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현재 세계관의 최대 일자는 2028년 4월 11일입니다.×

 3.67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1대
2027년 3월 3일
제22대
2032년 3월 3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헌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전국동시지방선거 제9대
2026년 6월 3일
제10대
2030년 6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제1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제9회 · 제10회
재보궐선거 추가 예정 추가 예정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추가 예정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부통령직 폐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1차 · 제2차 · 제3차 · 제4차 · 제5차 · 제6차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을 폐지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부 일부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201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했다.
본 템플릿(틀)은 2028년 4월 11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4월 13일
16대 총선
2004년 4월 15일
17대 총선
2008년 4월 9일
18대 총선
투표율: 60.6% (▲ 3.4%p)
선거 결과
우리 151석 (50.5%)
(40.1%) 120석 자유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열린우리당 128석 23석 151석 50.5%
자유당 99석 21석 120석 40.13%
민주노동당 2석 8석 10석 3.34%
새천년민주당 5석 4석 9석 3.01%
자유민주연합 4석 0석 4석 1.34%
변화당 2석 0석 2석 0.67%
국민통합21 1석 0석 1석 0.33%
무소속 2석 0석 2석 0.67%

개요

2004년 4월 15일 실시된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은 지난 총선보다 3.4%p 올라간 60.6%를 기록했다. 의원 정수는 299명으로, 외환 위기가 극복되면서 다시 15대 총선 기준으로 복원되었다. 이 선거부터 비례대표 의석 배분 방식이 1인 2표제로 전환되며 지역구 후보와 비례대표 후보의 교차 투표를 할 수 있게 되었고,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라 선거일이 수요일로 앞당겨지면서 이 것이 목요일에 실시되는 마지막 선거가 되었다.

17대 총선의 최대 이슈는 바로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었으며, 당시 소형 여당이던 열린우리당의 지지를 호소한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새천년민주당의 공조로 탄핵 소추안이 통과되면서 사실상 사회적 파장은 물론 선거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선거 결과, 열린우리당이 151석으로 과반을 확보했고, 자유당이 120석으로 2위를 확보하면서 양당 독주가 이어졌다. 한편 민주노동당이 비례대표 투표를 통해 원내에 입성했고, 변화당과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은 크게 참패했다.

이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자유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노동당, 변화당 등이 참여했다.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