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The Eternal Empire)

Dadago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1월 13일 (수) 15:55 판


대한제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UN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대연국 대명국 대진국 대송국 대초국
대오국 대장국 대상국 대촉국 대리국 후이국
대몽골국[1] 티베트 왕국[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1]
  1. 1.0 1.1 중앙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2. 남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onlyinclude>

[ 펼치기 · 접기 ]

아시아 국가 연맹체 회원국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大韓帝國 | Empire of Korea
국기 황실문장
光明天地
광명천지
상징물
국가 제국 찬가
국조 호랑이
국화 오얏꽃, 진달래
역사
조선 건국 1392년
칭제건원 1857년
대아대전 1936년
진달래혁명 1974년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중경 한성부 (韓城府)
북위 37.5° 동경 127°
최대도시
주요도시
하위 행정구역 30부 68도
면적 2,615,965km2
접경국 소련
몽골국
연국
명국[1]
양광국[2]
말레이시아[3]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485,552,583명내지인구,세계 2위
607,343,938명외지인구까지 집계시,세계 2위
인구 밀도 144.96명/km2
민족 구성 한국인 95.51%, 기타 외국인 4.49%[4]
출산율 2.23명 (2030년)
기대수명 94세 (2030년)
공용어 한국어
공용문자 한글, 한자
종교 국교 없음
분포 크리스트교 21%, 불교 27%, 기타 2%, 무종교 51% (2030년)
군대 대한제국 국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단원제, 다당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 8.12점 | 완전한 민주주의
황제 (국가 원수) 청화황제 이설
내각총리대신
(정부 수반)
진추실
정부
요인
부총리
국회 의장
입법부 대한제국 국회
집권 여당 대한민주당
연립 여당 사회노동당
대한유신회
부민연합회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41조9828억| 세계 1위
1인당 86,464$| 세계 4위
GDP
(명목)
36조4344억$| 세계 1위
1인당 75,037$| 세계 4위
국부 152조2235억$| 세계 1위
수출
입액
수출 1조9335억$| 세계 1위
수입 1조8459억$| 세계 1위
외환보유액 8418억$
신용 등급 무디스 Aaa
S&P AA+
Fitch AAA
통화 화폐 대한제국 원(\)
ISO 4217 KRW
국가
예산
1년 세입 4조1902억$
1년 세출 7조5819억$
단위
[ 펼치기 · 접기 ]
도량형 SI단위
통행 방향 우측통행
연호 청화(淸畵)[5]
시간대 GMT+09:00 (KST)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1948년
수교국
ccTLD
.kr
국가 코드
410, KOR, KR
국제 전화 코드
+82
위치

개요

동아시아의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GDP 세계 1위,동아시아를 좌지우지하는 명실상부 동아의 황제국이자 미국,소련,인도와 함께 냉전을 주도하는 초강대국중 하나이다.

상징

국호

한국의 정식국명은 대한제국(大韓帝國)이다.
이 명칭은 1857년 문조가 칭제건원을 할때,과거에 있던 삼한에서 한(韓)을 따와 대한제국이라는 국호를 지었으며
약칭으로는 대한,한국,제국이 쓰이며 이전의 국호인 조선이라고도 불린다.
국제적으로는 조선보다도 이전의 국가인 고려가 변형된 Korea라고 불린다.이는 한국이 아랍을 통해 서양에 알려지던당시가 고려시대였기때문이다.
드물게도 정식명칭인 Empire Of Korea나 Greater korean Empire,Imperium of Korea,혹은 그냥 The Empire[6][7]로도 불린다.

국기

대한제국의 법정 국기
태극기
太極旗

태극기는 칭제건원이후 여러 화공들과 문조가 의논하여 1859년 만들어진 국기이다.
역사적으로 사용하던 적색과 청색의 태극과 조선국왕의 어기에서의 팔괘에서 사괘만 따와 완성했다.
이외에도 삼족오기도 국가를 상징한다.이는 제국의 정식국기는 아니나,태극기만큼이나 오랜역사를 갖고있어 군기로 사용되거나 국제경기에서 태극기와 같이 관중석에서 휘날린다.

국가

대한제국의 국가는 대한제국 애국가이다.

역사

대한제국의 역사
大韓帝國史
[ 펼치기 · 접기 ]
상고
시대
고조선
(단군조선)
진국 주호국 승문인 에조인 어성 대만인
부여 고조선
(위만조선)
원삼국
시대
한사군* 마한 변한 진한
고구려 옥저 동예
삼국
시대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탐라
왕조국가
남북국
시대
발해 신라
태봉 후백제 신라
고려
시대
고려 유구
원조정권
만주원치시기 주리정권
조선
시대
만주명치시기 조선 열도내란시대 대두
풍신정권
덕천정권 대만청치시기
현대
시대
대한제국

대한제국 (The Eternal Empire)/역사참고

지리

지역 구분

퍼즐 형태의 로고
대한제국의 지역구분

대한제국의 지역은 크게 반도의 수도권,삼남,북원,열도의 서도,관서,관동,북해,남해,만주의 요동,요서,발해,부여,흑룡,연해주,외만주 이렇게 15개로 구분되고,해역은 크게 대한해,북해,동해(태평양의 일부),서해(황해),남해,이렇게 5개로 나뉜다.
그리고 대한제국 전국토를 가리켜 만리강산이라부른다.최동단의 천도열도에서 최남단의 대만섬 남단지역이 만리(대략 4000km)이기에 붙은 이름이다.

자연

크게 만주,한반도,일본열도,남방열도로 이루어져있고 이외에 해외 조차지,태평양 섬들도 다수 있다.
만주와 반도 북부,중부지역,북해도일대는 냉대기후,반도의 남부지역과 일본 대부분의 지역은 온대기후을,일부 태평양 섬들에선 열대기후가 나타난다.

인구

한반도에 1억 4500만명,일본열도에 1억 3500만명,만주에 1억 6500만명,대만,해남등 남방 열도지역에 3500만명 기타외지에 1억 1000만명[8]이 살고있다.
인구 밀집지역은 한반도의 수도권지역,동남권지역,서북지역,일본열도의 관서 서부지역,관동 남부지역,만주의 요동,발해지역이다.
아파트들이 고도로 밀집한탓에 일부 대도시들에 인구가 대규모로 몰려있어 전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20개중 19개가 제국에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국의 대도시들은 그 규모와 인구 수에 있어서 다른 나라들을 압도하고 있으며 대도시들의 인구유출마저 대부분 주변 위성도시로 향하는것이다. 이로인해 한국의 대도시들의 교통환경은 세계적으로도 혼잡하기로 유명하며 이는 한국의 심각한 도시문제중 하나이다.

주요 도시

제국최대의 도시는 수도인 한성부 로 도시인구는 약1800만명,광역인구는 약4400만명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도시권을 형성하고있으며,이속에 황궁과 정치기관들,다수의 기업본사들이 위치해있다. 한성 , 개성 , 양주 , 수원 , 용인 , 성남 , 안양 , 부산 , 대구 , 전주 , 평양 , 삼화 , 함흥 , 의주 , 비사 , 심양 , 장춘 , 합빈 , 해삼위 , 백력 , 복강 , 대판 , 경도 , 명고 , 강호 , 횡빈 , 찰황 , 대북 , 해구 의 30부가 존재한다.그리고 특히 그중 중경 한성부,북경 장춘부,동경 강호부,남경 부산부,서경 평양부,상경 심양부,하경 대판부등의 7개 주요대도시를 7경으로 지정했다.7경으로 지정된도시들의 부윤은 장관급이며 정부청사들이 소재하며 산하에 군이 존재하지 않는다.

시간대

UTC+8:00 해남,광동등 기타 외지
UTC+9:00 대부분의 내지
본래 내지에서도 반도와 만주는 UTC+8:30 시간대를 동한열도 지역에서는 UTC+9:00 시간대를 사용했으나 1935년 UTC+9:00로 일원화 되었다.
이는 동화의 목적도 있었으나 시간대 사용이 30분단위이면 관측,항해,항공등에 불편이 있는면도 있기때문이다.실제로 수도인 한성은 자연적으로는 UTC+8:30에 가깝고 UTC+9:00는 오히려 강호등 동한열도지역의 자연시간대에 가까우나 UTC+9:00에 일원화한것또한 이것이다.
다만 광동등지는 한국과는 시간대가 다르고 동화목적의 식민지가 아니었기에 다른 시간대를 유지하였고,이는 현재에도 유지중이다.

행정구역

대한제국 (The Eternal Empire)/행정구역

대한제국
광역자치단체
[ 펼치기·접기 ]
경(京)

중경 한성부
中京 韓城部

상경 장춘부
上京 長春部

동경 강호부
東京 江戶部

서경 평양부
西京 平壤部

성경 심양부
盛京 瀋陽部

남경 부산부
南京 釜山部

화경 대판부
和京 大坂部
부(府)
개성부
開城部
수원부
水原部
양주부
楊州部
성남부
城南部
안양부
安養部
용인부
龍仁部
울산부
蔚山部
대구부
大丘部
전주부
全州部
삼화부
三和部
함흥부
咸興部
청진부
淸津部
의주부
義州部
복강부
福岡部
경도부
京都部
명고부
名古部
횡빈부
横浜部
찰황부
札幌部
합빈부
哈滨部
비사부
卑沙部
길림부
吉林部
해삼위부
海參崴部
백력부
伯力部
대북부
臺北部
도(道)
충청남도
忠淸南道
충청북도
忠淸北道
전라남도
全羅南道
전라북도
全羅北道
경상남도
慶尙南道
경상북도
慶尙北道
황해남도
黃海南道
황해북도
黃海北道
평안남도
平安南道
평안북도
平安北道
함경남도
咸鏡南道
함경북도
咸鏡北道
강원도
江原道
나화도
那花道
대만남도
臺灣南道
대만북도
臺灣北道
복록남도
福鹿南道
복록북도
福鹿北道
광강남도
廣岡南道
광강북도
廣岡北道
대경남도
大京南道
대경북도
大京北道
명장남도
名静南道
명장북도
名静北道
신금남도
新金南道
신금북도
新金北道
고송도
高松道
강횡도
江橫道
우천남도
宇千南道
우천북도
宇千北道
선청남도
仙靑南道
선청북도
仙靑北道
찰함남도
札函南道
찰함북도
札函北道
연용남도
延龙南道
연용북도
延龙北道
국혼남도
國渾南道
국혼북도
國渾北道
단본남도
丹本南道
단본북도
丹本北道
비안남도
卑安南道
비안북도
卑安北道
심요남도
瀋遼南道
심요북도
瀋遼北道
철사남도
鐵四南道
철사북도
鐵四北道
장길남도
長吉南道
장길북도
長吉北道
합목남도
哈牡南道
합목북도
哈牡北道
송유도
松榆道
가계도
佳鷄道
해솔남도
海率南道
해솔북도
海率北道
백극남도
伯棘南道
백극북도
伯棘北道
화태도
樺太道
퍼즐 형태의 로고
행정구역도












외지

대한제국
외지
[ 펼치기 · 접기 ]

외지는 대한제국 본토 이외지역의 행정구역으로 중국해안의 일부도시들과 말레이시아 인근의 금남도 광동의 경제자유특별구역(이칭:기업도시연맹)으로 구성된다.

정치

대한제국은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황제가 존재하나 실권은 몇몇 형식적 권한일뿐이다.
의원내각제 국가로 실질적으로 국가를 통치하는건 내각총리대신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가장 잘 돌아가는 국가중 하나이다.1932년에서 1974년까지 국가통일당을 위시한 군사독재국가였으나
1974년 진달래혁명으로 군사정부는 무너졌고, 이후 안정적인 민주주의체제를 75년 체제라 칭한다.
현재 집권당은 대한민주당,내각총리대신은 진추실이다.

황제


대한제국 대황제
[ 펼치기 · 접기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역대 대한제국 대황제
묘호 초상 이름 재위기간 연호
1 광종 이영 1855년 11월 26일~1868년 6월 25일 (14년) 건주(建主)
2 무종 이하 1868년 6월 25일~1898년 2월 22일 (31년) 영락(永樂)
3 고종 이형 1898년 2월 22일~1919년 7월 14일 (22년) 광무(光武)
4 순종 이척 1919년 7월 14일~1932년 2월 9일 (14년) 융희(隆熙)
5 성조 이강 1932년 2월 9일~1955년 8월 16일 (24년) 금명(金明)
6 의종 파일:모모야마 켄이치.jpg 이건 1955년 8월 16일~1974년 4월 13일 (20년) 성흥(成剛)
7 문조 이우 1974년 4월 13일~1995년 10월 25일 (22년) 정현(正賢)
8 신종 이청 1995년 10월 25일~2024년 6월 3일 (29년) 연영(延令)
9 이설 2024년 6월 3일~(재위중) 청화(淸花)
대한제국 대황제 청화황제 이설
대한제국은 황제폐하께서 통치하시는 군주국이다.
대한제국 헌법 제1조


대한제국 헌법에 따라 제국의 국가원수는 황제이며 현재 황제는 제9대 황제이자 대조선국 제33대국왕을 겸하는 이설이다.
대한제국의 황제는 타국의 군주들과는 달리 국왕(King이나Queen)이 아닌 황제(Emperor나Empress)로 불린다.[9]
대한제국의 황제,그리고 칭제 이전의 조선의 왕들은 19세기까지 500년 가까이 이 나라를 직접통치했고,현재에도 실권은 없지만 민주주의 수호[10]와 국민통합의 상징으로서 유지되었으며 이는 제국내의 여타민족들의 통합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런 이유로 군사정부시절 제정된 국가보안법에 따라 현재까지도 군주제를 부정하는 단체는 위법으로 간주,해산대상이다.[11]

본래 황제직은 남자황족만이 이어받을수있었으나,2020년 연영제의 유일한 아들이던 장양태자 이진이 사망하고 이진또한 후사는 딸뿐이었던데다 신종황제 또한 상당한 고령이었기에 이를 두고 승계에 대한 논의가 이어진끝에 2022년부터 여자황족또한 황위를 이어받을수있게 되었다.

황제의 권한또한 여럿 있는데 법률안 거부권,국회해산권등이 있으나 실질적인 행사는 드문편이다.가장 최근의 행사는 청화 3년 국회해산사건이었다.

또한 대한제국 황제는 형식적으로는 대조선국 국왕을 겸임하는데 이는 대한제국이 조선에서부터 이어지는 정통성을 이어받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황실

대한제국 황실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황실은 1392년 대한제국의 전신인 조선이 건국된이래로,6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황실이다.
황실의 후손을 전부 따지자면 수도없이 많으나 통상적으로 고종대아래의 후손정도를 정통황실 후손으로 치는 편이다.

친왕가

친왕은 칭제이후 생겨났으나 실질적으로 책봉이 시작된건 고종의 후손들 부터였는데 이는 이전 황제들은 아들이 없거나 일찍 죽었기 때문이다.
현재 존재하는 친왕가는 다음과 같다.

  • 완친왕
    • 고종의 장남인 이선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이나 완친왕이 11세로 요절했기에 현재는 끊긴 왕가이다.
  • 영친왕
    • 고종의 사남인 이은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 영친왕은 3대 영친왕 나산군 이운이다.[12]
  • 경친왕
    • 성조의 육남인 이곤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 경친왕은 차대 경친왕 의연군 이준이다.
  • 정친왕
    • 성조의 팔남인 이현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 정친왕은 차대 정친왕 장천군 이전이다.
  • 단친왕
    • 성조의 구남인 이갑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 단친왕은 차대 단친왕 해정군 이원이다.
  • 순친왕
    • 성조의 십남인 이석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도 초대친왕이 재위중이다.
  • 현친왕
    • 상조의 십일남인 이환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도 초대친왕이 재위중이다.
  • 안친왕
    • 성조의 십이남인 이정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도 초대친왕이 재위중이다.
  • 강친왕
    • 의종의 장남인 이기를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 강친왕은 차대 강친왕 이청이다.
  • 명친왕
    • 의종의 차남인 이재를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 명친왕은 차대 명친왕 이한이다.
  • 은친왕
    • 문조의 차남인 이종을 초대 친왕으로하는 왕가로 현재 문친왕은 차대 은친왕인 나성군 이수이다.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제1~2대 제3~4대 제5~6대 제7대
김홍집 최익현 서재필 박영효
제8~9대 제10대 제11~12대 제13~14대
김옥균 이완용 박중양 여운형
제15대 제16~21대 제22대 제23~24대
김창암 이승만 이기붕 허정
제25~27대 제28~30대 제31~34대 제35~38대
장면 유진산 장준하 김대중
제39~41대 제42~44대 제45~46대 제47~49대
김영삼 권영길 박부일 이회창
제50~52대 제53~54대 제55~56대 제57~59대
노무현 이인제 안진삼 노회찬
제60대 제61대 제62~63대 제64~65대
안희정 김문수 홍준표 유승민
제66대 제67대
이재명 천건태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역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이름 임기 선거 정당
시작일 종료일
1

김옥균
(1851~1924)
1 1900년 7월 12일 1904년 7월 13일 초대 신민당
2 1904년 7월 14일 1908년 7월 8일 2대
2

서재필
(1864 ~ 1951)
3 1908년 7월 9일 1912년 7월 10일 3대 한국독립당
4 1912년 7월 11일 1916년 7월 12일 4대
3

이승만
(1875 ~ 1965)
5 1916년 7월 13일 1920년 7월 14일 5대 한국독립당
4

여운형
(1894 ~ 1960)
6 1920년 7월 15일 1924년 7월 9일 6대 신민당
7 1924년 7월 10일 1928년 7월 11일 7대
5

안창호
(1878 ~ 1938)
8 1928년 7월 12일 1930년 1월 8일 8대 한국독립당
6 파일:XZsa2f1Hx-XiktQiRfXXzZZql3bUWS9TGI6JZokuGkSLNnIjezT-OwDTSEfSJZitKh 2vPxJcp3AqKxrzJ2J1Q.webp

김희선
(1878 ~ 1938)
9 1930년 1월 9일 1932년 3월 15일 9대 한국독립당
7

이범석
(1900 ~ 1972)
10 1932년 3월 15일 1934년 1월 10일 국가통일당
11 1934년 1월 11일 1938년 1월 12일 10대
12 1938년 1월 13일 1942년 1월 14일 11대
13 1942년 1월 15일 1946년 1월 9일 12대
14 1946년 1월 10일 1950년 1월 11일 13대
8

김성주
(1912 ~ 1994)
15 1950년 1월 11일 1954년 1월 13일 14대 국가통일당
9 파일:손원일.jpg

손원일
(1908 ~ 1980)
16 1954년 1월 14일 1958년 1월 8일 15대 국가통일당
17 1958년 1월 9일 1960년 8월 24일 16대
10

박정희
(1917 ~ 1974)
18 1960년 8월 25일 1964년 8월 19일 17대 국가통일당
19 1964년 8월 20일 1968년 8월 21일 18대
20 1968년 8월 22일 1972년 8월 16일 19대
21 1972년 8월 17일 1974년 1월 22일 20대
11

김원봉
(1898~1984)
22 1974년 1월 11일 1974년 3월 2일 국가통일당
12

전두환
(1931~1978)
23 1974년 3월 3일 1974년 4월 12일 국가통일당
13

장태완
(1931~2010)
24 1974년 4월 13일 1975년 1월 22일 무소속 [13]
14

김영삼
(1929~2015)
25 1975년 1월 23일 1977년 11월 3일 21대 국민자유당
26 1977년 11월 4일 1980년 5월 28일 22대
27 1980년 5월 29일 1983년 7월 13일 23대
28 1983년 7월 14일 1986년 3월 5일 24대
15

김대중
(1924~2009)
29 1986년 3월 6일 1988년 12월 21일 25대 사회노동당
30 1988년 12월 22일 1992년 3월 18일 26대
31 1992년 3월 19일 1994년 9월 14일 27대
32 1994년 9월 15일 1998년 1월 7일 28대
16

이회창
(1935~2028)
33 1998년 1월 8일 1999년 11월 17일 29대 국민자유당
34 1999년 11월 18일 2002년 7월 10일 30대
35 2002년 7월 11일 2005년 8월 17일 31대
17

노무현
(1946 ~ )
36 2005년 8월 18일 2008년 2월 13일 32대 대한민주당
18

이명박
(1941 ~ 2029)
37 2008년 2월 14일 2011년 7월 22일 33대 국민자유당
19

안진삼
(1954 ~ )
38 2011년 7월 23일 2014년 8월 20일 34대 대한민주당
20

노회찬
(1956 ~ )
39 2014년 8월 21일 2017년 10월 18일 35대 사회노동당
40 2017년 10월 19일 2020년 2월 16일 36대
21

박원순
(1955 ~ 2020)
41 2020년 2월 16일 2020년 11월 20일 37대 대한민주당
22

이낙연
(1952 ~ )
42 2020년 11월 21일 2021년 2월 3일 대한민주당
23

홍준표
(1954 ~ )
43 2021년 2월 4일 2023년 4월 19일 38대 국민자유당
44 2023년 4월 20일 2025년 2월 5일 39대
24

윤석열
(1960 ~ )
45 2025년 2월 6일 2027년 3월 10일 40대 국민자유당
25

이재명
(1963 ~ )
46 2027년 3월 11일 2029년 12월 12일 41대 사회노동당
26 파일:천추스.png

진추실
(1985 ~ )
47 2029년 12월 13일 현직 42대 대한민주당

대한제국의 정부수반이자,행정부의 수장이며 사실상 황제를 대신한 실질적 국가원수로서의 권력을 쥐고있다.국회에서 선출되며 관례상 다수당 총재가 총리로 선출된다.
국회에서 총리를 선출하고 황제의 임명식이 열리고 총리가 취임하게된다.현 내각총리대신은 대한민주당 소속 유시민이다.

행정부

대한제국
국가행정조직
18부 31청 [ 펼치기 · 접기 ]
경찰청
소방청
통계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재외동포청 병무청
방위산업청
항공우주청
우정청
검찰청 중앙고용관리청 문화재청
국가체육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해양경찰청
남양개발청
기상청
종친관리청
사관청
특허청
발전자원청
경부개발청
강북지역개발청
질병관리청
여성평등청
아주공영개발청 경제자유특별구역관리청
산동-상해관리청

국회

+
대한제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여당

978석
연립 여당

337석

78석

76석
야당

608석

182석

148석

54석

26석
무소속 13석
공석 0석
재적 2500석

입법부로는 국회하나만둔 단원제의 형태이다.
1896년 설립된 신민대회가 시초로 이후 1900년대 입헌정부시기 국회로 명칭이 바뀌어 입법부로 기능했으나,군사정부시기 정부의 거수기로 전락했다.
이후 1974년 민주화이후 다시 제대로된 입법기능을 회복하여 현재에 이르고있다.

정당

수차례의 정치적 위기가 있었으나,1975년부터 사회노동당과 대한민주당,국민자유당의 삼당경쟁체제가 50년가까이 유지중이다.

  • 사회노동당
    • 대한제국의 거대진보정당으로 원내 2당이자 연립여당이다. 사회민주주의,진보주의,혼합경제체제,아시아연합주의를 지향한다.
  • 대한민주당
    • 대한제국의 중도주의 거대정당이자 집권여당이다.사회자유주의,중도개혁주의,아시아패권주의를 지향한다.
  • 국민자유당
    • 대한제국의 거대보수정당이자 원내3당이다.사회보수주의,신자유주의,국가주의를 지향한다.
  • 대한유신회
    • 경상,전라,충청 통칭 반도의 3남지방의 지역주의정당이다.성향은 중도좌파이다.
  • 평양기독민주당
    • 평안,함경지역주의 정당이다.성향은 보수적이다.
  • 부민연합회
    • 강횡,우전등 열도 동부지역주의 정당이다.성향은 중도적이다.
  • 관서사회연합
    • 내화,복광등 열도 서부지역주의 정당이다.성향은 진보적이다.
  • 고려민주당
    • 북부의 심요,장길지역주의 정당이다.성향은 보수적이다.
  • 대한공산당
    • 대한제국의 좌익정당으로 LAN내 국가들의 완전 자유화(일명 아시아 해방정책)및 서유럽식 신사회주의를 지향한다.
  • 황국협회
    • 대한제국의 우익정당으로 황권강화와 패권주의를 내세우고있다.
  • 대한국민제일당
    • 대한제국의 극우정당으로 LAN국가들의 식민화,순수 대한국민이 아닌 만주,왜인을 배척한다는 극단 우파정당이다.

외교

한국주도의 지역 동맹인 아시아 국가 연맹체
냉전
Cold War
[ 펼치기 · 접기 ]

제3세계와 그중심인 아시아 국가 연맹체(LAN)를 이끄는 국가이며,동시에 세계 최대의 경제대국인 만큼 그 영향력은 막강하다.
1940년대 동아대전 직후,중원전역에는 한국의 괴뢰국들이 세워졌고,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동남아에 영향력을 확장했다.
1964년 금남도 사태,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개입,1960년대 후반 인도네시아 내전개입 등 전면적인 영향력 확대에 미국과 소련의 영향력은 동아시아에서 밀려났다.또한 중원일대에는 여러 위성국들이 세워지고 해안도시들은 한국령이되었다.이후 1974년 민주화가 된이래에 동아시아의 여러국가들도 자유민주주의적 개혁을 점차 이행하였다.이후 1980년 상해협약을 통해 정부직할의 조계지들이 기업들에게 넘어가며 기업도시가 되었고,이후 대한제국의 세력은 탈냉전,신냉전기를 거치며 중동과 아프리카 일부까지 뻗어나간다.현재에도 공공연히 중국은 사실상 한국의 준식민지수준의 경제적 수탈에 시달리고있고,동남아국가들도 한국의 경제적 영향력하에 놓여있다.[14]
대한제국은 현재 한국-미국-소련-인도의 신냉전구도를 펼치중으로 남미,아프리카일대에서 세력확대를 위한 외교전을 벌이고있다.이러한 냉전기류는 2019년 플루-18 판데믹 이후로 심화하고있는상태이다.
냉전에 대한 자세한내용은 냉전 (The Eternal Empire)문서 참조


한미관계

2차세계대전이후 냉전이 한-미-소 구도로 굳어지며 자본주의,자유주의를 기치로하는 제1세계의 중심인 미국과 아시아주의,국가주의를 기치로 하는 제3세계의 중심인 한국은 대립하였고,싱가포르 침공,인도-파키스탄전쟁 개입,인도네시아 내전등의 외교,군사적 대립으로 냉전 초기 한미관계는 냉각되었었다.
허나 1974년 진달래 혁명으로 제국이 민주화되며 당대 데탕트 분위기와 맞물려 한미관계는 전면적으로 개선되었다.태평양에서의 교역이 대대적으로 진행되었고,80년대부터 한국과 미국에선 서로의 대중문화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기조는 2000년대 초까지 이어졌으나,2000년대에 국제정세가 신냉전으로 돌입하며 한미관계는 냉전시대만큼은 아니지만 악화되었다.국민감정이나 외교적관계는 악화되었으나,경제교류나 대중문화교류는 이어지는 현실의 한일관계와 유사한 관계가 이어지고있다.

한소관계

현재로선 한미관계 보다도 더 안 좋은것이 한소관계이다.
2차대전 이전의 몽골분쟁을 시작으로 관계가 악화되며 사실상 서로를 가상적국으로 두었고,데탕트시기가 되어서야 교류가 재개되었다.
2000년대 초에도 미국의 중동개입을 공동으로 비판하기도 했지만,이는 소련의 터키 침공으로 극악으로 치닫게 되었다.

한국-유럽 관계

한미간의 관계는 악화하는반면 유럽국가들과 한국의 관계는 나쁘지않은 상태이다.
이는 아프리카나 태평양에서 직접 패권을 두고 외교전을 벌이는 미국과 달리 유럽국가들은 한국과의 충돌이랄것이 없기때문으로 이는 대한정책에 대해서의 차이를 야기,미국-유럽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주요원인중 하나이다.

한국-인도 관계

인도는 파키스탄과의 전쟁의 제1 패배 요인이된것이 소련과 한국의 지원이기에 인도의 군사정부는 그이후 한국을 늘 사악한 제국주의 국가라며 비난했으며 방글라데시를 한국 제국주의의 괴뢰정권이라며 인정치 않았다.90년대이후 인도가 세계의 공장으로 발전하여 교역은 활발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둘의 관계는 현재까지 냉각된 상태이다.

한국-중원 관계

중원의 국가들은 사실상 제국의 위성국들이다.
물론 공식적으론 동맹국인 관계이나 내정간섭과 경제적 침탈및 한국기업들의 중국 경제잠식은 공공연한 비밀인 수준이다.
수많은 중원의 시민들은 착취의 끝과 중국의 독립을 꿈꾸지만 이는 멀어보이는 꿈입니다.이제 착취는 중원인들에게 당연한 일상이고,국경넘어의 중원인들은 더이상 같은 중원인으로도 보이지 않습니다.

한국-동남아 관계

동남아국가들은 전원 LAN소속으로 한국의 동맹이다.
중원국가들과 달리 동남아의 국가들은 한국의 경제적 투자등으로 현실보다 2~3배는 잘사는데다 동남아국가들은 경제적 영향력이 뻗쳐있을뿐 대놓고 내정간섭을 당하거나 경제적 착취를 당하진 않아서 한국에대한 감정은 그리 나쁘지않다.

경제

근대화이후 얻은 대규모영토를 50년대부터 본토로서 대규모로 개발,경제를 성장시켰고 이는 70~80년대의 대규모 경제성장으로 이어져 경제력은 유럽의 주요국가들을 뛰어넘는다.90년대 한보 사태로 주춤하긴하나,2010년 미국을 넘고 세계1위의 경제대국이 되었고 현재도 매년 연5%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중이다.
5억에 달하는 인구의 막강한 내수시장과 아시아라는 거대한시장의 존재,태평양에서의 물류교류,최근에는 타국에 비해 유난히 더 발달한 인터넷산업또한 이 거대한 경제의 기둥들이 되어가고있으며,LAN을 통해 동아시아전체의 안정적인 경제블록을 구축해놓았다.
그리고 한반도 동북부와 만주의 석탄,한반도 북부와 만주의 희토류를 포함한 다수의 지하자원,만주[15],태평양의 석유까지 자원마저 풍부해 미국과 함께 사기적인 위치로 유명하다.

주요 기업

주요 대기업중 다수는 재벌로 이들은 대한제국의 혈연적 기업체로 이들이 제국과 아시아 내에서 갖는 영향력은 막대하다.
특히 일부 주요 대기업들은 중원일대에 기업사유도시까지 소유중인 상태이다.

대한제국의 주요 대기업
[ 펼치기 · 접기 ]
  • 삼성
    • 제국의 4대재벌중하나로,세계최대의 전자기업이자 세계 5대 스마트폰 제조사[16]인 삼성전자와 삼성자동차,삼성중공업,삼성물산,삼성백화점[17]등 각종 산업의 중축을 가진 거대기업이다.또한 기업 사유도시로 광주부를 두고있다.
  • 현대
    • 제국의 4대재벌중하나로,세계최대의 자동차기업인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현대하이닉스등 여러 사업에 걸친 거대기업이다.또한 기업 사유도시로 천진부를 두고있다.
  • 금성[18]
    • 제국의 4대재벌중하나로.세계제일의 가전제품 제조사로 알려진 금성전자[19]와 금성통신,금성화학등을 소유한 거대기업이다.또한 기업 사유도시로 심천부를 두고있다.
  • 대우
    • 제국의 4대재벌중하나로 세계 최대의 조선회사인 대우중공업과 대우전자등을 소유한 거대기업이다.또한 기업 사유도시로 항주부를 두고있다.
  • 선경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선경전자,선경통신,선경화학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또한 기업 사유도시로 향항부를 두고있다.
  • 진립
    • 제국의 재벌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재벌[20]로 진립은행,진립건설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소니
    • 제국의 비재벌기업중 하나이자 열도계열의 기업으로 소니전자,소니엔터테이먼트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또한 기업 사유도시로 담강부를 두고있다.
  • 롯데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21]세계최대의 식품회사중하나인 롯데웰푸드[22],롯데백화점,롯데화학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또한 기업 사유도시로 청도부를 두고있다.
  • 이화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 황족중하나인 경은군 이재성이 세운 기업으로 이화은행,이화식품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한화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 제국 최대의 군수기업인 한화정밀을 필두로 한화생명,한화에너지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장운
    • 제국의 재벌이자 만주계열의 재벌로 장운통신,장운제약들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국제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 제국에서 손꼽히는 경공업업체인 국제상사,국제방직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삼릉[23]
    • 제국의 재벌이자 열도계열의 재벌로 삼릉상사,삼릉중공업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주우[24]
    • 제국의 재벌이자 열도계열의 재벌로 주우상사,주우은행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한진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 거대 항공업체인 대한항공과 한진중공업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카카오
    • 제국의 비재벌기업중 하나로 카카오톡을 소유한것으로 유명한 대기업이다.오문부를 공동소유중인 3사중 하나이다.
  • 네이버
    • 제국의 비재벌기업중 하나로 세계 양대 포털사이트를 운영중이다.오문부를 공동소유중인 3사중 하나이다.
  • 황판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 한화정밀과 함께 양대 군수산업체인 황판정밀을 필두로 황판은행등을 소유한 대기업이다.
  • 임천[25]
    • 제국의 비재벌기업중 하나이자 열도계 기업으로 세계적인 게임제작사이다.오문부를 공동소유중인 3사중 하나이다.
  • 풍전[26]
    • 제국의 재벌중 하나로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사이다.

과거 존재했던 대기업사실상 한보사태로 망한 기업 목록

  • 한보
    • 한때 오문부를 소유할수준의 대기업이었으나,이는 부정부패와 분식회계로 이루어진 것이었다.결국 부도와 함께 한보 사태를 초래해 한국의 세기말 경제를 흔든 원흉이 되었다.부도 이후 분야별로 해체되어 여러 재벌에 흡수되었다.
  • 기아
    • 자동차제조를 주력으로 하던 대기업이었으나 한보 사태로 1999년 그룹이 해체되었고,이후 현대그룹에 흡수되었다.
  • 쌍용
    • 건설을 주력으로 하던 대기업이었으나 한보 사태로 1998년 그룹이 해체되었고,이후 대우그룹에 흡수되었다.
  • 해태
    • 식품산업을 주력으로 하던 대기업이었으나 한보 사태로 1998년 그룹이 해체되었고,이후 롯데그룹에 흡수되었다.
  • 동명
    • 목재관련 사업을 주력으로 하던 대기업이었으나 한보 사태로 1998년 그룹이 해체되었고,이후 국제그룹에 흡수되었다.
  • 두산
    • 대규모 소비재사업을 주력으로 하던 기업이었으나 한보 사태로 1998년 그룹이 해체되었고,이후 분야별로 해체되어 여러 재벌에 흡수되었다.
  • 안전[27]
    • 금융을 주력으로하던 열도계 기업이었으나 한보 사태로 1997년 그룹이 해체되었고,이후 삼릉그룹과 주우그룹,임천그룹에 분할되어 흡수되었다.

통화

대한제국에서는 제국 원이 통용된다.
화폐는 한성의 제국중앙은행에서 발행되며,1원,5원,10원,50원의 동전과 100원,500원,1000원,5000원,10000원이 지폐로 발행된다.
[28]

액면가 앞면 뒷면 앞면 도안 뒷면 도안
1원 이화문
5원 삼족오
10원 광개토대왕
50원 철종 황제
액면가 앞면 뒷면 앞면 도안 뒷면 도안
100원 퇴계 이황 정선의 계상정거도 [29]
200원 강호흑궁[30] 후지산
500원 문조 황제 경복궁 근정전
1000원 세종대제, 일월오봉도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천체 망원경[31]
2000원 이범석 전 총리 백두산 천지
5000원 충무공 이순신,거북선 현충사
10000원 청화황제[32] 덕수궁 석조전과 태극기

군사

통칭 한국군,제국군으로 불리는 대한제국의 군 아시아최강이자 세계 2위의 군대를 갖고있다.

육군

대한제국 육군은 아시아 최강이자 세계에서도 가장 강한 육군이다.
병력수는 약 130만여명으로 모병제 국가임에도 수억의 인구를 가진이유로 육군의 규모또한 세계 최대규모이다.
거기에 징병과는 별개로 필수적으로 남성은 6주간의,여성은 3주간의 기초군사훈련을 받아야하는데,이들이 전부 동원될시 미군과 소련군의 합보다도 인원이 더많을것으로 예상된다.그렇다고 인원만 많으냐하면 그것은 아니다.세계 최초의 4세대전차인 K-3 적호,K-9 자주곡사포,K17소총등 최신예장비로 무장한 군대이다.
대한제국 육군의 편재는 본토를 관할하는 군,LAN내 동맹국 주둔군인 방면군으로 나뉜다.
국내 군 체계는 2000년 군 개편을 통해 확립되었고,국외 방면군의 경우 중동방면군,아프리카방면군은 상당히 최근에 설치되었고,앞으로도 동맹이 늘시 추가설치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한 초강대국인 한국의 특성상 여러 대규모 작계들이 존재한다.

관할 지역 사령부 소재지
1군 수도권 한성부
2군 한반도 남부 대구부
3군 한반도 북부 평양부
4군 요동 심양부
5군 발해 장춘부
6군 부여 합빈부
7군 연해주 해삼위부
8군 요서 적봉부
9군 북만주 대경목
10군 외만주 묘가시
11군 서도 복강부
12군 관서 경도부
13군 관동 강호부
14군 북해 찰황부
15군 남해 대북부
16군 해남 해구목
17군 남양 신거제시

군중에서 소련과 접하는 7군과 10군이 규모가 거대한편이다.

방면군 관할 지역 사령부 소재지
서북방면군 몽골 후흐허트
서부방면군 후이,티베트 시닝
화북방면군 연,섬서 베이징
화중방면군 명,초,송 난징
화남방면군 양광,호남,오 난창
서남방면군 사천,운남 충칭
중남방면군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타이 하노이
남방방면군 말레이시아,수마트라,인도네시아,뉴기니 자카르타
필리핀방면군[33] 필리핀 마닐라
뱅골방면군 방글라데시,미얀마,스리랑카 다카
중동방면군 아랍에미리트,카타르,오만,몰디브 두바이
아프리카방면군 동아프리카,마다가스카르 몸바사

해군

함대 관할 해역 사령부 소재지
제1함대 대한해 해삼위부
제2함대 서해 비사부
제3함대 남해 웅천시
제4함대 북해 풍원목
제5함대 태평양 연안 횡수시
제6함대 남중국해 해구부
제7함대 뱅골만 양곤
제8함대 동남아 해역일대 금남도부
제9함대 태평양 일대 신거제시
제10함대 인도양 일대 콜롬보

공군

사회

사회적 분위기

전통적으로 유교적,보수적,전체주의적 분위기가 지배적이었고,이러한 분위기가 군사정권시기까지 이어지다가 민주화이후로 변하기 시작한다.
과거 군사정부시기엔 서구의 퇴폐적인 사상이라며 탄압받던 자유주의,개인주의가 유입되었고,소위 n86세대라 불리는 세대를 시작으로 개인의 자유,남녀평등등 이전의 한국에선 꺼내지도 못하던 논제들이 대두되었고,이후 50년을 거치며 이러한 개인주의등은 강해졌다.현재의 젊은 세대들은 국가에대한 애국또한 옅어져가는 추세이며 이는 세대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언어

한국어가 공용어로 사용중이다.한국내에서 한국어를 사용할수 없는 인구는 거의없다.
한국어는 고립어로 분류되는 언어이다.그나마 가깝던 주변언어들도 다수 제국치하에서 거의 사어가 되어버린상태이다.
실제로 만주,왜에는 독자적 언어,심지어 독자문자체계또한 일부 존재했으나 한국의 동화정책속에서 거의 소멸해버렸다.
한국어의 원어민은 5억이상,제국 영향력하의 위성국등에서 제2언어로 사용하는 인구또한 10억은 넘어갈것으로 추정되며 이 인구를 합치면 16억이상으로 이는 세계인구의 20%이다.거기다 한국의 위성국을 포함한 LAN국가 내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언어로 영어,프랑스어,스페인어,아랍어와함께 세계 5대 언어로 분류된다.

방언

한국어의 방언은 대략 표준어,서북방언,동북방언,동남방언,서남방언,제주방언,관서방언,관동방언으로 구분된다.

  • 표준어
    • 수도인 한성부와 경기도등 수도권일대에서 쓰이는 말로 일대가 고려시대부터 수도였기에[34]오랫동안 표준어로서 쓰였다.
  • 서북방언
    • 평양과 평안도등 서북부일대에서 쓰이는 말이다.세부적으론 요동,평안,황해방언으로 갈라진다.
  • 동북방언
    • 함흥과 함경도등 동북부일대에서 쓰이는 말이다.세부적으론 부여,연해주,함경방언으로 나뉜다.
  • 동남방언
    • 부산과 경상도등 동남부일대에서 쓰이는 말이다.표준어에선 소멸한 성조가 아직 남은것이 특징이다.세부적으론 서도,경남,경북방언으로 나뉜다.
  • 서남방언
    • 전주와 전라도등 서남부일대에서 쓰이는 말이다.느긋한듯한 말투가 특징이다.[35]세부적으론 전라,대만방언으로 나뉜다.
  • 제주방언
    • 제주도에서 쓰이는 말이다.표준어와는 매우다른것이 특징으로 일각에선 다른언어로도 분류한다.
  • 관서방언
    • 대판과 대경도등 열도의 관서지방에서 쓰이는말이다.받침발음이 약한것이 특징이다.동남방언의 영향을 받아 성조가 나타나기도 한다.세부적으론 대판,경도,명장방언으로 나뉜다.
  • 관동방언
    • 강호와 강횡도등 열도의 관동지방에서 쓰이는말이다.관서방언과 마찬가지로 받침발음이 약한것이 특징이다.세부적으론 강호,선청방언으로 나뉜다.

한반도이외의 지역에선 이주민이 많이 유입된 지역의 방언이 사용되기도한다.
표준어는 북해,흑룡지역에[36],서북방언은 요동지역과 장길도지역에서,동북방언은 연용도,통백도와 부여,연해주지역에서,동남방언은 서도지역에서,서남방언은 대만에서 많이쓰이고 동한열도에선 관서방언,관동방언이 각각 동남방언및 표준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또한 만주의 방언에선 성조[37]가,열도의 방언에선 받침발음의 약화및 ㅊ,ㅉ의 특이한 발음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언어교육

언어교육또한 사뭇다르다.
우선 미국의 영향력을 거의 받지않는 상태이고 경제적으로는 한국이 우세한데다 아시아에선 한국어가 공용어로 쓰이기에 교육에서 영어의 중요도는 다소 떨어졌다.옛 우리나라처럼 중학교는 가야 가르친다.수능에서도 영어의 난이도는 현실보단 쉬운편인데 대신 제2외국어 하나가 필수다.좋은거냐 나쁜거냐...
또한 제2외국어에서도 일본어는 사어가 되었고,중국어는 지역별로 여러 언어로 분화되었기에 제2외국어로서의 선호는 없으며 제2외국어로는 불어나 독일어,2000년대부터 부상한 러시아어가 선호된다.

문자

원래 오랫동안 한자를 사용했고,15세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었음에도 사용빈도가 증가한건 근대화 이후부터이다.국내 근대화정책을 시행하며 문맹률을 낮추려는 목적으로 한자사용을 정책적으로 줄이기 시작했고,국한문혼용체가 1910년대부터 사용되기시작해서 50년대 군사정부시기 한글을 우대하며 현재는 한자는 실생활에서 잘 사용하지않는 상태이다.
또한 과거 동한열도에서 사용되던 가명(仮名),만주에서 쓰이던 만주문자가 있었으나 발음표기도 제한적이고 애초에 왜어나 만주어나 거의 사어이기에 사용하지않는다.

민족 구성

현재 주류민족은 한민족(韓民族)이다.
본래 한민족은 한반도와 그일대의 반도계열의 사람들만을 의미했으나,현재는 확장된 대한제국의 영토들의 주민들로 확대되었다.
본래 한반도의 한인,동한열도의 왜인,북해도의 아이누인,만주의 거란인[38],여진인,만주,대만의 중화인들로 구분되어있었으나
이들지역들이 대한제국하에 통합되며 모두 한민족으로 불리고있으며 이들또한 한민족의 정체성을 지니고있다.
현재 법적으로 이들을 같은민족으로 보고,법적으로 지위는 동등하나 노년층,중년층에선 왜인,여진인들등에대한 멸시가 일부 남아있다.

또한 한민족외의 민족또한 다양한데 민족구성은 다음과같다.
중화인[39] 1.17%, 러시아인 0.74%, 필리핀인 0.44%, 베트남인 0.42%, 몽골인 0.41% 태국인 0.35%,말레이인 0.33%,미얀마인 0.31%,기타 0.32%[40]

중화계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제국이 중원을 정벌한 이래 수많은 중국인들이 저임금 노동자로 한국에 왔고,이들이 제국내에 정착하여 현재에 이르고있다.
허나 내지에서만 1.1%,600만의 인구이지만 이들을 향한 멸시는 일상화 되어있다.다른 민족에 비해서도 특히 차별이 심하고,심지어 경찰에서도 살인수준의 중범죄가 아니면 잘 협조하지 않는 수준이다.
이들은 주로 주요도시 외곽이나 관서도,해남도등 중원지역과 가까운지역에 산다.

러시아계

중화계 다음으로 많은 민족이다.
사실상 다른 유럽계 인구는 합계조차 0.2%가 안되는데 비해 많은 인구수를 자랑한다.[41]
이들은 한러전쟁과 러시아내전 개입으로 편입된 외만주에 잔류한 인구와 러시아 내전에서 피난해온 백군 지지자들의 후손들이다.
이들에 대한 대우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물론 소련과 한국은 사이가 좋지 못하나 앞서말했듯 백군 지지자들의 후손도 많아 오히려 소련에 적대적이기에 한국인들 입장에서 딱히 적대할 이유도 없어 잘 대하는 편이다.
이들은 주로 외만주와 흑룡지역에 거주하며 특히 자금남북도지역에서는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만큼 러시아어가 병기되어있는 곳도 많다.

기타

이외에도 동남아및 몽골에서 경제적이유로 건너온 이들이 있고 이들의 합은 대략 2%정도이다.
이들에 대해서도 대우및 인식이 좋은편은 아니나 대체적으로 중화인들에 대한 그것보단 나은편이다.

종교

전체적인 분위기가 상당히 세속적인편이다.
우선 무종교가 인구의 반인데다 종교가 있는이들도 그리 독실한 분위기는 아니라 종교신자임에도 유교식으로 제사를 지내거나 신사에 방문하기도 한다. 본래 대한제국의 전신인 조선이 유교이념을 바탕으로 세워진만큼 이의 영향이 현재에도 적지않으나 현재에는 유교는 종교의 의미보단 유학이라는 학문 내지 전통쯤으로 여겨진다.
무교라 불리는 민간의 전통신앙또한 광범위하게 퍼져있고 동네마다 신사하나씩있는것이 보통이다.무교는 단군신앙에 뿌리를 두기도 하기에 특히 군사정부시기에 민족성 고취목적으로 지원받기도 하였다.허나 무교또한 종교보단 오랜 전통으로 받아들여지는 편이다.
또한 무교는 반도계열과 열도계열이 신사외관등 세부적인 차이가 있는 편으로 열도계열은 천조대신신앙이라는 단군신화와는 아예다른 신앙을 기반으로 한다. 통계상의 대한제국의 양대 종교는 불교와 크리스트교이다.
불교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믿어져오던 종교로 대한제국이전 조선시절에는 불교를 억눌렀으나 개화기부터 이런 억압이 사라지며 불교가 다시 번성했고,특히 열도에서 불교의 세가 강한편이다.그런고로 한국곳곳에 절이 있어 "한국의 산에는 절이 항상있다."라는 말이있다.
크리스트교는 개화기를 거치며 유입된 종교로 서양에서 유래된 만큼 주로 해안도시를 위주로 종교세가 크다.특히 평양과 일대에서 기독교세가 강해 평양은 동양의 예루살렘으로 불리운다.
그런고로 이들 종교의 기념일인 석가탄신일,개천절,성탄절등은 대한제국의 공휴일로 지정되어있다.
그리고 종교적의미를 떠나서는 유교의 사원,무교의 신사,불교의 절등은 한국 전통의 건축물등이 한국의 관광코스이자 한국의 대표적 이미지중 하나이다.

공휴일

  • 1월 1일 신정(新正):새해 첫날
  • 음력 1월 1일 설날(久正):제국의 3대 명절로 전후일까지 3일을 쉰다.
  •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正月大보름):설날이후 첫 보름때로 제국의 전통명절중 하나이다.
  • 4월 5일 한식(寒食):동지로부터 105일후로 지정된 제국의 전통명절중 하나이다.
  • 4월 13일 자유절(自由節):제국이 민주화된 진달래 혁명을 기념하는날이다.
  • 4월 28일 천성절(天星日):현재 황제인 청화황제의 탄생일이다.
  • 5월 5일 어린이날:1923년에 소파 방정환의 주도로 만들어진 날이다.
  • 음력 4월 8일 부처님오신날(釋迦誕辰日):불교의 창시자 석가모니의 탄생일로 제국의 3대 종교기념일중 하나이다.
  • 음력 5월 5일 단오(端午):제국의 3대 명절로 전후일까지 3일을 쉰다.
  • 음력 7월 7일 칠석(七夕):견우와 직녀의 설화에서 유래한 제국의 전통명절중 하나이다.
  • 8월 13일 개국기념일(開國記念日):대한제국의 전신인 조선이 세워진날이다.
  • 8월 15일 전승기념일(戦勝記念日):동아대전에서 중국이 공식적으로 항복한날이다.
  • 음력 8월 15일 추석(秋夕):제국의 3대 명절로 전후일까지 3일을 쉰다.
  • 10월 3일 개천절(開天節):고대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세운날 제국의 3대 종교기념일중 하나이다.
  • 10월 9일 한글날:세종대제가 한글의 전신 훈민정음을 반포한날이다.
  • 11월 26일 건원절(建元節):문조 건주제가 칭제건원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한날이다.
  • 12월 25일 성탄절(聖誕節):크리스트교의 예수가 탄생한날로 제국의 3대 종교기념일중 하나이다.

지정된 공휴일은 총 23일이다.

교육

교육제도는 6-3-3제도로 소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순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이 시행되는중이다.하위권의 경쟁은 타국가에서도 흔한 수준이라지만 중,상위권 특히 최고라 불리는 제국대학과학기술원에 들어가려는 경쟁은 상위권학생들을 혹사시키는걸로 유명하다.
특이한 점으로는 타국에 비해서 비대한 대학진학률을 보인다.4년제 대학교들진학률은 67%,2-3년제 전문대까지 합치면 무려 80%로 이는 대학교 진학까지를 학업의 완료로 보는 한국의 특이한 인식에 의한 것으로 일단 하위권 대학이라도 들어가야한다는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깔려있다.

제국대학교

대한제국 제국대학
[ 펼치기 · 접기 ]

제국대학교,약칭 제대(帝大)는 제국대학교령에 의해 설립된 상위권 종합대학교들이며 초기 한성제국대학교,부산제국대학교,평양제국대학교 3개교를 시작으로 현재는 제국 전역에 27개의 제국대학교가 설립되었다.[42]제국대학교의 특징으로는 다른 종합대학교들과달리 5년제이며 무엇보다 등록비는 없고 입학시 입학금만 내면 5년내내 무료로 다닐수있다.
또한 취업에도 혜택이 많다.특히 사범대나 행정학과,경찰,소방관련과,의대등은 졸업만하면 시험없이 국가에서 채용하기도 한다.

27개의 제국대학교중 13개는 한반도에[43],7개는 만주에,7개는 동한열도에 위치해있다.

또 제국대학교내에도 어느정도 서열이 있는편이다.한성제대가 가장 높고 그뒤로 장춘제대,강호제대,평양제대,부산제대,심양제대가 그뒤로는 어느정도 비슷한 수준이다.

역사교육

여러민족의 동화를 위하여 유리한해석을 가해 교육중이다.
우선 고조선 건국을 기원전 2333년을 정설로 가르치고,홍산문화가 고조선의 흔적으로 나온다.
또한 왜국의 정권을 도왜인들이 세운정권으로 백제의 후신이라하며 이러한 해석에 따라 신라의 삼국통일은 반도지역의 평정일뿐 통일이라 가르치지 않는다.
이후 발해는 물론 요,금의 역사또한 고구려의 일족의 역사이자 한국사의 일부로서 가르치며 이후 대몽항쟁에서도 겸창[44]막부의 저항또한 한국사의 일부,이후 조선의 사대주의또한 축소하여 마치 고려의 외왕내제와 같이 운영된것으로 가르쳐진다.
이러한 전근대는 한국사교육에서 비중이 크지 못하며 근현대의 대한제국으로서의 역사를 집중해 근대화의 성과,초강대국으로서의 발전을 비중있게 가르친다.

또한 동아시아사 전반에서도 중원국가들의 중앙집권적 면모를 축소하거나 거의 부정하고,분열된 중원에대한 한국의 영향력행사를 정당화하는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인프라

교통

세계제일의 교통을 갖추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한국도로공사,코레일등 대부분의 시설을 정부산하기관이 운영해 이용료도 싼편이며 특히 대도시권에는 도시철도,버스노선들이 촘촘히 깔려있어 대중교통만 이용해도 생활이 가능한 수준이다.특히 반도내의 도시철도는 엄청나게 촘촘해 이론상 의주에서 부산이나 목포까지 도시철도만 타고도 이동이 가능한 수준 와 허나 출퇴근 시간에는 심각한 혼잡률로 유명하며 현지인이 아닌사람은'이걸 어케 매일타냐'라는 반응이 대다수다.하지만 시 이하의 군,현은 대도시와 가깝지 않은이상 투자조차 이루어지지않아 이는 대도시 집중현상을 가속화하는 중이다.
자세한건 대한제국 (The Eternal Empire)/교통)
부산-복강,전라남도-제주도,찰함북도-화태도 지하터널들또한 1980년대 완공되어 이동에 불편이 없고 이것이 아니어도 항공편과 배편도 이곳저곳을 이어주는중이다.

인터넷

인터넷망도 세계 최고수준이다.속도도 세계최고이며[45] 동시에 스마트폰,컴퓨터보급률도 세계최고인상태로 특히 젊은층에겐 없어선 안될 필수품이 되어있다.
통신사또한 기존의 3사에 더해 장운통신,임천통신이 추가되어 5대 통신사로 되어있다.[46]

사법

재판제도는 지방법원(1심)-고등법원(2심)-대법원(3심)의 3심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엄벌주의에 기반하여 처벌이 굉장히 강력한것으로 유명하다.
살인은 특수한경우가 아니라면 사형인데다 성범죄등 일부 중범죄또한 경중에따라 사형을 선고한다.
이런까닭에 한국의 연간 사형집행건수는 평균 110여건정도[47][48]이며 이는 인도[49],소련[50],사우디[51]에 이은 4위이다.
사형의 집행은 일반적으론 교수형을 집행하나 3인이상 살인등 죄가 중한경우 총살형으로 집행한다.
과거엔 군사정부시기까지는 참수나 전기의자,심지어 독가스를 이용한 사례또한 확인되었다.

교도소또한 험악한데 한반도,동한열도,남만주등 본토 중심지에는 적당히 경범죄자들을 수감하는 평범한 교도소들이 위치하나,문제는 만주북부지역의 교도소들인데 냉대기후의 매서운환경인것은 물론 내부환경또한 열악하고,간수들의 가혹행위까지 일상이다.이는 서방권에서 인권침해라고 비난받는 부분중 하나인데 정작 국내여론은 '그런 인륜을 저버린 이들에게 무슨 자비를 배푸는가'라는 반응

문화

개항이후 문화또한 근대화되며 변화를 겪으며 동양적요소와 서양적요소가 섞인 독특한 문화를 형성해내었다.
1930년대 군사정권이래 문화의 발전은 국가주의적,군국주의적 요소가 다분히 포함된채 발전하며 대중성을 얻지 못했으나,1954년 손원일 총리의 개혁,자유화와 박정희정권의 3S정책과 맞물리며 대중문화가 크게 발전하는데,이시기에 한국의 영화,드라마등이 서양에서도 인기를 끌기도하였다.
이후 1974년 민주화이후 기존의 영화와 드라마와 함께 k-pop으로 대표되는 대중음악이 크게발전하는데 현대의 아이돌로 대표되는 k-pop과는 다른느낌의 매력으로 인기를 끌었는데 대표적으로 밴드 산울림등이 있다.
80년대 후반으로 들어서며 만화와 이를 기반으로한 애니메이션이 발전하는데 여준[52]의 스튜디오 지브리등으로 대표되는 2D애니메이션이 인기를 끌었다.
또한 동일시기 음악에선 X-KOREA로 대표되는 락밴드또한 인기를 끌었다.
90년대부터 서태지와 이이들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이어지는 스타일의 아이돌 기반의 k-pop이 형성되었다.이는 당대 발전하던 인터넷기술과 맞물려 대규모 팬덤문화가 조성되어갔고,이는 현대까지 이어지고있다.
2000년대에 이르러 인터넷,컴퓨터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문화는 또다른 변화를 일으키는데,기존 아이돌문화의 성장은 물론,컴퓨터 애니메이션과 웹툰등이 만들어지고,소니사의 플레이스테이션,임천[53]등의 비디오 게임,넥슨등으로 대표되는 컴퓨터 게임이 발전하여 세계적인 인기를 끌기도 하였다.
2010년대를 거치며 이러한 기조가 이어지며,방탄소년단등 일부 아이돌이나 부산행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영화등이 세계적인기를 끌기도하였다.
그러던 2019년,또다른 변곡점이 찾아오니 플루-18 판데믹,흔히 신종플루사태로 불리는 범세계전염병사태가 발생한것이다.
온세상이 집안에 갇힌 이상황속에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국의 오징어게임으로 대표되는 넷플릭스등의 OTT 기반의 드라마,기생충으로 대표되는 영화등과,유튜브를 기반으로한 크리에이터,라프텔등의 OTT을 기반으로한 애니메이션,네이버등의 플렛폼 기반의 만화,PC,모바일,VR로 이어지는 게임까지 성장하며 일명 한류라 불리는 한국문화의 대유행이 절정을 맞이하였으며 이러한 기조가 현재까지 이어지는중이다.

대중매체에서의 대한제국

대개 서방권의 게임에서 최종보스로서 나오곤하며 이경우 군부독재국가이던 과거의 이미지가 차용되곤한다.

《사이버펑크 2077》에서 거대재벌들이 공동통치하는 국가로 등장하며 기업들이 도시수준이 아니라 중원의 국가를 하나씩 통제하는것으로 묘사된다.

《하츠오브아이언 4》에서도 등장한다.
허나 당시만해도 국민성이 다르던 왜를 해방시킬수도 없거나,해안도시점령이 구현되지 않는등 동아시아전반에서 고증오류가 좀 있는편이다.

위 게임의 대체역사모드 카이저라이히에서도 등장하는데,1차대전에서 승리한 독일제국의 라이히스팍트와는 보통 적이되며,이때 한국이 현실과 달리 독일과 네덜란드 치하의 동남아를 무력으로 점령한다.거기에다 게임내의 제2차 미국내전이 장기화되면 아예 로키산맥 이서지역을 점령해 서미주 도독부를 설치하기도하는등[54]현실의 한국보다 더 군국주의적이고 확장주의적으로 묘사된다.

《워 게임 레드드레곤》에서도 메인 세력으로 등장하며 배경이 동아시아인 만큼 켐페인들이 1개를 제외하면 한국과 관련된 켐페인이다.[55]
곰대호랑이[56],푸른파도[57],신고산을 올라라[58],남방의 진주[59],용의 부활[60] 이렇게 5가지가 있다.
허나 거의다 한국이 적 아니면 악역으로 등장하여서 한국에선 청불딱지를 먹었다.

이외에도 콜오브듀티,배틀필드,워썬더등 다수의 전쟁게임에도 필수적으로 등장한다.

대중적인 드라마등에선 동방의 거대한 선진국의 이미지로 등장하고,일부 서방권이나 여타국가들의 매체에선 중원국가들을 착취하는 어두운면을 매체화하기도한다.[61]

  1. 상해부,항주부를 통해 접경
  2. 광주부,향항부등을 통해 접경
  3. 금남도부를 통해 접경
  4. 자세한 구성은 사회/민족구성 부분에 서술
  5. 현재는 청화 7년이다.
  6. 마치 United States=미국,United Kingdom=영국이듯이 Empire=한국 인것이다.
  7. Imperial Army=대한제국군 Imperial Capital=한성부 인 식이다.
  8. 보통 외지의 인구는 집계하지 않는다.
  9. 현재 황제로 호칭되는 군주는 오직 대한제국의 황제뿐이다.
  10. 민주화에 현임 황제의 증조부이자 제국의 제7대 황제인 문조황제가 큰 역할을 한이후 이 의미가 강해졌다.
  11. 현재 수정된이후 군주제에는 큰 반대여론이 없는 이유로 이 조항에 대한 개정요구는 크지않다.
  12. 영친왕의 아들인 이구에게 원역과달리친아들이 생겼다.
  13. 의회가 해산된 상태에서 조직된 임시 내각이었다.
  14. 물론 동남아지역 국가들의 경우 현실보다도 경제수준이 향상된국가들이 다수라 큰 불만은 없었다.
  15. 비안북도 반금시,제대남도 대경목이 석유생산을 기반으로 발전한 대표지역중 하나이다.
  16. 한국의 삼성,금성,미국의 애플,소련의 요타,인도의 마이크로맥스
  17. 현실의 신세계,분리되지 않았다. 여담으로 CJ등 범삼성계열은 싹 합쳐져있다.
  18. LG와GS가 분리되지 않았다.
  19. 아직 스마트폰도 안접었다.
  20. 조선시대의 경주 최씨 부잣집의 기업화이다.
  21. 열도에서 사업을 시작해 흔히 열도계로 오해받으나 초대회장인 신격호를 포함 경영일가 전원 순수 반도계열이다.
  22. 현실과 달리 롯데의 전체 식품사업을 총괄한다.
  23. 미쓰비시
  24. 쓰미모토
  25. 닌텐도
  26. 도요타
  27. 야스다
  28. 1 제국 원:현실 대한민국 10원정도의 환율이다.
  29. 현실의 천원권과 동일
  30. 현실의 일본 고쿄
  31. 현실의 만원권과 동일
  32. 당대황제가 도안에 그려진다.
  33. 구 25군
  34. 당대의 수도였던 개성또한 한성과 멀지않다.
  35. 충청방언에 이런 특성이 잘 나타난다.
  36. 관동방언이 표준어와 유사하나 특색이 커서 다른방언으로 분류된다.
  37. 이 성조는 동남방언의 그것과는 매우 다르다.
  38. 사실 거란인의 경우 원나라 이후로 기록이 거의 끊겨 이후 한족이나 여진인에 동화된것으로 추측된다
  39. 국가별로 정체성이 분열하고있는 상태라 자료에 따라 세분화 하기도한다.
  40. 내지기준,외지로 가면 중화인의 비율이 높다.
  41. 이것도 내지 기준이다.외지에는 향향,금남도의 영국인,오문의 포르투갈인등 여타 유럽인 인구도 여럿 존재한다.
  42. 27개가 설립되어있는데 부가 아님에도 제국대학교가 있기도(광도제대등),부임에도 제국대학교가 없기도하다.(안양,용인,성남등)
  43. 특히 수도권에만 한성제대,개성제대,수원제대 이렇게 4개교가 있다.
  44. 가마쿠라
  45. 세계평균의 4~5배
  46. 그런고로 통신3사의 패악질은 없다.
  47. 사형집행자를 사형이 집행되는 당일 정부사이트에 신상까지 공개한다.
  48. 2029년엔 114건의 사형이 집행되었다고 발표되었다.
  49. 공개되진 않으나 연간 1000여건에서 최대 4000여건정도 집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50. 공표상 연간 400여건이나 실질적으로 1000여건에 이르는것으로 파악된다.
  51. 연간 150여건이 집행된다.
  52. 미야자키 하야오
  53. 닌텐도
  54. 이때 미국도시명들과 주명이 한국식으로 바뀌는것이 압권이다.예)샌프란시스코=>상항,로스엔젤레스=>천성,캘리포니아=>남가주
  55. 그럴수 밖에 없는것이 당시엔 인도가 패권국의 축에 못드는 국가였고,미-소간에는 접점이 거의 없었다.
  56. 소련으로 한국을 침공하는 시나리오이다.
  57. 인도로 한국의 침공을 방어하는 시나리오이다.
  58. 한국으로 호주를 침공하는 시나리오이다.
  59. 인도네시아 전쟁의 확전에서 남인도네시아의 정부군으로 한국의 개입을 방어하는 시나리오이다.
  60. 중원에서의 반란을 이끌어내는 시나리오이다.
  61. 물론 국내작에서도 이런것이 없진않다.대표적으로 영화 《기생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