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툰헤임

ᚾᛁᚢ ᚺᛖᛁᛗᚨᚱ | 아홉 세계
[ 펼치기 · 접기 ]

개요

요툰헤임(Jǫtunheimr)은 노르드 신화의 거인족인 요트나르(Jǫtnar)의 세계이다. 요툰헤임은 '바깥 땅' 이라는 뜻의 우트가르드(Utgard)라고도 하며, 미드가르드의 경계선 바깥 또는 미드가르드의 동쪽에 있다고 여겨진다.

신화에서

요툰헤임(Jǫtunheimr)은 노르드 아홉 세계 중 하나로, 거인 민족 중 하나인 요트나르(Jǫtnar)의 세계이다. 노르드 신화에서 요툰헤임의 요트나르는 미드가르드의 인간들과 아스가르드의 신들에게 여러가지로 위협이 되었다. 따라서 신들은 요툰헤임에 사는 요툰들을 막기 위해 이미르의 눈썹으로 방벽을 만들었고, 이 방벽이 미드가르드와 요툰헤임을 구분짓는다고 한다.

에다 문헌에 따르면 이핑그(Ífingr)라는 강이 아스가르드와 요툰헤임을 갈라놓고 있으며, 멩글뢰드(Menglöð)가 다스리는 땅에 가스트롭니르(Gastropnir)라는 방벽이 있고, 샤치(Þjazi)와 스륌(Þrymr)의 땅인 스륌헤임(Þrymrheimr), 구드문드(Guþmund)가 사는 글레시스벨리르(Glesisvellir) 등이 요툰헤임 안에 있다고 한다. 또 우트가르다르라는 요새가 거인들의 땅을 에워싸고 있는데 그 지배자는 우트가르다 로키(Útgarða-Loki)라고 전해진다. 이 로키는 흔히 알려진 장난의 신 로키와는 동명이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가스트롭니르는〈푤스빈느가 말하기를〉에 언급된다. 여기서 스비프다그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멩글로드를 찾아간다. 스비프다그는 멩글로드의 거처를 둘러싼 벽의 문 앞까지 와서 푤스비두르라는 문지기를 만난다. 스비프다그는 푤스비드와 대화를 나누면서 그에게 이 벽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묻는다. 푤스비드는 벽의 이름은 가스트롭니르이고 자신이 레리르브리미르의 팔다리를 재료 삼아 쌓았다고 대답한다.

요툰헤임은 다른 아홉 세계와 비교했을 때 신화 속에서의 비중이 굉장히 큰 축이다. 심지어 인간들의 세상인 미드가르드보다도 비중이 높은데, 거인(요트나르)들은 에다의 여러 부분에 아사 신들의 주적, 혹은 도우미로 나오며 어떨 때는 신의 어머니나 아버지, 남편이나 아내가 되기도 하는 등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라그나로크 때 요툰헤임과 니플헤임의 서리거인(Hrímþursar)과 의 망자들의 군단이 신들을 공격한다고 한다. 세상을 파괴하는 것은 수르트(Surtr)가 영도하는 무스펠헤임에 사는 불의 거인(Eldjötnar)들 이지만 신들과 직접적으로 대치하며 많은 피를 보게 되는 것은 요툰헤임의 서리거인들이다.

요툰헤임에는 《고 에다》 및 《신 에다》 두 문헌에서 모두 언급되는, 오딘이 지혜를 얻기 위해 자기 눈알 하나를 대가로 내놓고 그 물을 마셨다고 하는 미미르의 샘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미미스브룬느(Mímisbrunnr)라고 불리는 이 미미르의 샘은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세 뿌리 중 요툰헤임에 뻗은 뿌리 아래에 위치해 있다고 전해진다.

실제

요툰헤임은 본래 러시아의 아르항겔스크(Архангельск)를 중심으로 하여 서리거인(Hrímþursar)들이 살던 공간이다. 미드가르드를 제외한 다른 여덟 세계가 그렇듯이 세상의 처음에는 미드가르드와 하나인 채로 존재했으나, 위그드라실의 생장에 따른 영역 분리 이후 미드가르드와는 다른 공간으로 구분되었다.

요툰헤임의 뜻이 거인의 땅이니만큼 모든 거인 민족이 요툰헤임에 살고 있을 것이라고 쉽게 착각할 수 있으나 요툰헤임에 사는 거인들은 90% 이상이 서리거인이다. 불의 거인(Eldjötnar)은 무스펠헤임을 근거지로 하여 살고 있으며 점토거인(Leirjötnar), 산 거인(Bergrisar), 바다거인(Sjórisar)은 미드가르드에 가장 많이 살고 있다. 마지막으로 바람거인(Vindþursar)은 현재 거주지가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아스가르드에 있는 거대한 독수리형 거인 흐레스벨그(Hræsvelgr)를 제외하면 다른 바람거인들은 종적을 감추었다.

인간과의 경쟁, 그리고 몰락

우리가 잘 알다시피 거인은 현생인류를 구성하는 한 아종으로, 고대부터 미드가르드(지구)에 인간, 늑대인간, 인어, 밤피르와 공존했다. 인간이 아직 충분히 강하지 않았던 고대 수 천 년 동안 거인, 특히 요트나르 분파는 선천적으로 사용하던 마법의 힘과 태생적인 거대함으로 인간을 비롯한 다른 인류를 압도하며 지상을 지배했다.

그러나 기원전 10세기, 서아시아 팔레스타인에서 유대 민족이 최초로 거인 네필림들을 몰아내기 시작한 이래 인간을은 빠르게 발전하여 점차 거인들과의 충돌에서 우위를 점하기 시작한다. 다른 거인 분파들과 달리 요트나르는 비교적 오래도록 중부유럽과 북유럽, 동유럽에서 인간들을 상대로 선전했으나 기원전 5세기 쯤에 들어서게 되자 더는 인간들의 공세를 버텨낼 수가 없게 된다.

마침 그 시기는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생장으로 인해 하나의 지구였던 노르드 아홉 세계가 각자의 영역으로 분리되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이에 서리거인을 시작으로 하여 요트나르는 하나 둘씩 자신들의 고향이 되는 영역으로 떠났고 점토거인과 일부 산 거인, 바다거인만이 미드가르드에 남아 조용히 숨어 살아갈 뿐이었다.

라그나로크 이전

영역 분리 이후 전성기를 맞은 아스가르드와, 대등하지는 않아도 동맹 상황이었던 바나헤임, 그리고 아스가르드의 보호를 받는 미드가르드는 요트나르를 상대로 압도적인 힘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요트나르 군대를 상대로 아스 신들 전원이나 에인헤랴르가 출동할 필요도 없이 토르의 망치질 몇 번이면 요트나르 군대가 와해되는 지극히도 불공평한 상황이 수 세기 동안 이어진다.

상황이 이러하니 일부 요툰이 아스 신들이나 인간들과 친해지고 혼인 관계를 맺기도 하였으나 우트가르다 로키 같은 요트나르 지도자들은 근본적으로 신들과 인간에게 증오심을 품고서 언젠가 올 기회를 노리며 비교적 얌전히 살아가는 척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기원후 3세기 경 그리스도교 신앙이 유럽 북부로 퍼져나가기 시작하며 바나헤임에서 가장 먼저 균열이 일어난다. 바나헤임의 약화와 아스가르드의 방관, 미드가르드에서의 애시르 신앙 저하라는 삼박자가 맞아떨어지며 신들의 운명 라그나로크(Ragnarǫk)의 서막이 시작된다.

라그나로크

운명의 세 여신 노른의 예언대로 요툰헤임, 니플헤임, 무스펠헤임의 요트나르가 주가 되어 신과 인간을 상대로 라그나로크를 선포한다. 아스 신, 반 신, 미드가르드의 인간과 서리거인, 불의 거인, 헬의 망자 간의 이 전쟁은 아스가르드, 미드가르드, 요툰헤임 세 영역을 초전박살내고 오딘, 토르, 헤임달 등 아스 신족의 주역들과 로키, 펜리르, 요르문간드 등 서리거인의 최대 전력, 왈홀의 에인헤랴르 모두가 목숨을 잃고 나서야 종결된다.

아사 신들이 사실상 전멸하고 눈엣가시였던 미드가르드 역시 폐허로 만들었으니 요툰헤임의 서리거인들 입장에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도 볼 수 있으나 요툰헤임 역시 서리거인 태반이 사망하고 로키, 우트가르다 로키, 게이로드, 흐룽니르, 흐림 등 요트나르의 주요 지도자들이 모두 전사한 피로스의 승리인 것이 너무나도 확실했기에 라그나로크가 요툰헤임에 있어 꼭 필요한 일이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현대

라그나로크가 끝난 후 요툰헤임은 전쟁의 상처가 곳곳에 박혀 있는 폐허나 다름없게 되었다. 주 전장은 아스가르드였지만, 아스 신들의 권능은 요툰헤임을 발기발기 찢어놓았고 요툰헤임에 있는 모든 거인 국가가 하나도 남김없이 멸망한 상황이었다.

라그나로크로부터 수 세기가 흐른 뒤, 발드르의 신 아스가르드 재건과 마찬가지로 요툰헤임에서도 국가 재건의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대부분의 시도는 내부 분열과 미숙한 정치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으나 애기르의 형제 카리의 손자이며 일부 지역에서 눈의 신으로도 추앙 받은 적이 있던 서리거인 스내르(Snær)가 이끄는 집단이 백 년 이상 국가를 유지하는 데에 성공했고 그 후로는 요툰헤임 곳곳에서 다시금 서리거인의 소국들이 자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 저작권 안내

저작권 안내


이 문서에 서술된 배경세계, 설정, 용어, 명칭, 이미지 등은 모두 원저작자인 EBB_라쿤 또는 이스턴 벨버드 팀(특히 EBB_라돈 및 EBB_랏시)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권은 전적으로 해당 창작자에게 귀속됩니다.

다만, 이 창작물의 구성에 참고되었거나 포함된 일부 외부 리소스는 각각의 출처에서 명시한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되며, 해당 요소의 저작권은 각 원 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다음을 전제로 열람 및 공유가 가능합니다:
- 전체 설정의 2차 이용 및 가공은 원 창작자의 명시적 동의를 필요로 합니다.
- 외부 저작물이 포함된 경우, 그 요소는 해당 저작권자의 라이선스 조건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본 고지는 제이위키의 창작자 권리를 보호하는 정책에 기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