ᚾᛁᚢ ᚺᛖᛁᛗᚨᚱ | 아홉 세계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니플헤임(Niflheimr)은 '안개의 땅' 이라는 뜻을 가진 영역으로 무스펠헤임의 북쪽에 위치하며 미드가르드로부터도 북쪽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 무스펠헤임과 함께 본디 세계가 창조되기 이전부터 존재하던 곳으로 무스펠헤임과 반대되는 지역인지라 한없이 차갑다고 한다. 헬이 이곳에 존재한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신화에서
니플헤임(Niflheimr)은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장소이며, 어둠의 세계, 혹은 안개의 세계라는 뜻을 가진다. 《고 에다》중〈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과〈발드르의 꿈〉,《신 에다》의〈길피의 속임수〉에 언급된 니플헬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노르드 아홉 세계인 만큼 여러 곳에서 그 존재가 드러나지만 '니플헤임'이라는 단어가 정확히 언급되는 것은〈길피의 속임수〉와〈오딘의 까마귀 주문가〉둘 뿐이다.
니플헤임은 태고적부터 존재한 얼음과 냉기의 세계이다.〈길피의 속임수〉에 따르면 니플헤임은 창세 이전부터 존재한 두 세계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불의 세계인 무스펠헤임이다.
니플헤임에는 모든 강의 근원인 흐베르겔미르(Hvergelmir)에서부터 흘러 나오는 열 한 줄기의 강, 엘리바가르(Élivágar)가 흐르는 곳이며, 엘리가바르의 열 한 줄기인 스볼(Svöl), 군트라(Gunnthrá), 표름(Fjörm), 핌불툴(Fimbulthul), 슬리드(Slidr), 흐리드(Hríd), 쉴그(Sylgr), 윌그(Ylgr), 비드(Víd), 레입트(Leiptr), 굘(Gjöll)의 강물이 무스펠헤임의 열기와 만나 물을 형성한 것이 노르드 창세의 시작이다.
니플헤임에는 전사하지 않은 자들이 가는 세계인 헬이 위치한다고 여겨지는데, 망자가 생전에 죄를 짓지 않았으면 그는 헬의 궁전에서 조상들, 그리고 가족들과 재회하게 된다. 죄 지은 사람들은 나스트론드(Nástrǫnd)라는 장소로 가게 되는데, 나스트론드가 바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지옥'이며 여기로 떨어진 사람들은 니드호그(Níðhöggr)에게 잡아 먹히거나 늑대에게 갈가리 찢기게 된다.
그 외에도 바다에서 익사한 사람들은 바다의 여신이자 거인 애기르(Ægir)의 아내인 란(Rán)이 데려간다고 하며, 처녀로 죽은 여성들은 게프욘(Gefjon) 여신의 시녀가 된다고 한다.
실제
니플헤임은 본래 그린란드(Grønland)의 내륙 무인지대를 중심으로 하여 서리거인(Hrímþursar), 산 거인(Bergrisar), 바다거인(Sjórisar)들이 살던 공간이다. 미드가르드를 제외한 다른 여덟 세계가 그렇듯이 세상의 처음에는 미드가르드와 하나인 채로 존재했으나, 위그드라실의 생장에 따른 영역 분리 이후 미드가르드와는 다른 공간으로 구분되었다.
서리와 안개의 땅 니플헤임은 상상하는 그대로 얼음과 설산으로만 뒤덮인 척박한 영역이다. 미드가르드나 요툰헤임조차 여름이 되면 따스한 햇살이 내리쬐기라도 하지만, 니플헤임은 태초부터 멸망까지 영속적인 한기만이 가득할 뿐이다.
그럼에도 니플헤임에는 아스 신족에 속하는 법과 전쟁의 신 티르의 친부인 서리거인 히미르(Hymir)를 비롯하여 여러 분파의 요트나르가 살고 있는데, 이는 요트나르의 강인한 신체와 선천적으로 마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니플헤임같은 척박한 땅에서조차 살아남을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에다에 기록되어 있듯 니플헤임의 가장 춥고 가장 어두운 곳에는 죄 지은 망자들이 가는 지옥 나스트론드가 위치하고 있는데, 나스트론드의 죄인들이 니플헤임의 다른 곳과 물리적으로 왕래할 수 없음에도 니플헤임의 거인들은 결코 나스트론드 쪽으로 발걸음을 옮기지 않는다.
저작권 안내
이 문서에 서술된 세계관, 설정, 용어, 구조물, 명칭 등은 모두 원저작자인 EBB_라쿤 또는 이스턴 벨버드 팀(특히 EBB_라돈 및 EBB_랏시)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권은 전적으로 해당 창작자에게 귀속됩니다.
다만, 이 창작물의 구성에 참고되었거나 포함된 일부 외부 리소스는 각각의 출처에서 명시한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되었으며, 해당 요소의 저작권은 원 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다음을 전제로 열람 및 공유가 가능합니다:
- 전체 설정의 2차 이용 및 가공은 원 창작자의 명시적 동의를 필요로 합니다.
- 외부 저작물이 포함된 경우, 그 요소는 해당 저작권자의 라이선스 조건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본 고지는 제이위키의 창작자 권리를 보호하는 정책에 기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