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나더어스는 현재 조기 완결되었으며, 연재 재개 계획이 없습니다.
세계관을 이용하시는 분들께서는 계속해서 어나더어스를 감상해주시기 바랍니다.
[ 세계관 목록 ]
|
[ 세계관 설명 ]
|
[ 같이 보기 ]
|
본 창작물은 어나더어스의 공식 설정입니다. 세계관 연재자 외에는 무단 편집을 지양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클리우스의 정당 목록
|
극좌
|
● 3세기 사회주의당, ● 이클리우스 공산당(1석 · 1석), ● 이클리우스 공산당 (괼렌도르프주의), ● 이클리우스 공산당 (레닌주의), ● 이클리우스 공산당 (마르크스주의), ● 이클리우스 공산당 (마르크스-레닌주의), ● 이클리우스 공산당 (마오-스탈린주의), ● 이클리우스 공산당 (신좌파-브렌드리크주의), ● 반자본주의당, ● 혁명투쟁당
|
진보·좌파
|
● 이클리우스 노동당(12석 · 10석), ● 농민사회민주당(1석 · 9석), ● 녹색사회연합-해적민주당(1석 · 9석), ● 민주대중당, ● 이클리우스 사회당(17석 · 20석), ● 사회정의를 위한 포럼, ● 여성/자유, ● 전진200, ● 이클리우스 진보당(18석 · 74석)
|
자유주의
|
● 국가개혁의 길, ● 이클리우스 민주당(127석 · 316석), ● 이클리우스 자유당(16석 · 18석)
|
중도주의
|
● 이클리우스 개혁당(25석 · 36석), ● 개혁 4.0, ● 농민신당, ● 이클리우스 민중당, ● 인민의 창, ● 중도당(13석 · 40석)
|
보수·우파
|
● 녹색자유당, ● 이클리우스 독립당, ● 변혁전선, ● 이클리우스 보수당(59석 · 165석), ● 순수행복당, ● 신자유클럽(0석 · 1석), ● 이클리우스 자유인민당
|
극우
|
● 국가보호당, ● 이클리우스 국민당(13석 · 12석), ● 국민경제당, ● 국제통일당, ● 대안과 연대 이클리우시아, ● 대이클리우시아당, ● 이클리우스 방위당, ● 이세계인의 정체성, ● 인민 포퓰리즘 - 엘리트를 거부하는 당, ● 정의, ● 흑백색 운동당
|
단일쟁점
|
● 200%, ● 글레마인당, ● 기본소득당, ● 더 많은 제도를 원하는 당, ● 마법신세대당, ● 이클리우스 문화예술당, ● 반권위주의당, ● 생태신당, ● 소수마법계당, ● 우리 문물을 지키자, ● 유권자연대, ● 이클리우시아의 퇴행을 반대하는 애국자당, ● 평화희망당, ● 혁신개발당
|
종교
|
● 기독가족생명당, ● 기독진리당, ● 이클리우스 신성인민당(8석 · 9석), ● 하나님과 자유의 이름으로
|
지역정당
|
이클리우스의 지역정당 참조
|
|
이클리우스의 정당 구조는 다당제로, 소선거구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하는 상원과 하원이 있다. 현재 의석 수로 보면 민주당의 일당 우위 체제이지만 같은 양대 세력인 보수당과 대립하고 있으며, 진보당도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민주-보수 구도에 진보당이 포함되기도 한다. 의회에서 의석을 가지고 있는 정당들도 존재하나 진보당이나 중도당 등의 정당들을 제외하면 의석이 15 ~ 20석 이내에 불과한데다 일부는 존재감을 어느 정도 보이지만 지지율이 낮은 소수정당들도 몇 안된다.
현재 이클리우스의 정당들은 법외적인 정당이나 정치 활동이 금지되는 정당들을 제외하면 이클리우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며, 관련 법률은 공직 선거 및 정당법을 참고하라.
관련 법률
이클리우스의 정당 및 선거 참여를 위한 법안(이하 공직 선거 및 정당법) 제1조
① 정당은 국민의 이익과 알 권리를 위하여 책임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후보자 추천이나 지지를 통해 정치적 의사결정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을 말한다.
② 이클리우스의 정당 구조는 다당제이며 그 누구도, 일당제나 구색정당제도를 지향하지 않는다.
이클리우스의 정당 및 선거 참여를 위한 법안(이하 공직 선거 및 정당법) 제2조
① 모든 정당의 설립은 자발적인 자유로 이뤄진다.
② 정당의 설립은 복수정당제를 허용하며, 반민주적 성격이 없는 한 민주적 성격을 갖춰야 한다.
③ 정당은 필수적으로 이클리우스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 심사를 받아야 하며, 심사가 완료될 경우 정식 등록된다.
④ 정당은 국가의 보호를 받으나 정당 자금은 국가의 지원을 받는다.
⑤ 반민주적인 성격을 띄며 민주주의와 국민의 자유에 반하는 정당의 경우 연방헌법재판소에 해산심판을 제소할 수 있다.
역사
이클리우스에 의회가 세워진 것은 68년(국제단위시 기준 1868년)으로 당시 의회에서 친왕정, 전통주의 성향이 강한 왕당파와 자유주의, 반왕정 성향의 자유파로 나뉘었는데 이 때까지만 해도 정당이란 개념이 아닌 회파라는 개념에 불과했으나 119년 1월 최초의 정당이자 보수정당의 시초로 추정되는 번영당을 시작으로 121년에는 자유파가 정당으로 확대되어 교섭단체의 개념이 회파에서 정당으로 탈바꿈한다. 그리고 128년에는 이클리우스 최초의 사회주의 정당인 사회당을 창당하였고, 133년 5월에는 사회당의 노동계가 탈당하여 급진적 좌파 성향을 띄는 노동당을 창당하였다.
반면 124년에는 인민당을 시작으로 수많은 우파정당들이 생겨났으나 인민당과 사회대중당과는 달리 진보 내지 좌파정당들에 밀려 군소정당 신세가 되어야만 했는데 131년 12월에는 우파정당 연합체인 우파연합이 탄생하였고 왕당파와 협력하는 일부를 제외하고 사회당과 자유당에 맞섰으며 왕당파를 견제했다. 이후 우파연합은 왕당파로부터 1당 자리를 내주었고 특히 인민당은 왕당파와의 연합으로 167석을, 사회대중당은 74석을 가져갔다. 좌파정당이었던 노동당과 사회당은 자유당에 밀려 3당으로 추락해버렸는데, 당 내 갈등으로 발생한 분당 외에도 계급투쟁, 의존적 노동정책과 반왕정에만 신경쓰다 보니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없어 지지율이 급락했던 것이다.
그러다 이클리우스 혁명으로 왕정이 무너지고, 민주공화정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훗날 양대 세력이 되는 보수당과 민주당이 탄생하게 된다. 사실상 왕당파와 자유당 간의 구도에서 보수당과 민주당 간의 구도로 재편된 것이다. 혁명의 대표적인 지도자 루이 록텔러는 민주당의 첫 당수이자 1·2·3대 공화국 총리로 재임했는데 당시 민주당은 중도우파에 가까운 정당이었지만 보수당은 지금과 비슷한 우파 ~ 극우 성향을 띄었다. 반면 사회당과 노동당은 공산주의 세력이 이탈하여 이클리우스 공산당이란 정당을 창당하게 되지만 사회당은 후에 민주당과 연정을 맺었고, 노동당은 공산당과의 협치를 시도하여 좌파정당들의 행보를 이어갔다.
한편 구 자유당이 공중분해 된 상황에서 규모가 절반으로 줄어들자, 구 자유당 출신을 모아 재건자유당를 출범시키고, 155년 3월 지금의 자유당으로 재창당을 하게 되면서, 민주당과 보수당을 견제할 수 있는 제3세력으로 부상했다. 158년에는 보수당에서 첫번째 분당이 일어나 국민당이 창당한다.
하지만 164년부터 클라이드 딜런이 총리가 되면서 민주-보수-자유로 동결되던 정치구도가 보수 단독 구도로 변하기 시작했는데, 보수당이 제1당이 되고 민주당은 엄청난 피해를 입은데다가, 강력한 반공 정책으로 인해서 좌파정당들이 대거 쓸려나갔다. 특히 공산당은 활동 금지 조치를 당해 파생 공산당들이 생겨났고, 제3세력으로 대표되는 자유당도 이 때문에 소수정당으로 전락해 한동안 강력한 중도주의, 제3세력 정당이 나오지 않았다.
그러다 딜런 내각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며 야당의 위세가 점차 강해지고 있었지만, 민주당은 국민들의 지지를 잃긴 했음에도 그나마 약진했으며, 사회당은 무너지는 민주당을 대체할 야권의 대안으로 부상했다. 그 후 자유당도 점차 떠오르며 민주당은 선거마다 연달아 참패했지만 보수당은 선거마다 연달아 이기고도 내각을 지킬 수 있었다. 사회당과 자유당은 선거에선 제1당을 차지하진 못했지만 자유당은 제2당, 사회당은 제4당의 자리에는 오르게 되면서 보수-야권 구도가 형성되었다. 한편 사회당은 185년 진보 계열이 대거 이탈하고 진보당을 창당하면서 제6당의 신당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다 민주당은 다시 여당 자리를 아슬아슬하게 내줬지만 연이은 사고로 인해 지지율이 급락하며 민주당-사회당-노동당-자유당 연정이 붕괴되는 결과를 맞는다. 그리고 사회당의 지지율 상승으로 보수당과 붙을 가능성이 커졌지만, 결과는 제2당인 민주당에 이은 제3당으로 마감했으나 상원에서는 민주당을 누르고 제1당으로 올라섰다.
그런데 193년 마이클 페터 총리가 사망하고 총리 재지명 투표에서 중도우파의 스콧 필러에 패배하면서 다시 보수당에 정권을 넘겨주는데, 필러는 이후 7년 간 정권을 잡았다. 필러의 임기 종료 이후 총선 정국으로 들어가게 되자 많은 국민들이 민주당을 지지하기 시작하였고, 진보당에서는 지지율이 증가하면서 보수당에 이은 제3당을 예상했는데, 결과는 민주-보수-진보 구도가 형성되는 결과를 남겼다. 민주당은 제1당이 되었고, 보수당은 그나마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진보당은 정당 최초로 제3당 자리에 오르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개혁당의 등장으로 중도정당이 약진했다.
3세기에는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사생활의 보호, 포르노의 합법, 녹색 정치 등이 등장한 시기로, 민주당도 시대에 발맞춰 이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녹색당은 해적당과 통합하며 녹색정치연합-해적민주당이 등장하였고, 진보당은 성소수자, 여성 등의 초점을 복지, 경제, 사회로 확대하였다. 반면 보수당은 포르노를 여전히 불법화해야 한다는 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환경, 여성 정책에 부정적인데다가, 종교를 중시하는 전통주의 노선과 자유를 중시하는 중도, 자유지상주의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한편 신성교에서는 일부 신도들에 의해 신성정치연합이란 정당을 창당한 후, 204년 9월 신성인민당으로 개편하여 그동안 기독교에 불과했던 종교정당에 변화가 찾아왔다.
208년 헌법 개정으로 민주연방을 선포하자 총선에도 영향을 미치며 압도적인 차이로 민주당이 승리하게 된다. 그리고 뒤이어 터진 글레마인 재배로 인해 마약 정책에 큰 변화가 오게 되는데, 민주당은 글레마인 재배의 금지와 마약 불법을 외치는 반면 보수당은 글레마인의 자발적 재배와 마약의 합법화를 외치고 있다.
최근에는 여성/자유, 개혁 4.0 등의 신생정당들이 등장하고 있어 사회, 정치, 경제, 외교, 국방, 재정 등 다양한 의제에서의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프랑수아 이클루아의 2기 내각에서는 이른바 무지개 내각을 강조하며 사회당, 진보당, 농민사회민주당, 노동당, 중도당, 개혁당, 자유당, 신성인민당, 녹사련-해적민주당이 연정에 참여함에 따라 중도우파부터 좌파까지 이르는 연립정권을 출범시켰다.
정당 목록
원내정당

|
이클리우스 연방상·하원
|
|
|
현존하는 정당
※ 아래의 정당들은 이클리우스 선거관리위원회 중앙청사에 등록되어 있다.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3세기 사회주의당
|
Third Century
Socialist Party
|
21세기 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
반자본주의
|
|
199년
|
이클리우스 공산당
|
Icliusian
Communist Party
|
마르크스-레닌주의
민주사회주의
공산주의
|
#
|
149년
|
|
Communist Party of Icliusia
(Göllendorffist)
|
|
|
164년
|
|
Communist Party of Icliusia
(Leninist)
|
반제국주의
레닌주의
|
|
164년
|
|
Communist Party of Icliusia
(Marxist)
|
반수정주의
마르크스주의
|
|
164년
|
|
Communist Party of Icliusia
(Marxism-Leninist)
|
마르크스-레닌주의
반제국주의
반자본주의
|
|
165년
|
|
Communist Party of Icliusia
(Maoism-Stalinist)
|
공포 정치
마오쩌둥 사상
스탈린주의
|
|
179년
|
|
Communist Party of Icliusia
(New Left-Brendrickist)
|
사회주의
브렌드리크주의
|
|
168년
|
반자본주의당
|
Anticapitalist Party
|
반자본주의
진보주의
트로츠키주의
|
|
202년
|
혁명투쟁당
|
Revolutionary
Struggle Party
|
혁명적 사회주의
반자본주의
|
|
212년
|
|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노동당
|
Labour Party
of Icliusia
|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
#
|
133년
|
농민사회민주당
|
Farmers'
Social Democrats
|
사회민주주의
민주농본주의
|
#
|
197년
|
녹색사회연합-해적민주당
|
Green Social Union-
Pirate Democrats
|
해적 정치
사회자유주의
녹색 정치
|
#
|
200년
|
민주대중당
|
Democratic Popular Party
|
좌익대중주의
민주사회주의
반제국주의
|
|
199년
|
이클리우스 사회당
|
Socialist Party
of Icliusia
|
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
좌익대중주의
|
#
|
128년
|
사회정의를 위한 포럼
|
Forum for Social Justice
|
사회자유주의
사회 정의
진보주의
|
|
210년
|
여성/자유
|
Woman/Freedom
|
사회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대중주의
|
|
216년
|
전진200
|
Forward 200
|
전자민주주의
자유주의
진보주의
|
|
200년
|
이클리우스 진보당
|
Progressive Party
of Icliusia
|
진보주의
소수자 인권 신장
민주사회주의
|
#
|
185년
|
|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국가개혁의 길
|
A Way of National Reform
|
급진적 개혁주의
문화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
|
214년
|
이클리우스 민주당
|
Democratic Party
of Icliusia
|
사회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
#
|
145년
|
이클리우스 자유당
|
Liberal Party
of Icliusia
|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
#
|
155년
|
|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이클리우스 개혁당
|
Reform Party
of Icliusia
|
개혁주의
사회자유주의
반부패주의
|
#
|
199년
|
개혁 4.0
|
Reform 4.0
|
개혁주의
반부패주의
풀뿌리 민주주의
|
|
200년
|
농민신당
|
New Farmers' Party
|
농본주의
|
|
209년
|
이클리우스 민중당
|
Icliusian People's Party
|
자유국민주의
사회자유주의
이클리우스 국민주의
|
|
220년
|
인민의 창
|
Spear of the People
|
세속주의
국민자유주의
급진주의
|
|
186년
|
중도당
|
Centre Party
|
개혁주의
사회자유주의
자유보수주의
|
#
|
202년
|
|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녹색자유당
|
Green Liberal Party
|
녹색보수주의
|
|
197년
|
이클리우스 독립당
|
Icliusian
Independence Party
|
우익대중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이클리우스 국민주의
|
|
203년
|
변혁전선
|
Revolutionary Front
|
보수혁명사상
사회보수주의
급진공화주의
|
|
190년
|
이클리우스 보수당
|
Conservative Party
of Icliusia
|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
|
145년
|
순수행복당
|
Pure Happiness Party
|
우익대중주의
사회보수주의
세속주의
|
|
188년
|
신자유클럽
|
New Liberal Club
|
우익대중주의
사회보수주의
|
#
|
192년
|
이클리우스 자유인민당
|
Liberal People's Party
of Icliusia
|
자유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
|
207년
|
|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국가보호당
|
National Protect Party
|
이클리우스 국민주의
반이슬라마
반이민
|
|
208년
|
이클리우스 국민당
|
Nationalist Party
of Icliusia
|
이클리우스 국민주의
우익대중주의
|
#
|
158년
|
국민경제당
|
National Economics Party
|
경제적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
|
212년
|
국제통일당
|
International Unity Party
|
범이세계주의
반공주의
국수주의
|
|
217년
|
대안과 연대 이클리우시아
|
Alternative and Solidarity
Icliusia
|
국민보수주의
우익대중주의
|
|
212년
|
대이클리우시아당
|
Great Icliusian Party
|
국수주의
네오파시오이즘
이클리우스 국민주의
|
|
219년
|
이클리우스 방위당
|
Icliusian Defence Party
|
군국주의
네오파시오이즘
매카시즘
|
|
220년
|
이세계인의 정체성[1]
|
Identity of Isekai
|
이세계인 우선주의
인종주의
|
|
195년
|
엘리트를 거부하는 당
|
People's Populism
Party Against Elites
|
반엘리트주의
네오파시오이즘
우익대중주의
|
#
|
210년
|
정의
|
Justice
|
원칙주의
반공주의
대안우파
|
|
220년
|
흑백색 운동당
|
Black-White
Revolutionary Party
|
반동주의
군주주의
국수주의
|
|
220년
|
|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200%
|
200%
|
시민친화적 복지국가
사회민주주의
|
|
200년
|
글레마인당
|
Glemine Party
|
글레마인 합법화
마약 금지 철폐
|
|
149년
|
기본소득당
|
Basic Income Party
|
단일쟁점
기본소득제
|
|
215년
|
더 많은 제도를 원하는 당
|
The Party Wants More Policy
|
직접민주주의
풀뿌리 민주주의
국민주권
|
|
218년
|
마법신세대당
|
Magicish
New Generation Party
|
마법주의
|
|
218년
|
이클리우스 문화예술당
|
Icliusian
Art and Culture Party
|
단일쟁점
|
|
168년
|
반권위주의당
|
Anti-Authoritarist Party
|
반권위주의
|
|
203년
|
생태신당
|
New Ecologist Party
|
생태주의
환경
주의
지속가능 정치
|
|
220년
|
소수마법계당
|
Minority Magicish Party
|
단일쟁점
소수자 권리 신장
|
|
213년
|
우리 문물을 지키자
|
Save Our Culture
|
전통주의
반동주의
문화보호주의
|
|
214년
|
유권자연대
|
Voters Solidarity
|
자유주의
직접민주주의
보수자유주의
|
|
209년
|
애국자당
|
PPGRDI
|
애국주의
반공주의
반사회주의
|
|
216년
|
평화희망당
|
Peaceful Hope Party
|
평화주의
반전주의
|
|
205년
|
혁신개발당
|
Innovation and Development
Party
|
가속주의
신경제 육성
|
|
213년
|
|
정당명
|
원어 명칭
|
이념
|
로고
|
창당일
|
기독가족생명당
|
Christic Families Life Party
|
기독교 원리주의
사회보수주의
제정일치
|
|
210년
|
기독진리당
|
Christian Truth Party
|
기독교 우파
제정일치
극단주의
|
|
212년
|
이클리우스 신성인민당
|
Icliusian Holy People's Party
|
신성교 민주주의
반근본주의
자유보수주의
|
|
204년
|
하나님과 자유의 이름으로
|
In The Name of
Liberty and God
|
가톨릭 민주주의
반근본주의
자유보수주의
|
|
213년
|
|
없어진 정당
정당 분류
이클리우스 의회에 속한 원내정당 14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성향별
극좌
|
공산당
|
좌파
|
사회당, 진보당, 녹색사회연합-해적민주당, 노동당, 민주당(일부)[2]
|
중도좌파
|
민주당, 농민사회민주당, 개혁당, 자유당(일부)[3], 중도당(일부)[4]
|
중도
|
자유당, 중도당, 민주당(일부)[5], 신성인민당(일부)[6], 보수당(일부)[7]
|
중도우파
|
보수당(일부)[8], 민주당(일부)[9], 자유당(일부)[10], 신성인민당
|
우파
|
보수당, 신자유클럽, 국민당(일부)[11]
|
극우
|
국민당, 보수당(일부)[12]
|
각주
- ↑ 현재는 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정당 부적격 처리를 받은 상태이다.
- ↑ 좌파대중주의, 민주사회주의, 진보주의
- ↑ 사회자유주의, 데이지주의
- ↑ 사회자유주의
- ↑ 중도주의
- ↑ 사회민주주의
- ↑ 중도주의, 사회자유주의
- ↑ 진보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 자유보수주의
- ↑ 자유보수주의
- ↑ 사회보수주의, 우파대중주의
- ↑ 딜런주의, 군주주의, 반동주의, 강경 반공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