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강성: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나무위키}}
{{대한국 행정구역}}
{{대한국 행정구역}}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3131aa;max-width:300px;text-align: center;"
{{북강성의 행정구역}}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51ba; float: right; max-width:450px; text-align: center;"
|-
|-
! colspan="6" style="font-size: 13pt; color: #fff; background: #3131aa;" | <big>북강성</Big><br>北疆省 | Bukgang-Seong<br>
! colspan="6" width="450px" style="font-size: 14pt; color: #000; background: #fff; line-height: 1.2em"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20px|link=대한국 (동방)]][[대한국 (동방)|<span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000; font-size: 70%;">대한국]]<span style="background-color:#FFFFFF;color:#000; font-size: 70%;">의 성</span><br>북강성<small><br>北疆省 | Bukgang-Seong</small>
|-
|-
! colspan="3" width="50.0%"| [[파일:북강성 깃발.svg|200px]]
| colspan="6" style="font-weight:" |
! colspan="3" width="50.0%"| [[파일:북강성 문장.svg|110px]]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D40000; color: #D40000; margin: -5.5px -10px;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center>성 깃발</center>
! colspan="3" width="50.0%"| [[파일:북강성 깃발.svg|120px]]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center>성 휘장</center>
! colspan="3" width="50.0%"| [[파일:북강성 문장.svg|100px]]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성정부 소재지
! colspan="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깃발
| colspan="4" | 평흥도급시 남경구 동서로 5
! colspan="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휘장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성정부 소재지
| colspan="4" style=""  | [[평흥광역시]] [[중구]] 정부청사대로 5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지역
| colspan="4" style=""  | 북강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하위 행정구역
| colspan="4" style=""  | 1광역시 2도 12시 16군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면적
| colspan="4" style=""  | 647,093km<sup>2</sup>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인구
| colspan="4" style=""  | 11,734,925명<sup>(2023)</sup>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지역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인구밀도
| colspan="4" | 북강
| colspan="4" style=""  | 17.74명/km<sup>2</sup>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최대도시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시간대
| colspan="4" | [[평흥도급시|평흥]]
| colspan="4" style=""  | UTC+9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면적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성장
| colspan="4" |647,093km<sup>2</sup>
| colspan="2" width="28%" style=""  |{{대한공산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이순철<sub>(초선)</sub>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하위행정구역
! colspan="2" rowspan="6"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성의회
| colspan="4" | 1도급시 3도
| colspan="2" style=""  |{{대한공산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55석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시간대
| colspan="2" style=""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4" | UTC+9
| colspan="2" style="" | 15석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인구
| colspan="2" style="" | {{사회민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4" | 13,478,234명
| colspan="2" style="" | 7석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3131aa;" | 인구밀도
| colspan="2" style="" | {{시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4" | 20.83명/km<sup>2</sup>
| colspan="2" style="" | 1석
|-
|-
! col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ffffff; background:#3131aa;" | 성장
| colspan="2" style="" | {{북방민족동맹/행정구역}}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000;" | {{둥근상자|[[국민당 (동방)|<span style="color:white;">국민]]|#FFFFFF|#004EA2|#004EA2}}
| colspan="2" style="" | 1석
| colspan="3" style="font-size: 10pt;"|<center>여은혁</center>
|-
|-
    ! colspan="2" row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ffffff; background:#3131aa;" | 성의회
| colspan="2" style="" | {{무소속2}}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 {{둥근상자|[[국민당 (동방)|<span style="color:white;">국민]]|#FFFFFF|#004EA2|#004EA2}}
| colspan="2" style="" | 17석
    | colspan="3" style="font-size: 10pt;"|51석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 {{둥근상자|공산|#fff|#cc0102|#cc0102}}
! colspan="2" rowspan="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광역정부장
    | colspan="3" style="font-size: 10pt;"|<center>22석</center>
| colspan="2" style=""  | <div style="margin: -5px -9px">{{무소속2}}
| colspan="2" style="" | 박한영<sub>(평흥광역시장 / 재선)<sub>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 {{둥근상자|[[사회민주당 (동방)|<span style="color:black;">사민]]|#000|#ffdb00|#ffdb00}}
| colspan="2" style="" | <div style="margin: -5px -9px">{{대한공산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3" style="font-size: 10pt;"|<center>16석</center>
| colspan="2" style="" | 정성철<sub>(동영도지사 / 초선)</sub>
|-
|-
    !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vertical-align: middle;" | {{둥근상자|[[전국노동자협의회|<span style="color:white;">노협]]|#FFFFFF|#cc004e|#cc004e}}
| colspan="2" style="" | <div style="margin: -5px -9px">{{무소속2}}
    | colspan="3" style="font-size: 10pt;"|3석
| colspan="2" style="" | 서유경<sub>(예광도지사 / 초선)</sub>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 {{둥근상자|[[공화인민당|<span style="color:white;">공화]]|#000|#009fe1|#009fe1}}
! colspan="2" rowspan="3"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시장·군수
    | colspan="3" style="font-size: 10pt;"|<center>2석</center>
| colspan="2" style="" | {{대한공산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16석
|-
|-
    !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vertical-align: middle;" | {{둥근상자|무소속|#FFFFFF|#818181|#818181}}
| colspan="2" style="" |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enter>2석</center>
| colspan="2" style="" | 5석
|-
|-
    ! colspan="2" rowspan="3" style="font-size: 10pt; color:#ffffff; background:#3131aa;" | 국민원 의원
| colspan="2" style="" | {{무소속2}}
| colspan="1" style="font-size: 10pt;"|<center>{{둥근상자|국민|#FFFFFF|#004EA2|#004EA2}}</center>
| colspan="2" style="" | 7석
    | colspan="3" style="font-size: 10pt;"|8석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center>{{둥근상자|사민|#000|#ffdb00|#ffdb00}}</center>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중추원의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7석
| colspan="2" width="35%" style=""  |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center>{{둥근상자|공산|#FFFFFF|#cc0102|#cc0102}}</center>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국민원의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4석
| colspan="2" width="35%" style=""  |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
|-
    ! colspan="2" rowspan="2" style="font-size: 10pt; color:#ffffff; background:#3131aa;" | 도지사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지역번호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 {{둥근상자|[[국민당 (동방)|<span style="color:white;">국민]]|#FFFFFF|#004EA2|#004EA2}}
| colspan="4" style="" | '''076'''
    | colspan="3" style="font-size: 10pt;"|2석
    |-
    !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fff; vertical-align: middle;" | {{둥근상자|사민|#000|#ffdb00|#ffdb00}}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center>2석</center>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0051ba;"  | ISO 3166-2
| colspan="4" style=""  | '''KR-46'''
|}
|}
{{목차}}
{{clearfix}}
= 개요 =
= 개요 =
[[대한국 (동방)|대한국]] 북강 지역에 위치한 성(省). 면적은 647,093km<sup>2</sup>로 한반도의 3배의 육박하지만 인구는 대한성의 20%에 불과하다. <br>
[[대한국 (동방)|대한국]] 북강 지역에 위치한 성(省). 면적은 647,093km<sup>2</sup>로 조선반도의 3배의 육박하지만 인구는 대한성의 20%에 불과하다.
북강지역 일대가 한국에 편입된지 120년이 다되어가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오지로 취급받고 있으며 현재도 교도소등이 많이 위치해있다.
=역사=
러시아는 외만주 지역을 1858년, 1860년 아이훈 조약과 북경 조약을 통해 청나라로부터 얻어냈다. 그러나 불과 30여년 후 [[한노전쟁]]을 통해 한국에게 다시 빼앗기고 만다. 한노전쟁의 명목은 한국의 상국인 대청국의 빼앗긴 영토를 되찾아준다는 것이었지만 전쟁이 승리로 끝난 뒤에는 사실상 한국은 내외만주의 통치권을 확보하였으며 1899년 외만주에 평성도호부와 해삼위주등의 통치기구를 설치하였다. 이중 평성도호부는 [[북강성]]으로, 해삼위주는 [[솔빈성]]으로 개편된다.
 
1901년부터 최대 15년간 진행된 [[북방지리조사사업]]을 통해 여러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졌고 소수의 노국인만 남은 [[평흥]]에 [[윤근]]이 평성도호부사로 부임하며 개척이 본격화되었다.
 
= 산업 =
= 산업 =
전통적으로 광업과 철강 산업이 크게 발달했으며 금, 구리, 철등이 많이 매장되어있다.  
전통적으로 광업과 철강 산업이 크게 발달했으며 금, 구리, 철등이 많이 매장되어있다.  


특히 금이 많이 묻혀있으며 1921년 채굴을 시작한 이후로 여태까지 북강성에서만 채굴된 금은 무려 848t이다. 게다가 한국은 전국에서 금을 긁어모으고 있고, 특히 몽골에도 금광이 많아 1932년부터 개발되었고 현재까지 채굴된 금의 양은 923t이다.
특히 금이 많이 묻혀있으며 1921년 채굴을 시작한 이후로 여태까지 북강성에서만 채굴된 금은 무려 848t이다.


= 정치 =
= 정치 =
89번째 줄: 112번째 줄: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파일:북강성 지도.png|1000px]]
[[파일:북강성 하위행정구역.svg|800px]]
 
{{clearfix}}
1도급시 3도로 구성되어있다.
'''1광역시'''와 '''2도''', '''12자치시''', '''16자치군''' 총 28개의 기초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있다.
 
* [[평흥도급시]](平興道級市, Pyeongheung Metropolitan City)
면적  21,759km<sup>2</sup>, 인구 4,432,691명(2020). 옛 이름은 하바롭스크. 할빈조약으로 이 지역을 할양받은 이후 평정하여 흥한다는 의미에서 이렇게 지었다. 또한 북강성 전체 인구중 1/3가 거주하고 있으며 목단 평야 한가운데 있고 흑룡강을 끼고 있는 대형 내륙도시이다. 북쪽과 동쪽으로는 [[북평도]]를 동쪽으로는 [[해강도]]를 두고 있다.
 
* [[북평도]](北平道, Bukpyeong-do)
면적 259,826km<sup>2</sup>, 인구 3,745,759명(2020). 도청 소재지는 [[북평시]]. 73만명이 중심도시인 [[북평시|북평]]에 거주하며, 나머지는 대부분 목단 평야 북부 끝자락이나 평흥 동부에 위치한 위성도시들인 영강시 부근에 거주하고 있어 북평도 내륙, 북부로 갈수록 인구가 희박해진다.
 
* 해강도(海岡道, Haegang-do)
면적 146,706km<sup>2</sup>, 인구 383,271명(2020).도청소재지는 흑룡강 하구에 위치한 해강시이다. 대부분의 면적이 산이고 바다에 바로 접하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신평 해협(타타르 해협)에 맞닿아 있으며 바로 건너편이 [[사할린성]]이다. 6만명이 도청소재지인 해강시에 거주하며 나머지는 다른 소도시나 작은 마을에 흩어져 살고 있다. 광업 종사자들도 많이 거주한다.


* 평강도(平康道, Pyeonggang-do)
* [[평흥광역시]](平興道級市, Pyeongheung Metropolitan City)
면적 218,802km<sup>2</sup>, 인구 4,916,513명(2020). 도청 소재지는 북관시. 대도시가 3개나(남평시, 평산시, 황관시) 위치해있는데다 공업도 상당히 발달한 편이라 인구가 북강성의 하위 행정구역중 가장 많은 편이다. 하지만 이곳도 대도시 밀집도가 높아서 남평, 평산, 황관 이 세개의 도시의 인구가 320만명이며 거리도 상대적으로 가까워서(남평시 중심가에서 평산 중심가까지 약 100km) 3시가 통합하여 도급시로 승격해보자는 여론도 많은 편이다.
면적 6812km<sup>2</sup>, 인구 4,432,691명(2020). 할빈조약으로 이 지역을 할양받은 뒤 1899년 형성되었다. 또한 북강성 전체 인구중 1/3가 거주하고 있으며 목단 평야 한가운데 있고 흑룡강을 끼고 있는 대형 내륙도시이다.


= 악명 높은 교도소들 =
= 악명 높은 교도소들 =
워낙 외진 곳이다 보니 악명 높은 교도소들 2곳이 위치해있다. 이곳은 무기징역을 선고 받은 악질 범죄자들만 수감되는 곳이다. 하지만 열악한 시설,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재소자 인권 문제등이 지적받고 있다. 이런 재소자 인권 문제는 한국의 민주주의 지수를 깎아먹는 요인중 하나지만 많은 한국인들이 이런 시설 운영 정책을 지지하고 있어 나아질 기미는 전혀 없어보인다. 물론 이곳을 제외한 교도소들은 시설도 좋고 재소자 인권도 잘 보장된다.<br>
워낙 외진 곳이다 보니 악명 높은 교도소 두 곳이 위치해있다. 이곳은 무기징역을 선고 받은 악질 범죄자들만 수감되는 곳이다. 하지만 열악한 시설,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재소자 인권 문제등이 지적받고 있다. 이런 재소자 인권 문제는 한국의 민주주의 지수를 깎아먹는 요인중 하나지만 많은 한국인들이 이런 시설 운영 정책을 지지하고 있어 나아질 기미는 전혀 없어보인다. 두개의 교도소는 하나같이 북망산, 백색지옥 같은 섬뜩한 별명을 갖고있다. 하지만 2019년 북강성 정부가 중앙정부와 논의하여 아래의 교도소를 모두 폐쇄하기로 합의하였으며 2023년 6월 폐쇄되었다.
두개의 교도소는 하나같이 북망산, 백색지옥 같은 섬뜩한 별명을 갖고있다.
* 북도교도소
* 북도교도소
1933년 설립되었다. 외흥안령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반경 50km안에 마을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는 황량한 곳에있다. 평강도에서도 가장 북쪽에 있어서 겨울에는 매우 춥다. 현재 수감자들은 57명이고 1989년부터 수감자의 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편이다.<br>
1963년 설립되었다. 광덕군 외흥안령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반경 50km안에 마을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는 황량한 곳에있다. 광덕군에서도 가장 북쪽에 있어 겨울에는 매우 춥다. 2023년 1월 기준 수감자들은 13명이며 1989년부터 수감자의 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사실상 탈옥이 불가능한데, 설사 교도소를 빠져나온다고 해도 나무 한그루 없는 허허벌판을 무작정 가로질러야 한다. 설립 이후 탈옥수는 단 6명이었지만 2명은 동사한채로 발견되었고 3명은 아사, 1명만이 다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죽은 5명중 1명은 탈옥한지 1년 뒤에야 교도소에서 불과 6km 떨어진 곳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따라서 이곳에 있는 수감자들의 선택은 단 두개뿐이다. 죽을때까지 수감되어있거나 탈옥해서 얼어죽거나, 굶어죽거나다. 재소자들은 대부분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중범죄자들 뿐이라 모두 이곳에서 사망한다. 교통이 형편없기 때문에 가족들도 시신 인도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죄수의 시신은 모두 지하 화장터에서 화장되어 교도소 뒷편 산기슭에 뿌려진다. 따라서 별명이 '''북망산'''. 2023년 6월 5일 마지막 수감자가 북평교도소로 이감되면서 폐쇄되었다. 다만 각종 자재와 물건들을 옮기고 후속처리를 마감하기 위해 몇몇 교정공무원들은 7월 말까지 남아있는다고 한다.
사실상 탈옥이 불가능한데, 설사 교도소를 빠져나온다고 해도 나무 한그루 없는 허허벌판을 무작정 가로질러야 한다. 설립 이후 탈옥수는 단 6명이었지만 2명은 동사한채로 발견되었고 3명은 아사, 1명만이 다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죽은 5명중 1명은 탈옥한지 1년 뒤에야 교도소에서 불과 6km 떨어진 곳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br>
* 동덕교도소
따라서 이곳에 있는 수감자들의 선택은 단 두개뿐이다. 죽을때까지 수감되어있거나 탈옥해서 얼어죽거나, 굶어죽거나다.<br>
1970년 설립되었고 북강성 북쪽끄트머리 동덕군 시내 외곽에 위치해있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와서 '''백색지옥'''으로 불린다. 여름에 기온이 어찌어찌 20도는 넘어가는 북도교도소와는 달리 여기는 7월초까지도 영상 20도를 넘어가지 않고 밤에는 10도 밑으로 떨어지는 가혹한 환경이다. 2022년 6월 1일부로 폐쇄되었으며 수감자는 각각 나뉘어 다른 교도소로 이감이 완료되었다.
재소자들은 대부분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중범죄자들 뿐이라 모두 여기서 사망한다. 교통편이 형편없기 때문에 가족들도 시신 인도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죄수의 시신은 모두 지하 화장터에서 화장되어 유해는 교도소 뒷편 산기슭에 뿌려진다. 따라서 별명이 '''북망산'''.
7년형을 선고받은 [[선덕제]]의 오빠 [[이표]]가 무기징역을 선고받지 않았는데도 이곳에 수감되어 있다.
* 예훈교도소
1950년 설립되었고 북평도 북쪽끄트머리 예훈섬에 위치해있다. 위 교도소보다 입지가 더 안좋은데, 여기는 섬이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와서 '''백색지옥'''으로 불린다. 여름에 기온이 어찌어찌 20도는 넘어가는 북도교도소와는 달리 여기는 7월초까지도 영상 20도를 안넘어간다. 게다가 밤에는 10도 밑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바다 건너 탈옥하려다가 저체온증으로 죽는경우가 허다하다. 탈옥수는 4명있었는데 모두 실종됐다. 현재 수감자 인원은 13명. 예훈섬 자체가 꽤 큰편이기 때문에(1790km<sup>2</sup>) 탈옥수중 하나는 섬 어딘가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고있을 것이라는 전설같은 기담도 있다. 2025년에 폐쇄될 예정이다.

2023년 7월 5일 (수) 19:50 기준 최신판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대한국
성부급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북강성
자치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의 성
북강성
北疆省 | Bukgang-Seong
깃발 휘장
성정부 소재지 평흥광역시 중구 정부청사대로 5
지역 북강
하위 행정구역 1광역시 2도 12시 16군
면적 647,093km2
인구 11,734,925명(2023)
인구밀도 17.74명/km2
시간대 UTC+9
성장
이순철(초선)
성의회
55석
15석
7석
1석
1석
무소속 17석
광역정부장 박한영(평흥광역시장 / 재선)
정성철(동영도지사 / 초선)
서유경(예광도지사 / 초선)
시장·군수
16석
5석
무소속 7석
중추원의원
국민원의원
지역번호 076
ISO 3166-2 KR-46

개요

대한국 북강 지역에 위치한 성(省). 면적은 647,093km2로 조선반도의 3배의 육박하지만 인구는 대한성의 20%에 불과하다.

역사

러시아는 외만주 지역을 1858년, 1860년 아이훈 조약과 북경 조약을 통해 청나라로부터 얻어냈다. 그러나 불과 30여년 후 한노전쟁을 통해 한국에게 다시 빼앗기고 만다. 한노전쟁의 명목은 한국의 상국인 대청국의 빼앗긴 영토를 되찾아준다는 것이었지만 전쟁이 승리로 끝난 뒤에는 사실상 한국은 내외만주의 통치권을 확보하였으며 1899년 외만주에 평성도호부와 해삼위주등의 통치기구를 설치하였다. 이중 평성도호부는 북강성으로, 해삼위주는 솔빈성으로 개편된다.

1901년부터 최대 15년간 진행된 북방지리조사사업을 통해 여러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졌고 소수의 노국인만 남은 평흥윤근이 평성도호부사로 부임하며 개척이 본격화되었다.

산업

전통적으로 광업과 철강 산업이 크게 발달했으며 금, 구리, 철등이 많이 매장되어있다.

특히 금이 많이 묻혀있으며 1921년 채굴을 시작한 이후로 여태까지 북강성에서만 채굴된 금은 무려 848t이다.

정치

표심은 상당히 유동적이지만 00년대 여러 기업이 이곳에 공장을 짓고 젊은 노동자들이 많이 진출하면서 진보적인 성향이 어느정도 있다.

행정구역

1광역시2도, 12자치시, 16자치군 총 28개의 기초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있다.

면적 6812km2, 인구 4,432,691명(2020). 할빈조약으로 이 지역을 할양받은 뒤 1899년 형성되었다. 또한 북강성 전체 인구중 1/3가 거주하고 있으며 목단 평야 한가운데 있고 흑룡강을 끼고 있는 대형 내륙도시이다.

악명 높은 교도소들

워낙 외진 곳이다 보니 악명 높은 교도소 두 곳이 위치해있다. 이곳은 무기징역을 선고 받은 악질 범죄자들만 수감되는 곳이다. 하지만 열악한 시설,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재소자 인권 문제등이 지적받고 있다. 이런 재소자 인권 문제는 한국의 민주주의 지수를 깎아먹는 요인중 하나지만 많은 한국인들이 이런 시설 운영 정책을 지지하고 있어 나아질 기미는 전혀 없어보인다. 두개의 교도소는 하나같이 북망산, 백색지옥 같은 섬뜩한 별명을 갖고있다. 하지만 2019년 북강성 정부가 중앙정부와 논의하여 아래의 교도소를 모두 폐쇄하기로 합의하였으며 2023년 6월 폐쇄되었다.

  • 북도교도소

1963년 설립되었다. 광덕군 외흥안령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반경 50km안에 마을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는 황량한 곳에있다. 광덕군에서도 가장 북쪽에 있어 겨울에는 매우 춥다. 2023년 1월 기준 수감자들은 13명이며 1989년부터 수감자의 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사실상 탈옥이 불가능한데, 설사 교도소를 빠져나온다고 해도 나무 한그루 없는 허허벌판을 무작정 가로질러야 한다. 설립 이후 탈옥수는 단 6명이었지만 2명은 동사한채로 발견되었고 3명은 아사, 1명만이 다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죽은 5명중 1명은 탈옥한지 1년 뒤에야 교도소에서 불과 6km 떨어진 곳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따라서 이곳에 있는 수감자들의 선택은 단 두개뿐이다. 죽을때까지 수감되어있거나 탈옥해서 얼어죽거나, 굶어죽거나다. 재소자들은 대부분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중범죄자들 뿐이라 모두 이곳에서 사망한다. 교통이 형편없기 때문에 가족들도 시신 인도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죄수의 시신은 모두 지하 화장터에서 화장되어 교도소 뒷편 산기슭에 뿌려진다. 따라서 별명이 북망산. 2023년 6월 5일 마지막 수감자가 북평교도소로 이감되면서 폐쇄되었다. 다만 각종 자재와 물건들을 옮기고 후속처리를 마감하기 위해 몇몇 교정공무원들은 7월 말까지 남아있는다고 한다.

  • 동덕교도소

1970년 설립되었고 북강성 북쪽끄트머리 동덕군 시내 외곽에 위치해있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와서 백색지옥으로 불린다. 여름에 기온이 어찌어찌 20도는 넘어가는 북도교도소와는 달리 여기는 7월초까지도 영상 20도를 넘어가지 않고 밤에는 10도 밑으로 떨어지는 가혹한 환경이다. 2022년 6월 1일부로 폐쇄되었으며 수감자는 각각 나뉘어 다른 교도소로 이감이 완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