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
개발 디스코드 • 미니 갤러리 • ![]() |
세계 대전 | ||||||
1914 ~ 1917 제1차 세계 대전 |
1917 심판의 날 |
1918 ~ 1940 전간기 |
1941 월면전쟁 |
1942 ~ 1949 제2차 세계 대전 |
1953 ~ 1956 지구-화성 전쟁 | |
관련 문서: 백년전쟁 | 나폴레옹 전쟁 | 대공황 | 2차 월면전쟁 | 대아대전 |
대아대전 Great Asian War | |||||||
---|---|---|---|---|---|---|---|
![]() 타이베이의 대한제국 국군 | |||||||
| |||||||
교전국 | |||||||
북부군 |
| ||||||
지휘관 | |||||||
|
|
개요
대아대전은 2차 세계대전의 일부로 1942년 중국 공산당과 북부군의 전쟁선포 이후 1947년 대한-일본 이중제국의 북부군 공격 이후로 1952년의 현 시점까지 계속되고 있는 전쟁이다.
북부군 축출 이후로도 계속 주둔하며 중국에서 전쟁 수행을 계속하는 이중제국과 중화민국의 마찰이 계속되면서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화북 전역'이라는 말로도 불렸지만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상세
이회영 내각 체제의 최대 실책으로, 전쟁이 수렁에 빠지기 시작하면서 대한-일본 이중제국은 장기적인 국력침체와 내부 분열에 직면하게 되었다. 국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대중(對中)전선의 확대는 심각한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을 초래하였다. '전투는 이기지만 전쟁을 끝내지는 못하는' 늪에 빠져버린 이중제국은 그 과정에서 속출하는 전사자와 천문학적인 액수, 국방비 지출로 심각한 재정적자에 시달리게 되었고 중국 대륙에서 이중제국의 여론은 최악으로 치닫았다.
대한제국은 북부군의 격퇴로 최소한의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했지만 이전에 벌인 문제들이 너무나 많아 수습이 거의 불가능했고, 1948년 단성사 저격사건으로 융희황제가 동면관에서 혼수 상태에 빠지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전개 과정
종전 이후
어록
ㅡ스기야마 하지메 요동지구 군정사령관
ㅡ장쭤린
ㅡ김을동 지구국제연합 대한제국 대사
ㅡ송하나 대위
ㅡ김을동 지구국제연합 대한제국 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