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6번째 줄: 26번째 줄: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030;color:#fff"  |  '''지원국'''
| colspan="4" style="width:100%;background:#030;color:#fff"  |  '''지원국'''
|-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성조기.png|28px|링크=]] [[미합중국 (서풍)|미국]]<sup>(물자지원)</sup><br>[[파일:유니언 잭.png|28px|링크=]] [[영국 (서풍)|영국]]<sup>(물자지원)</sup><br><br>[[파일:캐나다.png|28px|링크=]] [[캐나다 (서풍)|캐나다]]<sup>(구호품 지원)</sup><br>[[파일:러시아 국기.png|28px|링크=]] [[러시아 (서풍)|러시아]]<sup>(사실상)</sup>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성조기.png|28px|링크=]] [[미합중국 (서풍)|미국]]<sup>(물자지원)</sup><br>[[파일:유니언 잭.png|28px|링크=]] [[영국 (서풍)|영국]]<sup>(물자지원)</sup><br>[[파일:캐나다.png|28px|링크=]] [[캐나다 (서풍)|캐나다]]<sup>(구호품 지원)</sup><br>[[파일:러시아 국기.png|28px|링크=]] [[러시아 (서풍)|러시아]]<sup>(사실상)</sup>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28px|링크=]] 파키스탄<sup>(사실상)</sup><br>[[파일:오성홍기.png|28px|링크=]] [[중국 (서풍)|중국]]<sup>(사실상)</sup>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white;color:black;text-align:left;"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28px|링크=]] 파키스탄<sup>(사실상)</sup><br>[[파일:오성홍기.png|28px|링크=]] [[중국 (서풍)|중국]]<sup>(사실상)</sup>
|-
|-
75번째 줄: 75번째 줄:
==경과==
==경과==
==피해==
==피해==
{{인용문3|'''"다카의 약 65,000 ~ 100,00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소 40%가 직접 총에 맞은 적이 있고 51%는 누군가 사망하는 모습을 직접 보았고, 39%는 한 명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눈 앞에서 사망하는 것을 본적이 있고 73% 이상의 집이 폭격 받거나 89%는 지하대피소에서 생활했다. 오랜 시간 전쟁 동안 겪은 심리적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아이들의 앞으로 삶의 큰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분쟁속의 아이들 보고서}}
==UN의 반응==
==UN의 반응==
==매체==
==매체==

2022년 10월 9일 (일) 09:51 판

[ 주요국 목록 ]
[ 설정 목록 ]
신냉전
New Cold War | 新冷战 | Новая холодная война
[ 펼치기 · 접기 ]
방글라데시 내전
বাংলাদেশের গৃহযুদ্ধ
Bangladesh CivilWar
발생 지역 방글라데시 전역
기간 2029년 5월 13일 ~ 2032년 11월 1일
원인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인구 대이동
구군부 세력의 쿠데타
결과 방글라데시 정부군 승리
영향 10만명이상 사상
민간인 보호를 위해 다카 일대 UN평화유지군 배치
교전 세력
방글라데시
치타공 인민방위대
인도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
지원국
미국(물자지원)
영국(물자지원)
캐나다(구호품 지원)
러시아(사실상)
파키스탄(사실상)
중국(사실상)
지휘관
셰이크 하시나
라셰트 칸 메논
라훌 간디
칼리다 지아
피해
전사 30,521명
전사 6,120명

민간인 피해
사망 81,583명

전사 48,173명

개요

테러로 화재가 난 건물로 들어가는 다카의 구조대원들 치타공 인민방위대의 모습
저격수의 공격을 받는 방글라데시 병사를 무인기 폭격으로 폐허가 된 치타공의 한 주택가
인도에서의 반전시위 폭격 직전에 찍힌 인도군의 미라주 2000

2029년, 방글라데시의 구 군부 독재세력이 일으킨 쿠데타 이후 민주화 시위에 평화적인 시위에 대해 무력 진압이 이루어지자 결성된 친정부군과 구 군부 세력 사이의 내전이다. 21세기 남아시아에서 벌어진 가장 참혹하고 잔인했던 전쟁으로 불릴 정도로 큰 피해를 낸 전쟁이다.

3년간 진행된 내전으로 많은 난민들이 발생하였고, 외부 세력의 개입해 전쟁은 더욱 길어졌으며 21세기 이후 첫 UN군의 직접 개입한 전쟁이다.

배경

경과

피해

"다카의 약 65,000 ~ 100,00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소 40%가 직접 총에 맞은 적이 있고 51%는 누군가 사망하는 모습을 직접 보았고, 39%는 한 명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눈 앞에서 사망하는 것을 본적이 있고 73% 이상의 집이 폭격 받거나 89%는 지하대피소에서 생활했다. 오랜 시간 전쟁 동안 겪은 심리적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아이들의 앞으로 삶의 큰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분쟁속의 아이들 보고서

UN의 반응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