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오펜시브 확장 유니버스에 등장하는 기업들을 정리해놓은 문서.
군산복합체
가일란트 코퍼레이션 (Gailant Corporation)
자세한 내용은 가일란트 코퍼레이션 문서 참고.
가일란트 연방보안군 (Gailant Federal Security Army)
자세한 내용은 가일란트 연방보안군 문서 참고.
에티즈 정밀 공업 (ETZ Precision Industry)
DRIFTING_LIGHTS에 등장하는 기업.
자세한 내용은 에티즈 정밀 공업 문서 참고.
복합기업
테라 그룹 (Terra Group)
자세한 내용은 테라 그룹 문서 참고.
공업/공학
쿼드라 테크놀로지 (Quadra Technology)
자세한 내용은 쿼드라 테크놀로지 문서 참고.
페트로픽 나노테크 (Phetrofic Nano Tech)
자세한 내용은 페트로픽 나노테크 문서 참고.
스네오즈 테크놀로지 (Sneoz Technology)
자세한 내용은 스네오즈 테크놀로지 문서 참고.
칼레이도스코프 (Kaleidoscope)
연방에서 가장 거대한 제철소를 운영하고 있는 러시아 계열의 철강 기업. 1900년대에 설립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제 3차세계대전 당시 러시아 정부의 최측근 기업으로 활동했었던 전적이 있다. 때문에 전범 기업이라는 프레임으로 인해 몰락의 길을 겪었으나 센트럼 연방 수립 이후 연방 정부를 도와 재건 사업에 앞장섰던 적이 있어 이미지를 회복하여 지금의 자리까지 올라서게 되었다.
첸소노프 공업 (Chensonov Industry)
첸소노프 공업 Chernsonov Industry | |
![]() | |
![]() | |
정식 명칭 | Chernoshnov General Industrial Company |
한국어 명칭 | 첸소노프 종합 공업회사 |
설립일 | 1999년 |
업종 | 정밀 기계 공학, 기계 공학, 전기 공학 |
직원 수 | 289,000명 |
회사 가치 | 18억 3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유토바니아, 니케프 |
동유럽 계열 종합 공업 회사로서, 주로 첨단 산업에 집중하고 있지만 철강, 일반 공업에서도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는 대기업. 3차 세계 대전 전에 설립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회사로 이전에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었다. 현재 본사 소재지는 니케프.
레이텔스 바이오텍 (Laytels Biotech)
보이드러너:더 퓨지티브에 등장하는 기업.
연방에 몇 없는 바이오 연구 기업으로 주로 줄기세포 관련으로 연구하고 개발하는 기업이다. CEO 및 회장이자 설립자는 노먼 카발리니로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장애가 없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기업이다. 줄기세포를 통해 손상된 신경을 치료하여 사이버웨어 없이도 반신불구를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이는 설립자인 하반신 불구인 노먼 카발리니가 심각한 네크로틱스 저항률 때문에 사이버웨어를 장착할 수 없어 설립된 기업이기도 하다.
과거 노먼이 바이오웨어의 최정점인 인페르노 프로젝트의 최고 관리자, 허버트 드레드스톤과의 인연을 통해 자신의 장애를 고치고자 했으나 드레드스톤은 노먼의 도움을 무시했고 이로 인해 만들어진 기업이다. 그러나 노먼의 지나치게 강박적인 집념으로 인해 겉으로는 장애를 극복하자는 선한 목적 의식에 반해 기업 내적으로는 목적을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기업이다. 가일란트 코퍼레이션 해체 이후, 노먼은 용병들을 고용해[1] 호송 중이던 인페르노 프로젝트의 잔재를 습격하라고 지시했으며 모모스 혈청을 탈취한 나오미를 찾기 위해 선을 과하게 넘을 정도로 동네를 휘어잡았다.
엔 메써즈 (nMethods)
엔 메써즈 nMethods | |
![]() | |
![]() | |
정식 명칭 | nkephalinz Methods |
한국어 명칭 | 엔 케펄린즈 메써즈 |
설립일 | 2013년 |
업종 | 생명 공학, 제약 |
직원 수 | 11,000명 |
회사 가치 | 6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유토바니아, 노카이아란 |
생명 공학을 접목하여 인체 친화적인 약품을 연구, 개발하고 있는 제약사. 용병들끼리의 전투로 사상자가 속출하고 있는 이스카야 소속 지역들을 상대로 인도주의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 안팎의 여론이 상당히 좋으나, 용병 시장의 연락책에 의하면 PMC들로 노숙자들을 구조라는 명목으로 데려가는가 하면 몰래 유독성 화학 물질을 수송하는 등 구린 구석이 한둘이 아니라는 모양이다.
베즈넥 머신스 (Veznek Machines)
베즈넥 머신스 Veznek Machines | |
![]() | |
![]() | |
정식 명칭 | Veznek Future Machines |
한국어 명칭 | 베즈넥 퓨처 머신즈 |
설립일 | 2017년 |
업종 | 정밀 기계 공학, 일반 기계 공학, 철강 |
직원 수 | 12,000명 |
회사 가치 | 9천 5백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아멜리아, 니케프 |
철강 생산을 주로 하는 공업사로, 이곳에서 생산하는 경량 고강도 합금들의 품질이 굉장히 좋아 각종 건설 및 제조사들로부터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고 하며 아예 본인들 합금으로 자체적으로 정밀 기계를 생산하는 등 매서운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총기 제조사인 코빈 아머리와 협업 관계에 있으며, 이때문에 ERSC의 장비들 중 베즈넥의 부품을 쓴 것들이 적지 않다고.
이동수단 제작회사
세계관에 등장하는 이동수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동수단 문서 참고.
이그너스 (Ignus)
고가의 슈퍼카, 스포츠카만 취급하는 연방 최고의 스포츠카 생산 기업 중 하나다. 연방에서 제일가는 슈퍼카 기업으로서 연방에서 대표적인 슈퍼카의 상징인 브랜드다. 특유의 미래지향적이며 남성적인 직선 위주의 샤프한 디자인으로 유명하며 때문에 주로 남성들에게 인기와 인지도가 매우 높다.
조루쏘 (Zorrusso)
2040년에 설립된 자동차 제조 기업. 연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저가형 차량 제조 기업이지만 그 중에서도 나름 가격대가 있는 상위권 차량들을 뽑아낸다. 그 뿐만이 아니라 스포츠카에도 진출하여 제조 중이다.
머스탱 (Mustang)
1993년에 설립된 자동차 제조 기업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차종을 만들지만 센트럼 연방 설립 이후 미래지향적인 머슬카인 '도미네이터'가 성공하여 현재 머슬카를 주력으로 밀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모티브는 '포드 머스탱' 그 자체.
보르텍스 (Vortex)
2029년에 설립된 자동차 제조 기업으로 CEO는 고든 마셜. 주로 중저가형 전기차들을 위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연방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전기차 브랜드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에센시아 (Essentia)
에센시아는 1957년에 설립된 영국계의 최고급 수공 자동차 브랜드다. 연방에서 가장 호화롭고 비싼 차량을 취급하며 연방에서 손꼽히는 부자들만 이 차를 구매하고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수준 높은 차량만 생산한다.
볼리에크론 (Boliecron)
볼리에크론 Boliecrone | |
![]() | |
![]() | |
정식 명칭 | Boliecron Motors |
한국어 명칭 | 볼리에크론 모터스 |
설립일 | 1978년 |
업종 | 차량 제조사 |
직원 수 | 21,000명 |
회사 가치 | 4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유토바니아, 노카이아란 |
테리즈 (TERIZ)
테리즈 TERIZ | |
![]() | |
![]() | |
정식 명칭 | TERIZ |
한국어 명칭 | 테리즈 |
설립일 | 2008년 |
업종 | 차량 제조사 |
직원 수 | 17,000명 |
회사 가치 | 3천 5백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유토바니아, 노카이아란 |
4~6인용 왜건, 승합차, 상업용 트럭 등 비산업 대형 수송 차량에 특화된 연방에서 몇 안 되는 기업 중 하나이다. 주로 상업용 트럭들이 주를 이루지만 서민용 차량들도 적지 않고 군용 차량들도 가끔 가다 내놓곤 했다. 연비가 살짝 안 좋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저가인데다가 성능도 나름대로 준수해 서민과 PMC한테 인기가 좋다. 다만 이스카야 사태 이후로 인근 지역 한정으로 인식이 살짝 나빠졌다는 모양.
조인빌트 (Zoinbuilt)
대형 트럭이나 중장비들을 위주로 만드는 업체. 중장비 차량 제조업체 중에서는 가장 유명하고 거대한 업체로서 공사장에 가면 조인빌트 사의 중장비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밀리몬트 (Millimont)
밀리몬트 Millimont | |
![]() | |
![]() | |
정식 명칭 | Millimont Motor Vehicle Company |
한국어 명칭 | 밀리몬트 차량 공업사 |
설립일 | 2063년 |
업종 | 차량 제조사 |
직원 수 | 34,000명 |
회사 가치 | 6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유토바니아, 유토바니아 |
센트럼 연방의 국영기업 중 하나. 군용 수송 차량, 장갑차, 전차 등을 생산하는 군수업체 겸 차량 제조사. 그러나 시민들도 구매할 수 있는 일반적인 차량은 2071년에 내놓은 2대의 세단을 제외하면 단 하나도 없고 전부 군용 차량들이다. 민간군사기업인 ETZ에서 사용하는 장갑차, 고기동 차량들 중 일부는 밀리몬트로부터 라이센스를 받아 생산한다고 한다.
아니스 (Annis)
중저가 보급형 차량 제조업체.
다이카 (Daika)
중저가 보급형 승용차 제조업체. 일본계 기업으로 저렴하고 접근성이 좋은 차량을 주로 생산한다. 일본계 기업인데도 품질이 매우 떨어져 오죽하면 'Die ca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다.
파지오 (Pazio)
저렴한 오토바이 제조업체. 주로 스쿠터를 위주로 만든다.
아이언클래드 (Ironclad)
현실의 할리 데이비슨처럼 바이크 제조사들 중에서는 압도적인 위상과 인기를 보유 중이다. 바이크 제조사 자체의 상품성과 가치가 매우 높다. 주로 크루저 형태의 바이크를 만들며 역사만 100년이 넘어가는 깊이 있는 기업이다.
무기 제조사
체이택 암즈 (Cheitac Arms)
체이택 암즈 Cheitac Arms | |
![]() | |
![]() | |
정식 명칭 | Cheitac Arms |
한국어 명칭 | 체이택 암즈 |
설립일 | 1999년 |
업종 | 총기 제조사 |
직원 수 | 47,000명 |
회사 가치 | 7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 ??? |
주로 미국의 AR-15 계열 총기를 생산하지만 불펍이든 뭐든 다루지 않는 총기가 없을 정도로 많은 분야의 총기를 생산한다. 회사다. 주로 화약식 총기류를 만들지만 레일건이나 광학 병기, 플라즈마 병기 등을 제조하며 진보된 기술 분야에서 선구자 취급을 받고 있다. 오죽하면 가일란트 연방보안군에서 체이텍 암즈의 무기를 구입해 쓸 정도.
코빈 아머리 (Korbin Armory)
코빈 아머리 Korbin Armory | |
![]() | |
![]() | |
정식 명칭 | Korbin Armory |
한국어 명칭 | 코빈 아머리 |
설립일 | 2001년 |
업종 | 총기 제조사 |
직원 수 | 45,000명 |
회사 가치 | 1억 2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 ??? |
총기 제조사. 주로 AR-15 계열 총기를 제조하고 있으며 지금은 사라진 H&k 사의 총기를 생산하는 것도 도맡아 하고 있다. 철강 및 정밀 기계 공업 회사인 베즈넥과 협업 관계에 있다. 제품의 품질 또한 체이텍 암즈만큼은 아니지만 뛰어난 편이며 더불어 가성비까지 잡아 센트럼 연방군과 ERSC에서 제식 무기로 코빈 사의 무기를 채택했다.
체르체소프 (Cherchesov)
크라스나야 유토바니안과 함께 AK 계열 총기의 양대 산맥. 상황에 따라선 다른 부류의 총기도 생산하는 크라스나야 사와 달리 체르체스포는 아예 순수 AK 계열의 총기만 취급한다.
크라스나야 유토바니안(Krasnaya Yutovanian)
크라스나야 유토바니안 Krasnaya Yutovanian | |
![]() | |
![]() | |
정식 명칭 | Krasnaya Yutovanian |
한국어 명칭 | 크라스나야 유토바니안 |
설립일 | 1976년 |
업종 | 총기 제조사 |
직원 수 | 56,000명 |
회사 가치 | 1억 4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유토바니아, 유토바니아 |
체르체소프와 함께 AK 계열 총기의 양대 산맥. 1976년에 시작된 오랜 역사를 가진 총기 회사지만 이 회사의 전신이 3차 대전 동안 러시아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던 크라스나야 사인지라 서방계 지역에서는 인식이 안 좋은 경우도 많다고. 현재는 유토바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AK 계열 총기를 위주로 생산하지만 AR-15 계열 총기를 생산한 적도 몇 번 있었다.
아키라 중공업 (Akira Heavy Industries)
일본계 무기 제조사. 하지만 총기류들 중에서는 상당히 저평가 받는 제조사지만 도검류와 같은 근접 무기 중에서는 가히 압도적인 위상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단분자 커터 기술을 처음으로 시연하는데 성공한 기업으로 '히트 블레이드'를 상용화시킨 기업이다. 일본 제조사인만큼 대표 제품으로 카타나 형식의 무기를 제조하며 사이버웨어에 장착할 수 있는 무기도 제조한다.
겔리옴 인더스트리 (Gelium Industry)
중화기 분야의 강자 제조사. 화력 뿐만 아니라 정밀성도 매우 신경쓰며 주로 경기관총, 중기관총, 군용 중화기 무기를 제조한다.
펜리르 암즈테크 (Fenrir Arms Tech)
쇼군 (Shogun)
일본계 무기 제조사로 가장 최근인 2065년에 설립된 회사다. 사이버펑크 세계관에서 쌍열 산탄총으로 처음 모습을 보였으며 현재는 단순히 무식하고 엄청난 화력만을 강조하는 회사다. 때문에 주로 만드는 총기들을 보면 샷건이나 고구경의 기관총, 화염방시기 등을 제조한다.
사이버웨어 및 컴퓨터 제조사
포르테시 사이버트릭스 (Portesi Cybertrics)
포르테시 사이버트릭스 Portesi Cybertrics | |
![]() | |
![]() | |
정식 명칭 | Portesi Cybertrics inc. |
한국어 명칭 | 포르테시 사이버트릭스 |
설립일 | 2011년 |
설립자 | 빌 메이어 |
CEO | 빌 메이어 |
업종 | 사이버웨어 제조 및 판매 |
직원 수 | 40,806명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플로레타, 락포드 |
2011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사이버웨어 전문 개발 및 제작 기업이다. 연방에서는 나름 최고로 손꼽히는 고가 고성능 사이버웨어 제조사로 전투 및 산업용 사이버웨어로 시작하여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판매하는 기업이다. 사이버웨어를 패션의 한 부분으로도 받아들이게 하여 시장을 넓힌 일등공신 기업.
블랙스미스 (Blacksmith)
군용 사이버웨어 제조사. 군용을 주로 생산하는 만큼 화력과 전투에 집중된 사이버웨어를 생산한다. 주요 고객은 센트럼 연방군이나 각종 민간군사기업 등 전투와 관련된 모든 단체에게 생산 및 판매한다. 군용 사이버웨어 제조업인데도 매우 고가 고성능, 그리고 연방 굴지의 뛰어난 트랜스닥터들이 모여있어 네크로틱스 발헌 확률이 적은 것도 특징이다. 전투용 사이버웨어 중에서는 하이엔드급 기업.
하야시 옵틱스 (Hayashi Optics)
광학 장비 전문 제조사. 광학 장비류에서는 현재까지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다. 연방 이곳저곳 홀로그램 광고판들 대부분이 하야시 사의 작품이며 인공 안구를 장착한 대부분 인물들이 하야시 사의 제품을 장착했다. 그만큼 고성능 장비를 제조하면서도 가격도 저렴해 매우 인기있는 기업이다.
코니칼 (Conical)
골격 사이버웨어 제조사.
소매점/상점
365플러스 (365+)
편의점 사업으로 유명한 365+는 강도 사건이 매우 높은 편의점이다. 어떤 해에는 연방에서 365+ 편의점 지점마다 무장 호위대를 배치한 적도 있다고 한다.
24/7
편의점
식음료
킹스버거 (King's Burger)
킹스버거 King's Burger | |
![]() | |
![]() | |
정식 명칭 | King's Buger inc. |
한국어 명칭 | 킹스버거 주식회사 |
설립일 | 2055년 |
업종 |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
실존하는 기업인 '버거킹'을 모티브로 한 햄버거 프랜차이즈.
멜로우-콜라(Mellow-cola)
멜로우-콜라 Mellow-Cola | |
![]() | |
![]() | |
정식 명칭 | Mellow-Cola Company |
한국어 명칭 | 멜로우-콜라 컴퍼니 |
설립일 | 2065년 |
업종 | 음료수 제조업 |
실존하는 기업인 '코카 콜라'를 모티브로 한 음료수 제조 기업.
이타베 (Itabe)
이타베 Itabe | |
![]() | |
![]() | |
설립일 | 2064년 |
CEO | 우르술라 레코바 |
업종 | 식품점 체인 운영 및 프랜차이즈 |
지역 내에서 멕시코식 요리로 이름을 떨치던 여주방장 우르술라 쉐프가 질 좋은 블루 아가베를 재배하는 데 성공하여 데킬라를 주조하게 되자, 자신의 멕시코 요리 레시피들을 개조하여 2063년에 1호점을 개업했다.맵고 달고 짠 우르술라 식 멕시코 요리와 강렬한 향과 도수의 데킬라가 혼란스런 세계에서 지쳐 있던 연방 주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게 되며 이타베는 승승장구한다. 그러나 갱단이 데킬라를 마시고 도로에서 치킨 게임을 하는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어 가일란트 코퍼레이션에서 데킬라 판매를 통제하려고 했으나, 회장인 우르술라가 특제 제조한 데킬라와 거액의 상납금으로 로비를 시도하였다. 특제 데킬라 슬래머를 맛본 간부들은 이타베를 향한 데킬라 통제 법안을 없던 것으로 하고 폐기시켰다.
온니 원 바이트 (O.O.B)
다른 음식 기업들과 달리 캡슐형 음식을 개발하고 유통하는 기업. 원래는 제 3차세계대전 당시 전투 식량을 만들던 기업으로 시작했으며 전쟁 당시 맛은 모두 포기하고 순수히 '빠르게 먹을 수 있고 빠르게 많은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음식'에 포커스를 맞춰 개발했다. 때문에 나온 것이 바로 이 기업의 주요 상품인 '캡슐 푸드'. 크기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한 입에 넣을 수 있는 크기에 영양분은 한 끼 수준으로 많이 함량 되어 있다. 또한 높은 당분,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간 보관도 용이하다.
다만 정말 말 그대로 효율성의 극치이기 때문에 맛은 최악 수준이다. 정말 단순하게 짭짤하다가 전부이며 효율성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미적 요소는 모두 배제한 모양이다. 그나마 전쟁이 끝나고 혼란이 종식되고 난 이후로부터 점점 맛에 집중하여 먹을만한 캡슐 푸드가 많이 만들어 졌다.
머거바 (Muguba)
한국 계열 음식 프랜차이즈. 뜻은 발음 그대로 '먹어봐'.
금융/은행
뱅크 오브 센트럼 (Bank of Centrum)
연방에서 가장 커다란 은행이자 센트럼 연방의 종합 금융사. 상업은행 중 한 곳으로 이 기업의 대표적인 신용카드가 바로 센트럼 연방 내에서 널리 쓰이는 카드다.
퍼시피카 중앙 은행 (Pacifica Central Bank)
센트럼 연방 전역에서 신용 결제 60%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최대 규모의 전산이체 네트워크 업체.
유니언 금융 (Union Finance)
유니언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한 상업 은행.
아사카와 (Asakawa)
아사카와 Asakawa | |
![]() | |
![]() | |
정식 명칭 | Asakawa finance |
한국어 명칭 | 아사카와 금융 |
설립일 | 2051년 |
업종 | 금융회사 |
전자제품
한성 (Han Sung)
네디스 전자 (Nedis Electronics)
네디스 전자 Nedys Electronics | |
![]() | |
![]() | |
정식 명칭 | Nedistrate Electronics |
한국어 명칭 | 네디스트레이트 전자 |
설립일 | 2069년 |
업종 | 반도체, 가전제품 제조업 |
직원 수 | 27,000명 |
회사 가치 | 1억 3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아멜리아, 헬리아 |
상대적으로 신생인 반도체, 가전제품 제조 회사. 준수한 수명과 성능, 적절한 가격까지 더해진 가성비 제품들을 주력으로 밀고 나가며 빠른 성장을 이뤘으나, 중견 대기업이자 후술할 기업인 에조노프 전자와의 경쟁에서는 뒤쳐졌다. 또한 헬리아의 치안 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갖가지 사건 사고로 인한 손해도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에조노프 전자 (Ezonov Electronics)
에조노프 전자 Ezonov Electronics | |
![]() | |
![]() | |
정식 명칭 | Ezonov Electronics |
한국어 명칭 | 에조노프 전자 |
설립일 | 2015년 |
업종 | 반도체, 가전제품 제조업 |
직원 수 | 242,000명 |
회사 가치 | 5억 7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아멜리아, 소크란드 |
2015년부터 이어져온 중견 대기업. 생산하는 제품들의 가격이 꽤 나가는 편이고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내구성이 좀 별로지만, 그 단점을 압도적인 성능으로 보완한다. 특히나 마케팅이 잘 이루어져 회사 제품을 꾸준히 구매하는 고정 고객층도 있고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다른 신생 기업들을 다수 합병해오며 규모를 키워왔다. 뉴트리지, 특히 이스카야에서 유통되는 스마트폰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들은 부품은 다른 회사 것이 들어갔을지언정 에조노프 전자에서 생산한 것들이 주를 이룬다.
미디어/방송사
유니비전 스튜디오 (Univision Studio)
센트럼 연방 4대 지상파 방송국 중 하나. 특히나 유니비전 스튜디오는 4대 지상파 방송국들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광범위한 방송을 다루는 곳이다. 다른 4대 지상파 방송국들과의 차이점이라면 유니비전 스튜디오는 거의 유일하게 센트럼 연방 전역에서 동시 총술되는 방송으로서 일부 방송사들도 연방 전역 방송을 취하고 있으나 아직까진 유니비전 스튜디오 수준으로 연방 전역 송출을 이뤄낸 기업이 없을 정도로 독점하고 있다. 또한 한 분야에서 가장 거대한 기업들 중에서 사건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기업은 거의 없는데, 유일하게 유니비전 스튜디오만은 그 어떠한 사건사고나 논란을 일으킨 적 없는 가장 청렴한 기업으로 알려져있다. 때문이 이들의 좌우명 또한 '깨끗하게, 정확하게, 신속하게'.
극우 또는 극좌인 다른 언론사들과 달리 그나마 중립을 열심히 지키며 보도하고 뉴스를 제보한다.
여담으로 오펜시브 프로젝트 팀이 활동하는 디스코드 서버에서 24시간 음악을 틀어주는 무대 채널이 있는데, 이 채널 이름이 유니비전 스튜디오다.
IBA 뉴스 (IBA news)
진보 성향을 강하게 띄는 센트럼 연방 4대 지상파 방송국 중 하나.
타임리 뉴스 (Timely News)
보수 성향을 강하게 띄는 센트럼 연방 4대 지상파 방송국 중 하나.
데일리 위즐 (Daily Wizzle)
아젠다:온 더 레코드에 등장하는 방송국. 말이 방송국이지 가끔 실시간 방송 속보를 전하기도 하지만 주로 인터넷 기사를 위주로 올리는 규모가 작은 언론사다. 아젠다:온 더 레코드의 주인공인 레나 로메이가 바로 데일리 위즐에 소속된 기자다.
터미널 9 (Terminal 9)
센트럼 연방 전역 범위로 활동하는 몇 안되는 신문사. 심지어 종이 신문도 만들지만 그렇게 많이 만들진 않고 디지털 북을 기반으로 한 신문을 만든다. 한마디로 인터넷 미디어 뉴스. 하지만 그럼에도 신문사를 표방하고 있는 걸 보면 종이 신문도 나름 잘 나가는 듯 하다.
보험 및 의료
온셋 메디컬 인터내셔널 (ONSET Medical International)
자세한 내용은 온셋 메디컬 인터내셔널 문서 참고.
의류/패션
페르세우스 (PERSEUS)
연방에서 최고의 품질과 고가의 가격을 자랑하는 명품 의류 브랜드. 가장 저렴하다고 내놓은 제품의 가격만 15000달러를 넘어간다. 한화로만 대략 1300만원 이상.
에이스&피터 (Ace & Peter)
주로 산악용 의류를 만드는 브랜드. 세르지오가 쓰고 다니는 비니가 바로 이 브랜드의 비니다.
버킹엄 (Buckingham)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비싼 고급 의류 브랜드. 페르세우스의 경쟁사로 팬티 한 장의 가격이 만 달러를 넘어갈 정도로 사치품을 판다.
로메오지스 (Romeoziss)
고급 의류 브랜드. 하지만 디자이너 옷답게 화려한 디자인의 옷을 주로 낸다. 스트릿 패션 코디로 어울리는 브랜드.
보안업체/민간군사기업
콜리브리 (Colibri)
브란뎀브리츠에서 활동하는 민간군사기업. 센트럼 연방 굴지 최강의 철강 기업으로 손꼽히는 '칼레이도스코프'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는 민간군사기업. 처음엔 칼레이도스코프 사의 제철소나 본사 등의 기업 사유 지역의 보안을 담당하는 일개 부서였으나 치안 유지 사업으로 확장해보겠다는 CEO의 생각으로 분열되어 나온 기업이다. 다른 치안 유지 사업부들과 달리 브란뎀브리츠 일대에선 호평과 명성이 자자하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재난 구역에서의 구호 활동, 부상자 호송 및 응급 구조 등의 봉사에 인적 및 물자 자원을 전혀 아끼지 않는다. 심지어 이 모든 것이 돈을 받은 의뢰가 아닌 기업의 자발적인 구호 활동이라는 것에 명성이 자자하다.
퍼시픽스 보안 자문 업체 (Pacifics Security Consulting)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거대한 PMC 중 하나. 대부분 해병대 및 그에 준하는 특수부대원 출신이기에 특히나 해안 전투 작전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뛰어난 훈련을 받았다. 카일 워커와 채드윅 듀건이 이 곳 출신이다.
블랙가드 (Black Guard)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거대한 PMC 중 하나. 모티브는 실제로 존재하는 블랙 워터 민간군사기업. 다만 연방에서 가장 거대한 PMC라는 명성과 더불어 가장 악명과 비판의 목소리가 많은 PMC다. 아무리 비인도적인 의뢰더라도 돈만 주면 무엇이든 수락하는 기업이다.
HS 시큐리티 (HS Security)
한울 시에서 활동하는 민간군사기업으로 KIN 사의 개인 보안 업체다.
ACOS
DRIFTING_LIGHTS에 등장하는 기업.
자세한 내용은 ACOS 문서 참고.
ERSC
DRIFTING_LIGHTS에 등장하는 기업.
자세한 내용은 ERSC 문서 참고.
뮬라톤 (Mullaton)
DRIFTING_LIGHTS에 등장하는 기업.
자세한 내용은 뮬라톤 문서 참고.
서비스업
익스프레스 캡 서비스 (Express Cab Service)
익스프레스 캡 서비스 Express Cab Service | |
![]() | |
![]() | |
정식 명칭 | Express Cab Service |
한국어 명칭 | 익스프레스 캡 서비스 |
설립일 | 불명 |
CEO | 노비안트 알랑카 |
업종 | 택시 서비스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코프젠펠트, 릴리앙 |
센트럼 연방의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 회사. 본사는 유니언 아일랜드에 위치해있으며 그만큼 유니언 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택시다. 아니스 사의 차량을 택시로 개조해 사용하고 있으며, 검은색 차량에 옆면에는 흰색 격자무늬가 대표적인 모델이다. 과거엔 인간들이 운영했지만 최근들어 인공지능이 조종하는 자동주행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도 생겨났다고 한다.
연방의 택시 서비스업 기업인 '익스프레스 캡 서비스'는 모든 택시 회사 중 가장 비용이 많이 나가는 회사지만 무리한 요구가 아닌 이상 목적지까지 매우 확실하게 가는 신뢰성 높은 기업이다. 어느 한 날은 디베다 코스타 산에서 자동차로 올라갈 수 있는 가장 높은 곳까지 택시 운영을 해본 적이 있는 기업이다.
Z 클린 (Z Clean)
Z 클린 Z Clean | |
![]() | |
![]() | |
설립일 | 2032년 |
CEO | 레슬리 하워드 |
업종 | 청소업체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온타리오, 온타나곤 |
2023년에 생긴 청소업체로 작은 청소업체였지만 어느순간 급격히 성장해 올해의 기업상도 몇 번 타 본 그런 기업, 수상하게도 청소된 것처럼 논란이 단 하나도 없다. 이름 그대로 청소업체로 주로 거리 환경이나 더러운 건물, 실내를 깨끗하고 위생적이게 청소하지만 뒷 세계에서는 각종 살인청부, 마약밀매, 등 다양한 불법 하청업체들의 사후 처리, 즉 뒷처리 청소한다.
센트럼 연방이 생기고 난 후 치안의 급격한 이변이 생기자, 각종 살인청부, 마약밀매, 등 다양한 불법 하청업체들의 사후 처리, 즉 뒷처리 청소를 주로하는 청소업체. 허나 센트럼 경찰국에 빠른 범죄 제압과 치안 유지에 대한 압도적인 자금으로 인해 급격히 범죄가 줄어들었고 그로 인해, 하청보다 사후 처리가 더욱더 중요해져 하청업체와 청소업체의 갑을 관계가 바뀌게 된다. 그로인해 개인, 혹은 기업들이 범죄 하청을 Z클린에 청탁하고 청소업체에서 하청업체로 하청을 내리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각 지역을 가리지 않으며 심지어 체임벌린 구에서도 각종 범죄의뢰가 들어온다. KIN그룹과 Z클린은 서로 동맹 관계로 서로에게 투자하지만 사실상 "저자식이 죽으면 나도 죽는다."라는 마인드다.
키로시 플라자 (Kiroshi Plaza)
키로시 플라자 Kiroshi Plaza | |
![]() | |
![]() | |
설립일 | 2045년 |
CEO | 애비 키로시 |
업종 | 대형 쇼핑몰 운영업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유네소타, 후토 |
테라 그룹 소유의 대형 쇼핑몰 운영업체. 연방 내에만 566개의 지점이 존재한다. 처음엔 일본계 백화점 기업이었지만 테라 그룹에게 인수되고 본격적으로 사업이 확장되었다. 연방 안에선 제일가는 백화점 기업으로 작은 생필품부터 시작해 고가의 옷이나 보석상점까지 있을 정도로 수많은 브랜드가 이곳에 존재한다.
엠파이어스 써머 (Empire's Summer)
엠파이어스 써머 Empire's Summer | |
![]() | |
![]() | |
설립일 | 2038년 |
CEO | 세바스티앙 슈바이거 |
업종 | 프리미엄 호텔 멤버쉽 서비스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 |
독일계 호텔 서비스로 직역하면 '제국의 여름'.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비싼 최고급 비즈니스 호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업이라고 한다. 1일 묶는 데만 기본으로 몇백만원 단위이며, 여기서 프리미엄 서비스까지 덧대면 천만원을 능가한다고 한다.
나나 (NaNa)
나나 NaNa | |
![]() | |
![]() | |
정식 명칭 | NaNa Hotels & Resorts |
한국어 명칭 | 나나 호텔 앤 리조트 |
설립일 | 2014년 |
업종 | 호텔 서비스업 |
직원 수 | 15,000명 |
회사 가치 | 2억 3천만 달러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아멜리아, 노카이아란 |
이스카야 내에서 가장 많은 점포 수를 보유하고 있는 호텔 브랜드.
건설
벤직스 프라임 (Benzix Prime)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거대한 건설 업체이자 아파트 브랜드. 건축 및 건설에서는 절대 강자 수준의 기업으로서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인 아스테가시아 타워를 지었다.
에이브리 건설 업체 (Avery Construction Corporation)
유니온 아일랜드 서부와 뉴트리지 아일랜드 남서부 일부에서 활동하는 건설 업체.
웨스트빌더스 (West Builders)
웨스트 빌더스 West Buiilders | |
![]() | |
![]() | |
정식 명칭 | West Buiilders Company |
한국어 명칭 | 웨스트 빌더스 컴패니 |
설립일 | 불명 |
설립자 | 조나단 마인더스 |
CEO | 이도언 |
업종 | 건설업 |
본사 소재지 | 센트럼 연방, ??? |
한국 계열의 대규모 건설사. 건물이 아닌 도시 자체를 건설한 경험이 있을 정도로 센트럼 연방에서는 매우 알아주는 건설 회사다.
기타
미드나이트 클럽 (Midnight Club)
센트럼 연방에서 가장 많은 지점과 가장 큰 규모의 나이트클럽 업체.
플레이보이 인조이먼트 (Playboy Enjoyment)
플레이보이 인조이먼트는 각종 성인 화보, 잡지를 만들고 나이트클럽을 운영하는 유흥업 기업이다.
글로벌메이어 픽처스 (Global Mayer Pictures)
영화 제작사.
텔리코 (Telico)
해충 구제 업체.
그랜드라인 매니저먼트 (Grandline Management)
대규모 연예 기획사.
페이프리스 레코드 (Phapeless Records)
대규모 연예 기획사.
엔텍 (ENTEC)
제약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