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서풍}}
{{서풍}}
<div style="background:#050F1C;border:2px solid #99A6B6;padding:10px;margin:20px auto;#4F5A68;color:#C4D2E1;">
{{신냉전 (서풍)}}
{{신냉전 (서풍)}}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536349; text-align: center;margin-left:auto;width:450px;"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99A6B6; text-align: center;margin-left:auto;width:450px;"
| colspan="4" style="background: #030;color:#fff"  | <big>'''방글라데시 내전'''</big><br>'''বাংলাদেশের গৃহযুদ্ধ'''<br>'''Bangladesh CivilWar'''
| colspan="4" style="background: #536349;color:#fff"  | <big>'''방글라데시 내전'''</big><br>'''বাংলাদেশের গৃহযুদ্ধ'''<br>'''Bangladesh CivilWar'''
|-
|-
| colspan="1" style="width:30%;background:#030; color:#fff" | '''발생 지역'''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536349; color:#fff;" | '''장소'''
| colspan="3" style="width:70%;text-align: left;"  | 방글라데시 전역
|-
|-
| colspan="1" style="width:30%;background:#030;color:#fff"  |  '''기간'''
| colspan="4" text-align=center | 방글라데시 전역
| colspan="3" style="width:70%;text-align: left;"  | [[2029년]] [[5월 13일]] ~ [[2032년]] [[11월 1일]]
|-
|-
| colspan="1" style="width:30%;background:#030;color:#fff" | '''원인'''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536349; color:#fff;" | '''기간'''
| colspan="3" style="width:70%;text-align: left;"  |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인구 대이동<br>[[2029년 방글라데시 쿠데타|구군부 세력의 쿠데타]]
|-
|-
| colspan="1" style="width:30%;background:#030;color:#fff"  |  '''결과'''
| colspan="4" text-align=center | [[2029년]] [[5월 13일]] ~ 진행중
| colspan="3" style="width:70%;text-align: left;"  | 방글라데시 정부군 승리
|-
|-
| colspan="1" style="width:30%;background:#030;color:#fff" | '''영향'''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536349; color:#fff;" | '''원인'''
| colspan="3" style="width:70%;text-align: left;"  | 10만명이상 사상<br>민간인 보호를 위해 다카 일대 UN평화유지군 배치
|-
|-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030;color:#fff"  | '''교전 세력'''
| colspan="4" text-align=center |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인구 대이동<br>[[2029년 방글라데시 쿠데타|구군부 세력의 쿠데타]]
|-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28px|링크=]] 방글라데시<br>[[파일:치타공 국기.png|28px|링크=]] 치타공 인민방위대<br>[[파일:인도 국기.svg|28px|링크=]] [[인도 (서풍)|인도]]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536349;color:#fff"  |  '''교전 세력'''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png|28px|링크=]]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
|-
|-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030;color:#fff"  |  '''지원국'''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28px|링크=]] 방글라데시<br>[[파일:치타공 국기.png|28px|링크=]] 치타공 인민방위대<br>[[파일:인도 국기.svg|28px|링크=]] [[인도 (서풍)|인도]]<ref>이슬람 극단주의 확산 방지 명분으로 군부대 투입 및 군사시설 폭격</ref>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png|28px|링크=]]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ref>방글라데시의 보수정당으로 1975년에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지아우르 라만이 민정 이양을 통한 정권 연장을 기도하며 수구적 군인, 이슬람 극단주의 정치인, 친 파키스탄 인사를 규합하여 만든 관제 여당이였다. 2029년 국토가 혼란해진 사이 쿠데타로 다시 권력을 잡았다.</ref>
|-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성조기.png|28px|링크=]] [[미합중국 (서풍)|미국]]<sup>(물자지원)</sup><br>[[파일:유니언 잭.png|28px|링크=]] [[영국 (서풍)|영국]]<sup>(물자지원)</sup><br>[[파일:캐나다.png|28px|링크=]] [[캐나다 (서풍)|캐나다]]<sup>(구호품 지원)</sup><br>[[파일:러시아 국기.png|28px|링크=]] [[러시아 (서풍)|러시아]]<sup>(사실상)</sup>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536349;color:#fff"  |  '''지원국'''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성조기.png|28px|링크=]] [[미합중국 (서풍)|미국]]<ref>탄약, 헬멧 등 군사 장비 지원, 무인 정찰대 파견</ref><br>[[파일:유니언 잭.png|28px|링크=]] [[영국 (서풍)|영국]]<ref>스팅어 미사일을 비롯한 군수물자 지원</ref><br>[[파일:캐나다.png|28px|링크=]] [[캐나다 (서풍)|캐나다]]<ref>식량, 식수, 침구류 지원 20,000개 지원, 구호 캠프 설치</ref><br>[[파일:호주 국기.png|28px|링크=]] 호주<ref>탄약 및 인도적 지원</ref><br>[[파일:뉴질랜드 국기.png|28px|링크=]] 뉴질랜드<ref>방탄복2,000벌 지원</ref><br>[[파일:러시아 국기.png|28px|링크=]] [[러시아 (서풍)|러시아]]<ref>장갑차 탄약 지원, 군복 3,500벌</ref>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28px|링크=]] 파키스탄<sup>(사실상)</sup><br>[[파일:오성홍기.png|28px|링크=]] [[중국 (서풍)|중국]]<sup>(사실상)</sup>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28px|링크=]] 파키스탄<sup>(사실상)</sup><br>[[파일:오성홍기.png|28px|링크=]] [[중국 (서풍)|중국]]<sup>(사실상)</sup>
|-
|-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030;color:#fff"  |  '''지휘관'''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536349;color:#fff"  |  '''지휘관'''
|-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28px|링크=]] 셰이크 하시나<br>[[파일:치타공 국기.png|28px|링크=]] 라셰트 칸 메논<br>[[파일:인도 국기.svg|28px|링크=]] 라훌 간디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28px|링크=]] 셰이크 하시나<br>[[파일:치타공 국기.png|28px|링크=]] 라셰트 칸 메논<br>[[파일:인도 국기.svg|28px|링크=]] 라훌 간디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png|28px|링크=]] 칼리다 지아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png|28px|링크=]] 칼리다 지아
|-
|-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030;color:#fff"  |  '''피해'''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536349;color:#fff"  |  '''피해'''
|-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28px|링크=]] {{글씨 색|red|전사}} 30,521명<br>[[파일:인도 국기.svg|28px|링크=]] {{글씨 색|red|전사}} 6,120명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28px|링크=]] {{글씨 색|red|전사}} 30,521명<br>[[파일:인도 국기.svg|28px|링크=]] {{글씨 색|red|전사}} 2,120명<ref>작전 초기, 인도군이 다카와 치타공 시내에 고립되고 시가전에 익숙 치 못한 상황에서 게릴라 공격까지 더해진 상황 이었기에 피해가 커졌다.</ref>
----
----
'''민간인 피해'''<br>
'''민간인 피해'''<br>
42번째 줄: 40번째 줄: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png|28px|링크=]] {{글씨 색|red|전사}} 48,173명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png|28px|링크=]] {{글씨 색|red|전사}} 48,173명
|-
|-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536349; color:#fff;" | '''영향'''
 
==개요==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30;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width="25%" colspan="1"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방글라데시 전쟁 7.jpg|400px|링크=]]</div>
| width="25%" colspan="1"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방글라데시 전쟁 2.jpg|400px|링크=]]</div>
|-
| colspan="1" style="background: #030; color: #fff;" | 피난민을 보호하는 UN평화유지군
| colspan="1" style="background: #030; color: #fff;" | 치타공 인민방위대의 모습
|-
| width="25%" colspan="1"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방글라데시 전쟁 3.jpg|400px|링크=]]</div>
| width="25%" colspan="1"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방글라데시 전쟁 4.jpg|400px|링크=]]</div>
|-
| colspan="1" style="background: #030; color: #fff;" | 저격수의 공격을 받는 방글라데시 병사를
| colspan="1" style="background: #030; color: #fff;" | 무인기 폭격으로 폐허가 된 치타공의 한 주택가
|-
| width="25%" colspan="1"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방글라데시 전쟁 5.jpg|400px|링크=]]</div>
| width="25%" colspan="1"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방글라데시 전쟁 6.jpg|400px|링크=]]</div>
|-
| colspan="1" style="background: #030; color: #fff;" | 인도에서의 반전시위
| colspan="1" style="background: #030; color: #fff;" | 폭격 직전에 찍힌 인도군의 미라주 2000
|-
|-
| colspan="4" text-align=center | 10만명이상 사상<br>민간인 보호를 위해 다카 일대 UN평화유지군 배치<br>남아시아에서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br>'''인도-파키스탄 관계''' 악화
|-
|-
|}
|}
----


[[2029년]], 방글라데시의 구 군부 독재세력이 일으킨 쿠데타 이후 민주화 시위에 평화적인 시위에 대해 무력 진압이 이루어지자 결성된 친정부군과 구 군부 세력 사이의 내전이다. 21세기 남아시아에서 벌어진 가장 참혹하고 잔인했던 전쟁으로 불릴 정도로 큰 피해를 낸 전쟁이다.
==<big>'''개요'''</big>==
 
3년간 진행된 내전으로 많은 난민들이 발생하였고, 외부 세력의 개입해 전쟁은 더욱 길어졌으며 21세기 이후 첫 UN군의 직접 개입한 전쟁이다.
==배경==
{{본문|2029년 방글라데시 쿠데타}}
==경과==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UN의 반응==
==영향==
내전 당시 구 군부 세력의 탄압을 받던 치타공에서 분리주의 운동이 거세지기 시작하였다. 민병대인 치타공 인민방위대가 창설되어 내전에 참전하기도 하며 분리주의 세력의 영향력이 커지게 되었다. 내전 직후 치타공은 시리아의 구 로자바처럼 본국과는 거리가 먼 자치 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피해==
{{인용문3|'''"다카의 약 65,000 ~ 100,00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소 40%가 직접 총에 맞은 적이 있고 51%는 누군가 사망하는 모습을 직접 보았고, 39%는 한 명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눈 앞에서 사망하는 것을 본적이 있고 73% 이상의 집이 폭격 받거나 89%는 지하대피소에서 생활했다. 오랜 시간 전쟁 동안 겪은 심리적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아이들의 앞으로 삶의 큰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분쟁속의 아이들 보고서}}
==매체==

2023년 5월 24일 (수) 23:06 기준 최신판

[ 주요국 목록 ]
[ 설정 목록 ]
신냉전
New Cold War | 新冷战 | Новая холодная война
[ 펼치기 · 접기 ]
방글라데시 내전
বাংলাদেশের গৃহযুদ্ধ
Bangladesh CivilWar
장소
방글라데시 전역
기간
2029년 5월 13일 ~ 진행중
원인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인구 대이동
구군부 세력의 쿠데타
교전 세력
방글라데시
치타공 인민방위대
인도[1]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2]
지원국
미국[3]
영국[4]
캐나다[5]
호주[6]
뉴질랜드[7]
러시아[8]
파키스탄(사실상)
중국(사실상)
지휘관
셰이크 하시나
라셰트 칸 메논
라훌 간디
칼리다 지아
피해
전사 30,521명
전사 2,120명[9]

민간인 피해
사망 81,583명

전사 48,173명
영향
10만명이상 사상
민간인 보호를 위해 다카 일대 UN평화유지군 배치
남아시아에서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
인도-파키스탄 관계 악화

개요

  1.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 방지 명분으로 군부대 투입 및 군사시설 폭격
  2. 방글라데시의 보수정당으로 1975년에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지아우르 라만이 민정 이양을 통한 정권 연장을 기도하며 수구적 군인, 이슬람 극단주의 정치인, 친 파키스탄 인사를 규합하여 만든 관제 여당이였다. 2029년 국토가 혼란해진 사이 쿠데타로 다시 권력을 잡았다.
  3. 탄약, 헬멧 등 군사 장비 지원, 무인 정찰대 파견
  4. 스팅어 미사일을 비롯한 군수물자 지원
  5. 식량, 식수, 침구류 지원 20,000개 지원, 구호 캠프 설치
  6. 탄약 및 인도적 지원
  7. 방탄복2,000벌 지원
  8. 장갑차 탄약 지원, 군복 3,500벌
  9. 작전 초기, 인도군이 다카와 치타공 시내에 고립되고 시가전에 익숙 치 못한 상황에서 게릴라 공격까지 더해진 상황 이었기에 피해가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