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 숙종


원고국 완디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 문종 숙종 영종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단종 태종 목종 인종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현종 고종 계공황제 정종 헌의황제 영조 건안황제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세종 성화황제 명종 선치황제 효종 융의황제 세조 숙의황제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신종 인렬황제 중종 민정황제 경종 고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철종 열조 페노사니오 완디 엔파 완디
구원고•사제십칠후삼국만목북조남조남광량테지니원고국
원고국 제3대 완디
肅宗
숙종
묘호 숙종
(肅宗)
시호 없음[1]
출생 1438년 10월 24일
이로보
사망 1513년 7월 18일 (74세)
키비크바 원고궁
능묘 헌릉(獻陵)
재위 원고국 완디
1482년 9월 15일 ~ 1513년 7월 18일 (30년)
연호 자오리넨(光烈)
[ 펼치기 · 접기 ]
제타시옥(棕星)
케파시(重勢)
부모 친부: ???
모친: ???
배우자 원경황후

개요

원고 숙종(元高 肅宗)은 원고국 제7대 군주이자 제3대 완디이다. 문당의 대립을 야기하고 정국의 혼란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한 조카를 살해하고 제위를 차지한 찬탈자이자, 가문의 일파중 하나인 원로파를 등용하여 정권을 장악한 독재자이지만, 그는 형과 조카의 업적을 무시하지 않았고 오히려 조세제도 정비와 농경법 보급 등 백성 친화적인 정책을 자주 펼쳐 성군의 성격을 보이기도 했다.

생애

형의 그림자

조카의 즉위

찬탈

원로파의 정권 장악

민생 정책

평가

기타

  1. 황제는 관습적으로 시호를 가지지 않는다. 묘호는 황제만의 것인 반면 시호는 신하의 것이라고 여기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