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풍 작전 (서풍):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서풍}}[[분류:서풍/사건]]<div class="WW-bg" style="position:fixed;top:0px;left:0px;width:100%;height:100vh;">[[파일:WW BG 3 BROKEN .png|link=]]</div>
{{서풍/분류|서풍|서풍/사건}}
{{서풍}}<div class="WW-bg" style="position:fixed;top:0px;left:0px;width:100%;height:100vh;">[[파일:WW BG 3 BROKEN .png|link=]]</div>
{{목차 숨김}}
{{목차 숨김}}
<br><br>
<br><br>

2024년 12월 10일 (화) 16:25 판

[ 주요국 목록 ]
[ 설정 목록 ]




OPERATION: WEST WIND
작전명:서풍




인간이란 존재는 선을 추구한다, 하지만 너무 원하지도 않고 항상 추구하지도 않는다. - 조지 오웰

신질서를 두고 마지막 저항이 시작되었습니다.
장막 넘어로 황혼이 드리웁니다.





  • 상세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조차 모호한 전쟁, 21세기 들어 가장 큰 규모와 파괴력을 자랑하는 전쟁. 제2차 조국 수호 전쟁, 또는 대동방 전쟁으로 불리는 이 전쟁은 2033년, 중동 대전과 북극해 군사 충돌 사건의 여파 속에서 발생했다. 당시 러시아는 여러차례의 내,외적인 위기 속에서 블라디미르 푸틴이 유지하던 권력 균형이 무너지고 강경파가 정계에 영햘력을 행사하며 대외팽창으로 국가를 단결시키려 했다. 이에 유럽의 확장이 시작되자 러시아의 군사적 역량을 무력화 시키기 위해 유럽합동군에 참여한 우크라이나군과 발트해 안보 협약은 벨라루스와 동부 우크라이나를 공격하게 된다.

2033년에 시작된 전쟁은 러시아의 강력한 저항으로 전쟁이 확장되며 동유럽 전역을 전선으로 한 대전쟁이 되었다. 주 전선이었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는 전쟁의 참화 속에서 폐허로 변해갔다. 도시와 마을을 잿더미로 만들었으며 수백만 명에 달하는 민간인 사상자와 난민을 발생시켰다. 양국의 인프라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피난민들은 극심한 고통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텨야 했다.

이 전쟁은 단순한 국가 간의 충돌을 넘어선, 경제적 패권과 자원 확보를 둘러싼 치열한 전쟁이었다. 러시아는 자신들의 안보와 경제적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싸웠으며, 우크라이나와 그 동맹국들은 러시아의 확장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했다.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각국의 정치적 지도부는 연이은 협상 실패와 군사적 충돌 속에서 지속적으로 불안정해졌으며, 그 결과 전쟁은 수 년간 이어지게 되었다. 20■■년, 이 전쟁이 종식될 때까지 동유럽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 남았고, 그 잔혹함과 상흔은 전 인류의 역사에 깊이 새겨졌다.


  • 영향

최소 3년에서 최대 10년까지 이어진 전쟁 동안 크고 작은 소모전이 이어졌고 각종 생화학 무기와 무인 병기, 궤도 폭격기까지 동원 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전쟁이 되었다. 협약군과 러시아군 사이의 가장 큰 교전이 일어났던 벨라루스에선 루카셴코 정권이 완전히 무너지고 친서방 / 친러 괴뢰 정부가 집권하게 되었으며 혼란을 이용해 네오 나치 군사조직인 국가구원군이 다시금 세를 찾아 성장하기도 했다.

러시아 군전력이 서부로 이동하게 되며 견제가 사리진 중국은 대만과 동남아시아를 겨냥한 군사 도발을 시작하며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기 시작했다. 이 영향으로 피지와 투발루의 호주 영토 편입에 반발해 중국 해군이 남태평양으로 파견되어 호주와 교전을 치루게 되었으며 그동안 이어지던 미국과 중국과 공조가 끝이나고 유럽에서 불던 피바람은 태평양에서까지 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