도시의 경우에는 단독 주택에서 거주하는 경우도 꽤 있었지만, 대도시의 경우에는 아파트가 지배적이다.

1가구 3방짜리 아파트가 보편화되어 있으며, 영토랑 인구가 많이 분포되어 있어 현재 주택 보급률은 90% 정도이지만, 여전히 상당수가 공동아파트에 살고 있다. 또한 주택보급기간이 5년정도 걸려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1가구 1아파트 주택건설계획을 준비중이다.

소련에서는 자본주의 국가처럼 개인이 자유롭게 주택을 사고 팔 수 없다. 현재 단칸방 아파트의 가격이 대략 10,000루블에서 100,000루블 정도이며 1가구 방이 3개 있는 아파트의 경우 1,000,000루블 정도이다. 현재 노동자 평균 월급은 15,279루블에서 61,879루블 정도이다. 일반적인 경우 장기간 공용아파트나 단칸방, 또는 다락방이나 기존에 가족들과 살던 집에 거주하면서 국가로부터 집이 나오길 기다라다. 보통은 기숙사나 주택 또는 관사를 제공하는 직장에 들어가거나, 아니면 전문직종에 종사하면서 자녀가 있을 경우 다른 사람들에 비해 우선적으로 배급된다.

소련은 사회주의 국가 특성상 르 코르뷔지에 등 현대건축의 영향을 받아 도시계획을 구상할 때 녹지 면적을 많이 조성한 편이다. 거주지 등록같은 거주이전 제약이 없으며, (구) 소련 당시, 유령도시는 정부기관 혹은 이민자들이 잠시 거주하다 가는곳으로 쓰이고 있다.

노동

토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그 대신 평일 근무시간을 1시간씩 늘리는 방식으로 주5일제 주40시간 제도가 전면 시행되고 있다. 소련의 노동자는 휴가도 길게 배정받고, 병으로 근무하지 못하는 때도 허가를 받아 국립 요양원에서 치료 목적으로 요양할 수 있다.

국가에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국민들에게 일자리를 배정하였기에, 실업률이 0%대이고, 대부분의 기업이 공기업이기 때문에 직업안정성은 높아서 한번 입사하면 어지간히 큰 잘못이나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이상은 평생직장이 보장된다.

의료

모든 국민은 건강 보호를 요구할 자격이 있으며 소련의 모든 의료 기관에 무료로 입장할 권리가 있다.

 
— 의료에 대한 규정

소련은 무상의료가 실질적인 형태로 보장된 국가이다. 소련은 공중보건에 관심을 기울여 결핵, 티푸스, 소아마비같은 질병을 예방하는데 큰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공중보건을 증진하고 있다.

소련인들은 별도의 세금 없이 의료 및 약제비까지 모두 무료로 진료받을 수 있다. 또한 의료 체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휴식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요양원 체계도 잘 갖추어져 있다. 특히 급할 때 치료는 물론이고 돈 많이 들어가는 수술도 무료로 받을 수 있어 접근성도 높다.

그러나 높은 의료 접근성에 비해 질은 다소 떨어진다. 특히 지역 간 격차가 큰 문제로 꼽힌다. 물론 이 문제는 어느 정도 국토가 넓은 나라라면 다들 겪는 문제라 특이한 것은 아니지만, 소련은 그 정도가 상당히 심한 편이기에, 현재는 소련 내의 의료를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확대하는 정책을 펼치는 중이다.

치안

(구) 소련이 당국에 불만을 표하는 시위를 거의 유혈진압했던 반면, 내무부 내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반정부시위에 시위진압경찰을 투입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회주의 국가 반시위에 대해서는 유혈진압을 고수하고 있다.

총기소지에 대한 규제는 동아시아권에 비해서 관대한 편인데, 이는 인구밀도가 낮아 야생동물에게 습격당하거나 범죄를 당했다고 신고해도 출동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는 지역이 많고, 이 때문에 당국에서도 사냥용 엽총 소지는 허용한다. 물론 사전에 사냥허가를 받아야된다는 전제조건이 달려있기는 하다. 그래서 미국에 비해 살인범죄율이 낮은편이지만, 치안은 보통수준으로 평가된다.

문화

(구) 소련은 발레와 음악, 문학 등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이어져온 전통을 유지하고 장려했으며 현재도 각 구성국의 전통ㆍ음악ㆍ문학등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소련은 문화에 대한 검열과 감시가 심한 국가중 하나이다. 소련 입장에서 "이념적으로" 불순한 일간베스트, 마르크스ㆍ엥겔스ㆍ레닌등 과학적 사회주의의 거장에 대한 표현, 나치즘 옹호에 대한 검열을 하지만, (구) 소련에 비해서는 낫다는 평가를 받는다. 소련의 검열이 일반 현실사회주의 국가하고 비교할때 중간에 속한다.

10시15분마다 낫과망치를 올린다.

⠀⠀⠀⠀   ⠀⠀⠀⣶⠀⠀⠀⠀⠀⠀⠀⠀
⠀⠀   ⠀⠀⠤⣤⠼⠉⠧⣤⠤⠀⠀⠀⠀⠀
⠀⠀⠀   ⠀⠀⠀⣇⣀⣸⡁⠀⠀⠀⠀⠀⠀
⠀⠀⠀⠀  ⠀⠀⠋⠀⠙⠇⠀⠀⠀⠀⠀⠀
⠀⠀⠀⢀⠠⠤⠤⢤⣤⣤⣤⣀⠀⠀⠀⠀⠀
⠀⠀⠀⠀⠀⣠⣤⣤⣀⠈⠙⠻⣿⣦⡀⠀⠀
⠀⠀⠀⣠⣶⣿⣿⣿⠟⠁⠀⠀⠈⢻⣿⣄⠀
⠀⠀⣴⣿⣿⣿⣿⣧⡀⠀⠀⠀⠀⠀ ⢻⣿⡄
⠀⠀⠈⠻⠿⠃⠘⢿⣿⣦⡀⠀⠀⠀   ⣿⣿
⠀⠀⠀⠀⠀⠀⠀⠀⠙⢿⣿⣦⡀⠀   ⣿⣿
⠀⠀⢴⣤⡀⠀⠀⠀⠀⠀⠙⣿⣷⣤⣿⣿⠃
⢀⣴⣿⡿⣿⣦⣤⣀⣀⠀⣀⣨⣿⣿⣿⡅⠀
⢿⣿⠟⠀⠀⠙⠻⠿⣿⣿⣿⠿⠛⠉⠻⣿⠆
ㅡОбъединяйтесь, рабочие всех стран!ㅡ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의도에 두었지만, 이후 당국은 행인의 지적에 번역오류를 알게 된다.

⠀⠀⠀⠀   ⠀⠀⠀⣶⠀⠀⠀⠀⠀⠀⠀⠀
⠀⠀   ⠀⠀⠤⣤⠼⠉⠧⣤⠤⠀⠀⠀⠀⠀
⠀⠀⠀   ⠀⠀⠀⣇⣀⣸⡁⠀⠀⠀⠀⠀⠀
⠀⠀⠀⠀  ⠀⠀⠋⠀⠙⠇⠀⠀⠀⠀⠀⠀
⠀⠀⠀⢀⠠⠤⠤⢤⣤⣤⣤⣀⠀⠀⠀⠀⠀
⠀⠀⠀⠀⠀⣠⣤⣤⣀⠈⠙⠻⣿⣦⡀⠀⠀
⠀⠀⠀⣠⣶⣿⣿⣿⠟⠁⠀⠀⠈⢻⣿⣄⠀
⠀⠀⣴⣿⣿⣿⣿⣧⡀⠀⠀⠀⠀⠀ ⢻⣿⡄
⠀⠀⠈⠻⠿⠃⠘⢿⣿⣦⡀⠀⠀⠀   ⣿⣿
⠀⠀⠀⠀⠀⠀⠀⠀⠙⢿⣿⣦⡀⠀   ⣿⣿
⠀⠀⢴⣤⡀⠀⠀⠀⠀⠀⠙⣿⣷⣤⣿⣿⠃
⢀⣴⣿⡿⣿⣦⣤⣀⣀⠀⣀⣨⣿⣿⣿⡅⠀
⢿⣿⠟⠀⠀⠙⠻⠿⣿⣿⣿⠿⠛⠉⠻⣿⠆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ㅡ

이후, 러시아어 버전으로 재시도 하였으나, 현재 사용하는 낫과망치보다 모양이 좋지 않다 판단하여, 맨 위의 낫과망치를 현상유지중이며 현재는 위 2개의 낫과망치를 통용하고 있다.

관광

소련인들의 해외여행은 국제 사회주의 공항에서 볼수 있듯이 주로 사회주의 국가를 가며, 미국이나, 나치즘이 성행하는곳은 출입이 제한된다. 이외에는 모든 국가에 여행을 갈 수 있어 (구) 소련의 90년대보단 제한되어 있다고 평가받는다.

소련인들이 선호하던 국내 관광지로는 주로 기후가 온화한 크림 반도를 비롯해 흑해 연안이나, 캅카스, 발트 3국 해안가, 바이칼 호수 등이 있다. 유럽 지역에 거주하는 소련인들의 경우 중앙아시아를 이국적인 관광지로써 선호하기도 한다. 소련에서는 여행권을 주로 패키지 단위로 팔았는데, 일반인을 기준으로 시설이 좋은 리조트나 해변 호텔은 식비 포함해서 3주 머무는데 2000루블~5000루블이고, 일반 호텔은 1달 숙박에 800루블이다. 직장인의 경우 노동조합이나 지역당 내 공제를 통해 일정액을 직장에서 대신 부담해주었기 때문에 할인을 많이 받을 수 있다. 노약자나 미혼모, 퇴역군인은 무료이다. 인기휴양지는 인원제한이 있기때문에 대개 몇 년에 한번씩 숙박권을 받아 갔고, 여의치 않으면 가까운 지역이나 별장에 머무는 경우도 많다.

교육

소련 교육학의 핵심은 마르크스주의 교육학이다. 카를 마르크스는 노동이 교육의 일부여야 하며 교육과 노동을 결합해야 한다는 학설을 제시했다. 이 학설은 실습과 이론 교육을 병행해서 가르침과 동시에 생산 기술의 기초를 종합적으로 익히게 하면, 이론과 실제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고 인간이 전면적인 발달을 이뤄내게 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적인 내용이다.

그래서 소련은 마르크스주의 교육학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데즈다 크룹스카야가 제시한 ‘종합 기술 교육론’과 인문계를 채택함과 동시에, 제정 러시아의 ‘계급적이고 불평등하며 종교적인 교육 제도’를 ‘평등하고 민주적이며 세속화된 교육 제도’로 변화시키고 사회주의적인 사고를 가진 새로운 인간을 육성하고 있다.

소수 민족의 경우, 연방 정부는 토착화 정책을 실시해 소수 민족들의 언어와 문화를 존중하고 자치권을 부여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의 토착화 정책은 문맹 퇴치와 민족 언어와 문화, 역사 교육으로 이어지고 있다. 소수 민족에 대한 혜택 부여, 민족 언어와 문화, 역사 교육의 재개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포츠

소련은 인민복지와 문화증진 차원에서의 체육을 장려하고 노동과 국방을 위한 준비 같은 체력장 시스템을 도입해 인민의 체력관리에 주목하고 있다. 도시에도 수영장이나 체육관, 운동장 같은 기본시설을 중요시하여 반드시 짓고 있다.

(구) 소련 시절, 흐루쇼프 취임 이후부터 올림픽을 통해 국격을 올렸지만, 현재 НСССР는 올림픽 당시 위원회만 가입하였을뿐, 올림픽이나 국제 월드컵은 참여하지 않고 있다.

НСССР에는 전연방 축구 대회가 있는데, 2023년 12월 28일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을 비롯한 16개의 구성국이 참여하였다. 소련 내에서도 공산당 간부조차 잘 모를정도로 이루어졌고 주최자인 3대 서기장이 자진 사임하고, 블라디미르 레닌을 서기장으로 선출하면서, 완전히 중단되었다. 향후, 5대 서기장을 거쳐 페르빌 파르니예프가 다시 취임하였으나, 추가적인 진행은 없다.[7][8]

공휴일

군사

육군은 대규모 병력과 세계 1위의 기갑부대들을 자랑하고 미군에게 대적가능한 해군을 가지고 있지만, 공군은 뒤떨어지는 레이더 공학 기술 때문에 지상 기반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 핵전력으로는 2022년 핵탄두 186,976발을 보유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소련군참고.

여담

  • 소련은 과거 2022년 11월 12일에 근거지를 이동하면서, 당시 1인 소련들과 적극 외교를 하여 인구를 전보다 탐욕적이고 폭발적으로 유치시켰었는데, 그들을 소련 역사에서 칭하길 40여 소련의 서기장들이라고 칭한다.

각주

  1. 그루지야는 소련식 국호이며, 현재는 영어식 국호인 조지아로 알려져 있다. 그루지야로 표기한 이유는, 처음에 조지아 ССР로 국호를 개정하려 하였으나, 최고 소비에트에 의해 그루지야어 사용을 재개하기로 하면서 결정된 사안이다.
  2. 가상국가 특성상, 종교인인지 유추가 불가했기에 프로필 이름ㆍ사진ㆍ종교단체 설립ㆍ포교활동 등을 막는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태이다.
  3. 외교일:2023년 01월 06일
  4. 서기장은 라자흐 안드르스이였다.
  5. 초기 파르니예프는 종교를 탄압하였고, 바티칸의 추기경에게도 반강제로 나가게 하는등의 태도를 취한 전적이 있다.
  6. 스탈린이 전임 서기장, 레닌이 인구 감소라는 문제를 놔두고 사임하면서 바티칸에 외교를 신청하는등의 태도를 보였고, 추후 돌아온 파르니예프가 이를 알고 "종교 국가인 바티칸 같은 국가랑 외교하는 것은 용납할수 없는 일"이라며 다시 종교 국가를 탄압하면서 이전보다 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7. 현재, 스포츠에 대한 논의는 물론, 올림픽에 대한 논의 역시 일어나지 않고 있다.
  8. 사실, 지도부의 뜨뜻미지근한 반응은 물론, 소련의 국민들까지 전혀 관심을 주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일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