ᚾᛁᚢ ᚺᛖᛁᛗᚨᚱ | 아홉 세계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아스가르드(Ásgarðr)는 아스 신족이 사는 곳이다. 알프헤임의 위, 혹은 미드가르드의 안에 위치한다고 생각되며 보통 세계수 위그드라실(Yggdrasill)의 최상부에 자리한 것으로 그려진다. 아스가르드는 스바딜파리의 주인인 흐림투르가 짓다가 만 불완전한 방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쟁과 마법, 지혜의 신 오딘(Óðinn)에 의해 다스려진다고 여겨진다.
신화에서
아스가르드(Ásgarðr)는 노르드 아홉 세계 중 하나로 가장 중요한 세계이며 아스 신들의 세계이다. 아스가르드라는 이름은 아스 신족을 뜻하는 'Asa'와 둘러싸인 곳을 뜻하는 'gard'의 합성어이며 애시르(아스의 복수형)의 울타리라는 의미를 가진다.
가장 중요한 곳 답게《에다》에서의 비중도 제일 높다. 에다 여기저기에서 아스가르드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소재는 확실하지 않으나 위그드라실의 위에 위치한다고 생각된다.
신들의 장려한 궁전 지붕 위에는 위그드라실의 잔가지가 덮여 있어, 그 잎을 산양 헤이드룬(Heidrun)이 먹고 젖 대신 꿀술을 생산한다. 이것을 신들이나 왈홀(Valhǫll)의 전사들인 에인헤랴르(Einherjar)들이 마시면서 날마다 무예를 닦고 있으며, 주신 오딘은 자신의 궁전 발라스캴프(Valaskjálf) 안에 있는 흘리드스캴프(Hliðskjálf)라는 높은 의자에 앉아 세계를 내려다보고 있다.
이 밖에도 여신 프레이야의 궁전인 폴크방(Folksvagn), 정의로운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천상인 김레(Gimlé)등 많은 궁전이 있다. 지상과 아스가르드를 잇는 것은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Bifröst)인데, 이 다리 곁에는 헤임달이 거인의 내습에 대비하여 파수를 보고 있다고 한다.
또한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뿌리가 있는 계곡에는 '우르드(운명(Urðr))의 샘'이라는 샘이 있어서 '스반(Svanr)'이라는 이름의 두 마리의 백조, 또는 운명의 세 여신 노른(Norn)이 살고 있다. 노른은 매일 아침 샘물에서 진흙을 퍼올려서 위그드라실의 가지나 줄기에 발라 건조하거나 썩지 않게 하는데, 이러한 손질을 게을리 하면 물푸레나무의 줄기는 금방 썩어버린다고 한다. 세계수에서는 꿀 이슬이 물방울처럼 떨어져서 샘물과 합쳐진다. 이 물은 아주 맑고 신성했기 때문에 무엇이든 한번 담그면 모두 계란 껍질 안쪽에 있는 얇은 막처럼 하얗게 변한다.
아스가르드는 라그나로크가 도래할 때 최후를 맞이하리라고 예언되고 있다. 헤임달이 거대한 뿔피리 '걀라르호른(Gjallarhorn)'을 불어 전투의 시작을 알리면 펜리르가 오딘을 잡아먹고 그의 아들 비다르가 펜리르의 턱을 위아래로 찢어 죽인다.
토르는 일생에 거쳐 여러 번 대적했던 요르문간드와 싸우며 끝내 뱀의 머리를 망치로 짓이겨버리나 그 독기를 너무 많이 쐬어 아홉 걸음을 뗀 뒤 숨을 거둔다. 헤임달은 로키와 서로 맞찔러 죽고, 전쟁의 신 티르와 가름은 서로 싸우다가 역시 둘 다 죽는다.
프레이는 수르트와 싸우다 죽고, 수르트는 불타는 칼을 휘둘러 지상과 하늘 모든 것을 불태워버린다. 수르트가 던진 불칼에 세계수 위그드라실이 타버리고 노르드 아홉 세계는 대부분이 멸망한다고 전해진다.
실제
아스가르드는 본래 스웨덴의 웁살라(Uppsala)를 중심으로 하여 아사 신들이 살던 공간이다. 미드가르드를 제외한 다른 여덟 세계가 그렇듯이 세상의 처음에는 미드가르드와 하나인 채로 존재했으나, 위그드라실의 생장에 따른 영역 분리 이후 미드가르드와는 다른 공간으로 구분되었다.
현대에 실존하는 아스가르드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들의 운명인 라그나로크(Ragnarǫk)에 대하여 말해야 한다. 현대 사람들은 북유럽 신화와 라그나로크를 단순히 옛날이야기로 치부하며 진지하게 오딘을 숭배하는 이들조차 아직 라그나로크는 오지 않았다고 믿고 있으나 사실 라그나로크는 기원후 6세기에 이미 일어났다. 그리고 그 사실은 라그나로크 이후 생존한 노르드 신들에 의해 표면 세계에는 철저히 감추어졌다.
라그나로크의 전조와 오딘의 방관
세간의 이해와는 달리 신들의 운명은 본래의 노르드 세계에는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기원후 3세기경, 그레이트브리튼 섬에 그리스도교가 전파됨으로 인해 노르드 세계가 격동한다. 노르드의 본산이며 아스가르드가 위치한 북유럽 지역에는 8세기 쯤이나 되어서야 그리스도교가 본격적으로 전파되기 시작하나, 노르드 아홉 세계 중 하나인 바나헤임의 미드가르드 연결지인 잉글랜드는 3세기의 그리스도교 전파로 인해 혼란스러워진다.
바나헤임의 이야기는 미드가르드의 옛 문헌들에는 드러나 있지 않으나, 이 때 바나헤임에서는 아사-반 전쟁 때 볼모로 보냈던 고위층인 뇨르드와 두 자녀를 환송 해줄 것을 요청했고, 이것이 오딘에 의해 직접 거절 당했으며 이때부터 바나헤임은 독자적인 생존 방식을 강구하게 된다. 아홉 세계 중 하나가 소란스러워지자 알프헤임의 빛요정들은 두 번째 하늘인 안들랑과 세 번째 하늘인 비드블라인에 영혼의 대피처를 마련하였으며 동쪽의 요툰헤임과 남쪽의 무스펠헤임에서는 아스가르드를 무너뜨릴 기회를 엿보았다. 그러나 이 때 까지도 만물의 아버지는 의심 없이 황금 왕좌에서 먹고 마실 뿐이었다.
토르와 헤르모드의 증언
526년, 천둥의 신 토르와 전령의 신 헤르모드는 서아시아에서 발생한 대지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그리스도의 땅으로 떠난다. 두 신은 그곳에서 신성이 사라진 옛 팔레스타인의 신들, 특히 폭풍의 신 바알과 달의 신 난나르에게서 땅이 갈라지고 그 사이로 불길이 솟은 것을 목격했음을 전해 듣는다. 무스펠헤임의 이변을 직감한 토르와 헤르모드는 역할을 나누어 토르는 지진의 근원지인 안티오키아에 남고 헤르모드는 만물의 아버지에게로 달려갔다.
헤르모드의 증언에 아사 신들은 웅성거렸으나 모든 것을 의심하는 오딘은 제 아들의 말조차 의심하며 후긴과 무닌을 직접 안티오키아로 보낸다. 두 까마귀의 눈으로 파괴된 도시와 갈라진 대지를 목격한 오딘은 그곳에 남아있던 토르의 증언까지 들음으로서 한달음에 요툰헤임으로 달려가 미미르의 샘을 찾는다.
발드르의 죽음
토르와 헤르모드가 이변을 알아내고 오딘이 미미르의 샘으로 달려갔을 때 만물의 아버지의 가장 밝은 아들인 빛의 신 발드르는 구름이 불타오르며 끝나지 않는 겨울이 시작되는 악몽을 꾸기 시작하고 점차 생기를 잃어갔다. 미미르의 샘에서 무스펠헤임의 이변에 대한 지혜를 추구하던 오딘은 아들의 변화에 다시 아스가르드로 돌아왔고 발드르의 상태가 심각함을 깨닫고는 세상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죽은 여자 예언가 발라를 찾아간다.
발라는 오딘의 다른 아들인 호드가 발드르를 죽일 것이며 오딘은 그 복수를 하게 될 것이라는 불길하고 단편적인 예언을 하였고 이 예언을 전해들은 오딘의 아내 프리가는 세상 모든 것들에게 발드르를 다치지 않게 해 달라는 약속을 받아내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주 작고 여려 누군가를 다치게 할 수 없는 겨우살이에게만은 약속을 받아내지 않았다.
신들에게는 찰나와도 같은 6년이 지난 뒤, 프리가의 맹세와 유일하게 제외된 겨우살이에 대한 것을 알게 된 거짓과 불의 신 로키는 발드르에 대한 좋지 못한 감정을 가진 채 겨우살이 가지를 날카롭게 깎아내어 발드르의 형제이며 어두움의 신이자 장님인 호드에게 주고 발드르를 향해 던지라고 하였다. 자신의 운명을 알고 있던 호드는 참담한 마음으로 겨우살이 가지를 형제에게 던졌으며 발드르는 뾰족하게 깎인 겨우살이 가지에 가슴이 찔려 죽고 만다.
핌불베르트의 시작
빛의 신 발드르가 죽고, 그의 아내 난나 역시 극심한 슬픔으로 심장이 터져 죽고 난 뒤. 기원 후 532년부터 534년의 세 해의 여름 동안 해가 어두워지고, 그 세 해의 겨울 동안 인간 세상에 전쟁이 드리운다.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는 여러 부족들 간의 전쟁이 계속되었으며 미클라가르드로 불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니카의 반란이 일어나 3만 명이 사망하였으며 부르고뉴와 반달이 전쟁으로 인해 무너진다.
전쟁으로의 혼란이 잠잠해진 535년, 극심한 겨울 핌불베르트(Fimbulvetr)가 닥친다. 이 급격한 기온 하강 현상은 수많은 노르드인을 죽음으로 내몰았으며 미드가르드 전체에 기근 현상을 가져온다. 이 현상은 미드가르드를 넘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일이 이렇게 되자 만물의 아버지는 모든 신들에게 극단적인 준비를 할 것을 지시하며 에인헤랴르를 전시 상태에 돌입시킨다. 요툰헤임의 거인들이 아스가르드의 동쪽 방벽을 때리기 시작했고 토르와 티르, 프레이, 헤임달 등의 신들이 방벽 너머의 거인들과 직접적인 전투를 벌인다.
라그나로크의 시작
덴마크 왕 회그니 사건 직후 오딘은 셰이드 주술을 사용해 미드가드르를 하나의 주술적 공간으로 덮는다. 그 직후 해와 달이 흐로드비트니르손 스콜과 하티에 의해 집어삼켜지고 요툰헤임의 붉은 닭 퍌라르, 아스가르드의 황금 닭 굴란캄비, 그리고 헬의 이름 모를 녹슨 닭이 차례로 운다. 헬의 개 가름이 하늘을 향해 짖기 시작하자 요툰헤임의 모든 거인들과 니플헤임의 모든 서리거인들, 무스펠헤임의 모든 불의 거인들이 아스가르드를 향해 진격한다.
펜리르, 요르문간드, 헬의 세 존재와 거인의 편에 선 로키가 아스가르드로 향하고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그레이트브리튼 섬, 아일랜드, 그린란드, 그리고 북해의 해안선은 요르문간드에 의해 해일 피해를 입는다. 오딘은 비그리드 평원에 모든 아사 신들과 에인헤랴르를 집합시키고 프레이 역시 애시르 신들과 함께하나 프레이야는 자신 휘하의 병사들과 아버지 뇨르드를 데리고 고향인 바나헤임으로 도망쳐버린다. 무스펠헤임의 불의 거인들과 무스펠헤임의 왕 수르트가 비프로스트를 건너자 무지개 다리는 파괴되어버리고 그 모습을 본 오딘은 이 거대한 전투를 마침내 라그나로크라 이름짓는다.
양쪽에 대치한 거인과 신들의 군대는 헤임달이 걀라르호른을 부는 것과 동시에 충돌하고 오딘은 최전선에서 궁니르를 던지며 펜리르와 대적하나 결국 펜리르에게 잡아먹히게 되고 오딘의 아들 중 하나인 비다르가 펜리르의 아가리를 둘로 찢어 만물의 아버지의 복수를 한다. 토르와 요르문간드는 서로 싸우다 죽고 긴 악연이었던 로키와 헤임달 역시 동귀어진한다. 전쟁의 신 티르 역사 가름과 싸우다 죽게 되자 전세는 걷잡을 수 없이 신들에게 불리해져갔고, 그렇지 않아도 수가 모자랐던 아스가르드측은 마지막까지 분전하던 프레이마저 수르트의 검에 불살라짐으로 인해 최고 지도자들을 모두 잃고 무너지게 된다.
라그나로크의 끝
오딘과 토르 등의 주신들은 비그리드 평원의 전투에서 사망한 뒤 알프헤임의 빛요정들이 준비해둔 세 번째 하늘인 비드블라인으로 가게 된다. 신들은 사망 이후에도 존재했으나 더는 아홉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전투에서 사망한 에인헤랴르는 두 번째 하늘인 안들랑으로 가게 되었으며 황금 천장으로 이루어진 김레에 머무르게 되었으나 더 이상 전투에서 활약할 수 없어졌기 때문에 전사였던 그들에게는 좋은 마지막은 아닐 것이다.
현대
오딘의 셰이드 주술 장막이 걷히고 그로 인해 보호되었던 여러 세계들은 다시 활기를 얻는다. 미드가르드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북극 이외에는 라그나로크의 흔적이 전혀 남지 않았으며 바나헤임과 알프헤임의 경우는 라그나로크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직접적인 전장이었던 아스가르드는 완전히 박살이 나고 말았으며 요툰헤임과 무스펠헤임 역시 마찬가지였다.
바니르의 주신으로 돌아간 뇨르드의 도움을 받아 새롭게 마련된 아스가르드에 빛의 신 발드르와 아내인 난나가 부활하여 도달했고 비그리드 평원 전투에서 살아남은 비다르, 모디, 마그니, 헤니르, 발리 등의 신들이 아스가르드를 함께 재건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아스가르드의 주신이자 만물의 아버지는 빛의 신 발드르이며 만물의 어머니는 식물의 신 난나이다.
현재 아스가르드는 스웨덴 정부와의 협상 하에 전통적인 연결지(Ankretsted)인 스웨덴 웁살라에 작은 면적의 조차지를 허용 받고 있다. 또한 주신 발드르의 요청에 의해 북유럽 왕실이 연합하여 건국 한 미드가르드 연합왕국(Bandaríkjastjórn Miðgarðr)과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저작권 안내
이 문서에 서술된 배경세계, 설정, 용어, 명칭, 이미지 등은 모두 원저작자인 EBB_라쿤 또는 이스턴 벨버드 팀(특히 EBB_라돈 및 EBB_랏시)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권은 전적으로 해당 창작자에게 귀속됩니다.
다만, 이 창작물의 구성에 참고되었거나 포함된 일부 외부 리소스는 각각의 출처에서 명시한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되며, 해당 요소의 저작권은 각 원 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다음을 전제로 열람 및 공유가 가능합니다:
- 전체 설정의 2차 이용 및 가공은 원 창작자의 명시적 동의를 필요로 합니다.
- 외부 저작물이 포함된 경우, 그 요소는 해당 저작권자의 라이선스 조건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본 고지는 제이위키의 창작자 권리를 보호하는 정책에 기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