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 편집지침 ·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 동음이의 리다이렉트 요청 |
![]() |
FAQ · 도움말 (사이트 소개 · 저작권 · 운영진 · 단축키 · 편집 · 문법 (표 · HTML · CSS) · 틀 · 분류 · 등급 (등급 목록) · 동음이의) · 유저가이드 (기초문법 · 고급문법 · 정치 창작 팁 · 전쟁 창작 팁 · 판타지 창작 팁 · 언어 창작 팁 · 종교 창작 팁) · 권리침해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 |
운영진 (관리자 · 중재자) · 관리자 선거 (2018 · 2019 · 2021) · 투명성 보고서 |
![]() |
인정단체 · 에른스트의 아무튼 공방 (아무거나 월간공방) · 그리다 · 감성위키 · 와르샤와웍스 · 연필이 닿는 곳 · 철통팀 |
![]() |
이 창작이 대단하다! (2021 세계관 · 2021 창작자 · 2020 세계관 · 2020 창작자 · 2020 편의성) · 연말시리즈 (2022) |
1 차별점
우선적으로, 제이위키만의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한다면 사용자가 창작한 작품을 그대로 서술할 수 있는 창작위키라는 점일 것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를 달리는 위키백과, 나무위키 등만 보아도 사용자의 창작이 아니라 실제 존재하는 개념들을 서술하고 설명하는 단어 그대로의 '위키(인터넷 사전)'에 가깝지만, 제이위키는 인터넷 사전이라기보단 각 사용자의 창작 세계관 및 설정을 정리하고 보관하는 설정집에 가깝습니다.
2 나무위키
국내 최고 접근성 위키인 만큼 나무위키에서 제이위키로 건너온 사용자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무위키와 제이위키는 위키 엔진에서부터 큰 차이를 보이며 서술 방식 및 대상에도 적지 않은 차이가 있습니다.
나무위키 | 제이위키 | |
---|---|---|
위키 엔진 | the seed | 미디어위키 |
위키 문법 | 나무마크 | 미디어위키 |
라이선스 | CC BY-NC-SA 2.0 | CC BY-SA 3.0 |
나무위키 형식과 문체로 활동을 이어나가는 사용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개인의 독창적인 서술 방식으로 활동을 이어나갑니다. 특히 엔진과 문법이 완전히 다른 탓에 디자인 면에서도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나무위키가 아니라 위키백과나 리브레위키에서 넘어온 사용자가 더 빨리 적응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이위키에서도 과거까진 나무위키의 위키 문법인 나무마크를 일부 지원했었고,[1] 현재까지도 나무위키 문체로 서술하거나 미디어위키 문법을 이용해 나무위키 형식의 디자인을 제작하는 사용자가 적지 않으므로 큰 연관이 없다고는 할 수 없겠습니다.
그러나 나무위키와 제이위키의 라이선스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무위키에서 디자인이나 서술을 가져오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도 저작권에 주의해야 합니다.
3 미디어위키 재단
같은 미디어위키 엔진과 문법을 사용하므로 기능적으로는 오히려 나무위키보다 더 유사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앞서 첫 문단에서 서술했듯 결국 이들도 실존하는 개념들을 설명하는 인터넷 사전에 불과하므로 창작위키인 제이위키와는 서술 면에서 큰 차이점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같은 엔진과 문법을 사용하는 만큼 라이선스가 같을 경우 다른 위키에서 유용한 틀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위키백과와 미디어위키, 그리고 리브레 위키 등이 그러합니다.
4 이브위키
같은 미디어위키 엔진과 문법을 사용하는 위키 중에도 드물게도 비슷한 성향을 보이는 위키입니다. 미디어위키 엔진을 사용하는 창작 위키가 이 둘 외에 없는 것은 아니지만, 둘 모두 대체역사[2]를 주류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브위키는 제이위키에서 탈퇴한 사람들로 파생된 위키이므로 비슷한 성향을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두 위키 간의 관계는 그다지 좋지 않으니[3] 둘 중 어느 위키에서든 다른 한쪽을 언급하지 않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5 디시위키
제이위키도 창작위키인 만큼 앞서 서술한 나무위키나 미디어위키 재단에 비해 규정이 엄격한 편은 아닙니다만, 그렇다고 디시위키만큼 자유분방하고 방관적이진 않습니다. 제이위키에는 여러 방침들과 가이드라인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어긴 활동을 할 시 운영진에 의거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디시위키처럼 문서의 가독성을 지나치게 해치거나,[4] 문체에 있어 도가 지나친 비속어가 포함될 경우가 그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