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현재 세계관의 최대 일자는 2028년 4월 11일입니다.×

 3.67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1대
2027년 3월 3일
제22대
2032년 3월 3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헌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전국동시지방선거 제9대
2026년 6월 3일
제10대
2030년 6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제1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제9회 · 제10회
재보궐선거 추가 예정 추가 예정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추가 예정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부통령직 폐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1차 · 제2차 · 제3차 · 제4차 · 제5차 · 제6차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을 폐지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부 일부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201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했다.
본 템플릿(틀)은 2028년 4월 11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4월 9일
18대 총선
2012년 4월 11일
19대 총선
2016년 4월 13일
20대 총선
투표율: 54.2% (▲ 8.1%p)
선거 결과
새누리 152석 (50.66%)
(42.33%) 127석 민주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새누리당 127석 25석 152석 50.67%
민주통합당 106석 21석 127석 42.33%
통합진보당 7석 6석 13석 4.33%
자유선진당 3석 2석 5석 1.67%
무소속 3석 0석 3석 1%

개요

2012년 4월 11일에 치러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로, 54.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의원 정수는 300명으로 지난 총선보다 지역구 1석이 늘어났지만 새로 신설된 세종시를 선거구에 넣기로 합의한 것을 반영했다. 또 1987년 개헌 이후 최초로 재외국민 선거가 실시되어 재외국민들이 우편 투표가 아닌 공관을 통해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동시에 임기 중 사퇴, 사망 등의 사유로 공석이 된 곳에서 실시하는 재보궐선거도 함께 치러진다.

이 선거에서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자유선진당, 변화당 등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