廣陽
북광양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태조 강헌왕 정종 () () 문종 () () 예종 장헌왕 광종 공순왕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의종 혜장왕 현종 양도왕 장종 강정왕 선종 공희왕 강종 영정왕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희종 공헌왕 헌종 소경왕 순종 장목왕 혜종 충선왕
원광일치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영인대왕 헌숙대왕 명정대왕 덕공대왕
육군광양 종성광양
초대 제2대 제19대 제20대
태종 목종 범철대왕
정성공 · 덕의공 · 무성공 · 도현공 · 진경공
휘성대왕
진경공
제3대 제4대 제21대 제22대
세종 고종 신의대왕
진경공 · 덕신공 · 장영공
길무대왕
장영공
제5대
폐왕
녹주 · 명주의 왕
제22대 제23대 제24대
길무대왕 경진대왕 수적대왕
구원고사제십칠후삼국만목북조남조북광양테지니원고국

원고국 완디
[ 펼치기 · 접기 ]
테지니 체제 이전
-
민왕
테지니 시대
- - -
성종 진종 무종
종화 이후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 문종 숙종 영종
제5대 제6대 - 제7대
단종 태종 우왕 목종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인종 현종 고종 정종
- 제12대 제13대 제14대
근왕 영조 건안황제 세종 성화황제 명종 선치황제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효종 융의황제 세조 숙의황제 신종 인렬황제 중종 민정황제
제19대
경종
제국법 치하
제20대 제21대
고조 철종
헌법 제정 이후
제22대 제23대 제24대
열조 페노사니오 완디 엔파 완디
구원고•사제십칠후삼국만목북조남조남광량테지니원고국
원고국 제14대 완디
明宗
명종
출생 1707년 8월 4일
남경부 강덕궁 극양전
즉위 1737년 4월 12일
남경부 강덕궁 중문
사망 1755년 1월 29일 (향년 47세)
남경부 강덕궁 천금전
능묘 장릉(長陵)
재위 원고국 완디
1737년 4월 12일 ~ 1755년 1월 29일 (17년)
연호 파람야(民律)
[ 펼치기 · 접기 ]
제타시옥(棕星)
야오코하(遼虎)
부모 친부: 세종
친모: 인목황후
형제자매 4남 중 1남
배우자 인렬황후
자녀 4남[1] 2녀[2]
종교 양교
정응(正凝)
왕호 헌숙대왕(憲肅大王)
묘호 명종
(明宗)
시호 없음[3]

개요

원고 명종(元高 明宗)은 원고국 제20대 군주이자 제14대 완디이다.

원고국 최대 전성기를 이끌어낸 아버지에 묻혀 그리 존재감이 크진 않지만, 이쪽도 아버지 못지 않은 성군이다. 법에 조예가 깊었던 덕분에 재위기간 초반에는 금강전을 보충한 금강속전을 편찬하고, 이후에는 아버지가 진흥시킨 상업에 큰 관심을 가져 국도를 개통하고 건전한 상업 발달을 위한 국상법을 반포하는 등 아버지를 닮아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또한 카운테 활동이 원래 목적에 충실하도록 여러 규제 정책 도입을 시도했으나 이는 후대인 효종 때 모두 흐지부지되고 만다...

생애

즉위 이전

즉위

금강속전

상업 진흥 정책

카운테 통제

평가

기타

  1. 효종, 의안왕, 신성군, 정원군
  2. 정명공주, 정신공주
  3. 황제는 관습적으로 시호를 가지지 않는다. 묘호는 황제만의 것인 반면 시호는 신하의 것이라고 여기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