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류 시대 | ||||
초대 나호진 17年10-11月 |
제2-3대 구창모 18年2-6月/6-8月 |
제4대 모창민 18年8-11月 |
제5대 육성준 18年11月-19年1月 |
제6대 이성하 19年1-2月 |
메이우 시대 | ||||
제6대 이성하 19年1-2月 |
제7대 민주우 19年2-3月 |
제8-9대 하재성 19年3-7月/7-9月 |
제10대 민주우 19年10月-11月 |
권한대행 정문석 19年12月-20年2月 |
세이카 시대 | ||||
제11대 하은우 20年2月-4月 |
제12대 한성훈 20年4月-5月 |
제13대 민주우 20年6月-12月 |
제14대 라버 마르코 21年1月 |
제15대 모창민 21年1月 |
제16대 나의재 21年1月 |
권한대행 구창모 21年1月-2月 |
제17대 이해수 21年2月-4月 |
권한대행 이승배 21年4月-5月 |
제18대 구창모 21年5月-8月 |
제19대 전영록 21年9月-11月 |
제20대 하성일 21年12月-22年1月 |
제21대 Mirai 22年1月-2月 |
제22대 윤교익 22年2月-3月 |
권한대행 윤교익 22年3月-3月 |
제23대 윤교익 22年3月-4月 |
||||
헤이와 시대 | ||||
제24대 타츠바나 요쿠온 22年5月-8月 |
제25대 전영록 22年9月-11月 |
제26대 육성준 22年11月-23年1月 |
제27대 다카기 그네 23年1月-23年2月 |
제28대 마츠다하루토라 23年2月 |
혁명정부 최재명 23年2月 |
경비 시키노사토 유이무 23年2月-年6月 |
제29대 마츠다하루토라 23年6月~10月 |
제30대 마츠다하루토라 23年10月~現職 |
![]() 월본국 내각총리대신 月本国内閣総理大臣 Prime minister of Wubon | ||||
---|---|---|---|---|
타츠바나 요쿠온 / 제24대 | ||||
2022년 5월 4일 | ||||
![]() | ||||
내각총리관저 (도유수도시 중앙구 소재) | ||||
나호진 | ||||
2017년 10월 12일 |
개요
월본국 내각총리대신(月本国内閣総理大臣, Prime minister of Wubon)은 월본의 정부수반이다. 월본의 행정권을 관할하는 내각의 수장이며, 국회의사당에서 지명된 국회의원으로 선출된다.
지위
선출 및 임명
국황은 국회의 지명에 기하여 내각총리대신 (이하 총리)을 임명한다.
월본국 헌법 제11조 1항
월본국 헌법 제11조 1항
월본국의 내각총리대신은 월본국 헌법 제11조에 따라 국회에서 국회의원 중에서 선출되며, 내각총리당선인을 국회의장이 국황사에 통고한 후 국황이 인증하여 임명하는 방식으로 임명된다. 월본국의 내각총리대신은 통상적으로 제1당에서 선출되는 것이 관례이지만, 연정이나 정치적 합의 등에 의하여 그렇지 않은 사례(제7대 민주우 총리, 제10대 민주우 총리, 제15대 모창민 총리)가 나오기도 한다.
2017년 10월부터 2018년 6월, 그리고 2019년 2월에는 총리를 직선제로 선출하였으나 현재는 직선제가 폐지되었다. 나호진, 구창모, 민주우 3명이 직선제로 선출 된 경험이 있는 전직 총리들이다.
권한
내각은 월본국의 행정권을 가진 행정 기관이자 정부이다. 내각은 그 수장인 총리 및 부총리, 그 외 국무위원들로 구성된다.
월본국 헌법 제70조
월본국 헌법 제70조
총리는 내각을 대표하여 의안을 국회에 제출하며, 일반 국무 및 외교 관계에 대하여 국회에 보고하며, 또한 내각을 지휘 및 감독한다.
월본국 헌법 제71조 1항
월본국 헌법 제71조 1항
월본국의 내각총리대신은 월본국 헌법 제70조 및 71조에 의거하여 행정권을 가진 내각의 수장인 국무위원이자, 국가를 운영하는 정부수반의 권한을 가진다. 또한 카페 내에서 부매니저 스탭의 권한을 매니저인 국황으로부터 양수받아 행사한다.
목록
대 | 명 | 내각총리대신 | 내각 | 재직 기간 | 재직 일수 | 출생지 | 정당 | 참조 | ||
---|---|---|---|---|---|---|---|---|---|---|
1 | 1 | ![]() |
나호진 羅浩進 Na Hojin (1977 ~ 現) |
나호진 내각 | 2017년 10월 12일 ~ 2017년 11월 19일 |
39일 | 도유수도시 |
무소속 |
[1] | |
2 | 2 | ![]() |
구창모 具昌謨 Gu Changmo (1979 ~ 現) |
구창모 내각 | 2018년 2월 3일 ~ 2018년 6월 2일 |
120일 | 도유수도시 | ![]() |
[2][3] | |
3 | 구창모 2차 내각 | 2018년 6월 3일 ~ 2018년 8월 15일 |
74일 | |||||||
4 | 3 | ![]() |
모창민 牟昌民 Moh Changmin (1983 ~ 2021) |
모창민 내각 | 2018년 8월 15일 ~ 2018년 11월 15일 |
93일 | 도유수도시 | [4] | ||
5 | 4 | ![]() |
육성준 陸成俊 Yook Seongjun (1984 ~ 現) |
육성준 내각 | 2018년 11월 15일 ~ 2019년 1월 4일 |
51일 | 도신설군 | [5][6] | ||
6 | 5 | ![]() |
이성하 李誠賀 Lee Sengha (1981 ~ 現) |
이성하 내각 | 2019년 1월 23일 ~ 2019년 2월 20일 |
29일 | 가자군 | [7][8] | ||
7 | 6 | ![]() |
민주우 旻周佑 Min Juu (1995 ~ 現) |
민주우 내각 | 2019년 2월 21일 ~ 2019년 3월 1일 |
9일 | 도유수도시 | 月本の未來 | [9][10][11] | |
8 | 7 | ![]() |
하재성 河在成 Ha Jaeseng (1955 ~ 現) |
하재성 내각 | 2019년 3월 24일 ~ 2019년 7월 31일 |
130일 | 마전군 | 월본太步당 | [12][13] | |
9 | 하재성 2차 내각 | 2019년 7월 31일 ~ 2019년 9월 28일 |
59일 (통산 189일) | |||||||
10 | 8 | ![]() |
민주우 旻周佑 Min Juu (1995 ~ 現) |
민주우 2차 내각 | 2019년 10월 5일 ~ 2019년 11월 29일 |
56일 | 도유수도시 | ![]() |
[14] | |
권한대행 | 9 | ![]() |
정문석 鄭雯奭 Jeong Moonseok (1981 ~ 現) |
정문석 대행내각 | 2019년 12월 4일 ~ 2020년 2월 16일 |
75일 | 도유수도시 | 월본太步당[15] → ![]() |
[17][18][19] | |
11 | 10 | ![]() |
하은우 夏銀優 Ha Eunwoo (1996 ~ 現) |
하은우 내각 | 2020년 2월 17일 ~ 2020년 4월 23일 |
67일 | 도유수도시 | 녹색정치네트워크 | [20][21] | |
12 | 11 | ![]() |
한성훈 韓成勳 Han Seonghun (1985 ~ 現) |
한성훈 내각 | 2020년 4월 26일 ~ 2020년 5월 21일 |
26일 | 도유수도시 | ![]() |
||
13 | 12 | ![]() |
민주우 旻周佑 Min Juu (1995 ~ 現) |
민주우 3차 내각 | 2020년 6월 1일 ~ 2020년 12월 21일 |
204일 (통산 269일) |
도유수도시 | 새로운시민당 | [22][23] | |
14 | 13 | ![]() |
라버 마르코 阿拉語 Labeo Marco (1953 ~ 現) |
라버 마르코 내각 | 2021년 1월 15일 | 1일 | 도유수도시 | 열린월본당 | [24][25][26] | |
15 | 14 | ![]() |
모창민 牟昌民 Moh Changmin (1983 ~ 2021) |
모창민 2차 내각 | 2021년 1월 15일 ~ 2021년 1월 19일 |
5일 (통산 98일) |
도유수도시 | 월본의힘[27] → ![]() |
[29][30][31][32] | |
16 | 15 | ![]() |
나의재 娜義財 Na Eujae (1987 ~ 現) |
나의재 내각 | 2021년 1월 19일 ~ 2021년 1월 26일 |
8일 | 가야국(해운대특별시) | ![]() |
[33] | |
권한대행 | 16 | ![]() |
구창모 具昌謨 Gu Changmo (1979 ~ 現) |
구창모 대행내각 | 2021년 1월 27일 ~ 2021년 2월 25일 |
30일 | 도유수도시 | [34] | ||
17 | 17 | ![]() |
이해수 李海秀 Lee Haesoo (1995 ~ 現) |
이해수 내각 | 2021년 2월 25일 ~ 2021년 4월 12일 |
46일 | 도유수도시 | [35] | ||
권한대행 | 18 | ![]() |
이승배 李昇培 Lee Seungbae (1995 ~ 現) |
이승배 대행내각 | 2021년 4월 13일 ~ 2021년 5월 24일 |
41일 | 도유수도시 | [36] | ||
18 | 19 | ![]() |
구창모 具昌謨 Gu Changmo (1979 ~ 現) |
구창모 3차 내각 | 2021년 5월 25일 ~ 2021년 8월 31일 |
100일 (통산 324일) |
도유수도시 | [37] | ||
19 | 20 | ![]() |
전영록 全永祿 Jeon Yeongrok (1954 ~ 現) |
전영록 내각 | 2021년 9월 1일 ~ 2021년 11월 30일 |
92일 | 청하부 | [38] | ||
20 | 21 | ![]() |
하성일 河成日 Ha Seongil (1954 ~ 現) |
하성일 내각 | 2020년 12월 1일 ~ 2022년 1월 11일 |
41일 | 도유수도시 | ![]() |
[39] | |
21 | 22 | ![]() |
Mirai(미라이) 未來 Mirai (1970 ~ 現) |
Mirai 내각 | 2022년 1월 11일 ~ 2022년 2월 6일 |
27일 | 도유수도시 | [40] | ||
22 | 23 | ![]() |
윤교익 尹橋益 Yoon Gyoik (1964 ~ 現) |
윤교익 1차 내각 | 2022년 2월 6일 ~ 2022년 3월 1일 |
24일 | 도유수도시 | [41] | ||
권한대행 | 윤교익 대행내각 | 2022년 3월 1일 ~ 2022년 3월 9일 |
9일 (통산 33일) | |||||||
23 | 윤교익 2차내각 | 2022년 3월 9일 ~ 2022년 4월 29일 |
53일 (통산 86일) | |||||||
24 | 24 | ![]() |
타츠바나 요쿠온 立花玉恩 Tatsubana Yokuon (1967 ~ 現) |
타츠바나 요쿠온 내각 | 2022년 5월 6일 ~ 현재 |
현직 | 청하부 |
여담
- 역대 최장기 임기 총리는 구창모이며, 294일(권한대행 시기 포함시 324일)간 총리직을 지냈다. 그 다음으로는 민주우이며, 269일간 총리직을 지냈다. 3번째는 하재성이며, 189일간 총리직을 지냈다.
- 연임에 성공한 총리는 구창모, 하재성, 민주우, 모창민 총 4인이다.
- 가장 많은 총리 및 권한대행을 배출한 정당은 자유민주당이며, 총 7명(구창모, 모창민, 육성준, 나의재, 이해수, 이승배, 전영록)을 배출했다. 그 다음으로는 월본민주당이 총 3명(민주우, 정문석, 한성훈)을 배출하여 2번째로 많다.
- 단 한번이라도 중도에 사퇴한 적이 없고 온전히 임기를 마친 적이 있는 총리 및 권한대행은 총 4명(구창모, 하재성, 정문석, 한성훈)이 있다.
- 가장 많은 총리를 배출한 지역은 도유수도시이다.
역시 수도권 편중현상은 심하다 - 가장 많은 총리를 배출한 대학은 도유대학교이며, 총 6명(나호진, 구창모, 모창민, 이해수, Mirai, 윤교익)을 배출하였다. 그 다음으로 많이 배출한 대학은 청하대학교이며, 총 2명(이성하, 전영록)을 배출하였다.
각주
- ↑ 직선제 하 선출 총리, 2017년 11월 19일 임기 중 자진사퇴
- ↑ 직선제 하 선출 총리, 첫 연임 총리, 첫 정당 소속 총리
- ↑ 3대 총리 임기 중 총리 간선제 개헌, 2018년 7월 의회해산 및 자진사퇴
- ↑ 2018년 11월 의회해산 및 자진사퇴
- ↑ 2018년 11월 15일부터 11월 18일까지 자유미래당과 연정
- ↑ 2019년 1월 실종, 월본 긴급조치1호 발동에 따라 해임
- ↑ 임기 중 총리 직선제 개헌
- ↑ 2019년 2월 의회해산 및 자진사퇴
- ↑ 마지막 직선제 하 선출 총리
- ↑ 2019년 2월 21일부터 3월 1일까지
과 연정
- ↑ 2019년 3월 1일 2019년 2~3월 월본 정치 위기로 인한 자진사퇴
- ↑ 임기 중 총리 간선제 복귀, 2번째 연임 총리
- ↑ 2019년 9월 의회해산 및 자진사퇴
- ↑ 2019년 11월 29일 월본-하나국 디자인 분쟁으로 인한 자진사퇴
- ↑ 2019년 12월 4일 ~ 2020년 1월 12일
- ↑ 2020년 1월 12일 ~ 2월 16일
- ↑ 부총리로서 권한대행직 수행
- ↑ 2019년 12월 4일부터 2020년 1월 12일까지
과 연정
- ↑ 2020년 1월 12일 월본太步당-
합당에 따른
이적
- ↑ 2020년 2월 17일부터 4월 23일까지
과 연정
- ↑ 2020년 4월 23일 대UVN 협상 논란 및 개혁 침체 논란으로 인한 의회해산 및 자진사퇴
- ↑ 2020년 7월 2일부터 10월 14일까지 국황사 5개조항 선언으로 인한 직무정지
- ↑ 2020년 12월 21일 운영중단 선언으로 인한 자진사퇴
- ↑ 2021년 1월 15일부터 15일까지
, 월본의힘과 연정
- ↑ 역대 최단명 총리(1일 임기)
- ↑ 2021년 1월 15일 자진사퇴
- ↑ 2021년 1월 15일 ~ 18일
- ↑ 2021년 1월 18일 ~ 19일
- ↑ 2021년 1월 15일부터 18일까지 열린월본당,
, 경동당과 연정
- ↑ 2021년 1월 18일
-월본의힘 합당에 따른
이적
- ↑ 2번째 최단명 총리(5일 임기)
- ↑ 2021년 1월 19일 자진사퇴
- ↑ 2021년 1월 26일 2021년 1월 월본 정국으로 인한 국회해산 및 자진사퇴
- ↑ 부총리로서 권한대행직 수행
- ↑ 2021년 4월 12일 자진사퇴(탈퇴)
- ↑ 관방장관으로서 권한대행직 수행
- ↑ 2021년 8월 18일 의회해산 및 자진사퇴 선언, 8월 31일 임기만료
- ↑ 2021년 9월 1일부터 도유의시민들과, 11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와 연정
- ↑ 2022년 1월 11일 자진사퇴
- ↑ 2022년 2월 6일 자진사퇴
- ↑ 2022년 4월 29일 자진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