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munist 1968, 2022 | CC-0

부여황제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1차 홍선규 태정령막군 내각
(2020.02.05 ~ )
황제 폐하의 여당

제정당
428석 · 419석
신임과 보완

제국협회[귀]
93석 · 0석

제정결사[귀]
66석 · 0석

부여국민당
13석 · 36석
황제 폐하의 야당

자유민주당
68석 · 121석
기타 야당

동아사회당
0석 · 44석

신진보협회[귀]
28석 · 0석

헌정정치회의[귀]
20석 · 0석

소수민족동맹
0석 · 8석

민주평등당
2석 · 3석
기타 귀족원 회파
14석 · 0석
무소속 10석 · 19석
재적 귀족원 742석 · 평민원 650석
귀. 귀족원 교섭 단체
민주평등당
民主平等黨 | Party for Democratic Equality
등록 약칭 민평당, 평등당, PDE, PFDE
슬로건 주4일제 복지국가
일 하는 사람들의 정당
창당 2007년 3월 10일 (진보평등당)
당명 변경 2016년 7월 1일 (민주평등당)
중앙당사

지도를 불러오는 중...

천경도 천경특별시 동대문구 운종로 405
비상대책위원장 심상정 / 4선 (31~34대)
원내대표
사무총장 박용진 / 초선 (33대)
이념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온건 근황주의
스펙트럼 중도좌파
부여 귀족원 2석 / 742석 (0.2%)
부여 평민원 3석[1] / 650석 (0.5%)
도지사 0석 / 24석 (0.0%)
당색 카키색 (#645772)
노란색 (#FFCC00)
당가 앞으로 같이 걷는 한 걸음
정책연구소 진보정치 싱크탱크
청년조직 청년평등당
국제조직
당원 수 13,000명 (2022년 2월)

개요

부여의 진보 정당. 한때 진보 계열 야당중 가장 규모가 컸다.

역사

권영길 민족민주노동총연맹 위원장이 창당한 민주노동당을 근간으로 두고 있다. 2007년 민주노동당 분당 사태 당시 근황주의를 주장한 온건좌파들이 결성하여 창당한 진보평등당이 당의 직접적인 뿌리이다.

2016년, 제33대 부여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패배 이후 쇄신을 위하여 당명을 민주평등당으로 개칭하고 심상정 비대위 체제를 성립하였다.

2020년 제34대 부여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벌어진 공천 논란으로 인하여 대다수의 당원들이 탈당하였으며, 예상대로 의석의 절반 이상을 잃는 대참패를 당하였다. 지역구에서는 심상정, 배진교, 이정미 의원만이 간신히 승리하였을 뿐이며 비례대표 역시 참담한 패배를 당하였다.

이후 김종철 대표 체제가 성립되나, 김종철의 성추문 논란으로 인해 당은 또다시 엉망진창이 되었고 김종철 의원이 황립검찰청에 의해 구속된 이후 또다시 심상정 비대위 체제가 수립되었다.

2022년 이후로는 동아사회당, 자유민주당의 법안 발의에 발목잡기용 꼬투리 잡기와 네거티브를 시전하며 야권 지지자들로부터 관제 야당이라는 비판을 받게되었고, 당원 수는 2013년 30만명에서 2022년 2월 기준 1만 3,000명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사실상 망한 상태이다.

성향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하고 있으나 창당 직후에 비하면 현재 노선은 굉장히 온건화된 편으로, 중도 ~ 중도좌파 정도의 성향으로 분류하는 사람들도 있다.

민주평등당으로 당명을 바꾼 이후로는 노동자 권익 투쟁을 포기하였다는 말이 있다. 북미식 리버럴 정당으로 노선을 전환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부여 황실에 대해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진보적인 유권자들에게는 관제야당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2022년에 들어서는 자유민주당의 부여 황실의 비자금 조성 관련한 비판까지 방어하면서 제정당에게 돈을 받았다는 우스갯소리도 나돈다.

논란 및 비판

당의 유명세에 비해 조직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저명성 있는 일부 의원들이 의제 설정에는 능숙하나 그 뿐이고 그 법안을 실제 실현하지는 못하며, 사회 운동을 벌이는건 잘하지만 정작 지역 조직력이 증발하여 그것이 지역 사회로 전파되지도 못하고 있다.

지역 단위에서의 실험이 빈번히 이뤄지는 동아사회당에 비해 중앙당 중심, 특히 독선적인 독재 체제라는 비판이다.

게다가 2022년 이후로는 상술한 관제 야당 논란까지 불거지는 실정이다.

각주

  1. 지역구 3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