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민국 38)/정치/정당

[ 국가 목록 ]
[ 세계관 소개 ]
[ 문서 목록 ]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중화민국의 정당
[ 펼치기 · 접기 ]
| 중화민국의 원내정당
[ 펼치기 · 접기 ]
지위
정당
이념
스펙트럼
주석
입법원 의석수
국민대회 의석수
중국범람연맹
연립
여당
중국 국민당
中國國民黨
삼민주의
자유보수주의
중화사상
중도우파 - 우익 마잉주
903 / 2,250 (40%)
150 / 450 (33%)
중국 국민혁명당
中國革命國民黨
삼민주의
보수자유주의
중화사상
중도 - 중도우파 쑹추위
219 / 2,250 (10%)
55 / 450 (12%)
신임과
보완
홍콩 보수당
香港保守黨
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중화사상
중도우파 - 우익 스태리 리
4 / 2,250 (0.2%)
1 / 450 (0.2%)
대중운동연합
大衆運動聯合
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중화사상
중도우파 - 우익 호얏셍
1 / 2,250 (0.04%)
3 / 450 (0.7%)
중국민주전선
야당
중국 사회당
中國社會黨
진보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중도좌파 - 좌익 리커창
562 / 2,250 (25%)
78 / 450 (17%)
중국 민주당
中國民主黨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중도좌파 - 중도우파 웨이징성
311 / 2,250 (14%)
70 / 450 (16%)
중국 공당
中國工黨
사회주의
유럽공산주의
좌익대중주의
좌익 우룽위안
68 / 2,250 (3%)
16 / 450 (4%)
중국녹색운동
中國社會黨
녹색 정치
생태주의
진보주의
중도좌파 왕찬파
50 / 2,250 (2%)
16 / 450 (4%)
대만 민주연합당
台灣民主聯合黨
진보주의
사회자유주의
대만 지역주의
중도좌파 차이잉원
10 / 2,250 (0.4%)
3 / 450 (0.7%)
홍콩민주연맹
香港民主聯盟
진보주의
사회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중도좌파 - 중도우파 우치와이
9 / 2,250 (0.4%)
2 / 450 (0.4%)
소수민족연합회
야당
좡족공화연합
壯族共和聯合
보수주의
좡족민족주의
자유보수주의
중도우파 - 우익 천우
26 / 2,250 (1%)
2 / 450 (0.4%)
동튀르케스탄 인민당
شەرقىي تۈركىستان خەلق پارتىيىسى
위구르인 민족주의
온건 이슬람 민주주의
자유보수주의
중도우파 레비야 카디르
17 / 2,250 (0.8%)
2 / 450 (0.4%)
티베트 입헌당
བོད་ལྗོངས་ཁྲིམས་འཛུགས་ཏང་
보수자유주의
입헌군주주의
티베트 민족주의
중도우파 - 우익 롭상 상가이
15 / 2,250 (0.7%)
5 / 450 (1%)
내몽골 인민연합당
ᠥᠪᠥᠷ ᠮᠣᠩᠭᠣᠯ ᠤᠨ ᠠᠷᠠᠳ ᠤᠨ ᠬᠣᠯᠪᠣᠭᠠᠨ ᠤ ᠨᠠᠮ
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몽골인 민족주의
중도우파 숍추드 템칠투
3 / 2,250 (0.1%)
1 / 450 (0.2%)
닝샤 이슬람 민주당
寧夏伊斯蘭民主黨
이슬람 민주주의
후이족 민족주의
자유보수주의
중도우파 - 우익 시안후이
2 / 2,250 (0.09%)
1 / 450 (0.2%)
소수민족대표회
小數民族代表會
단일쟁점정당
소수민족 자치권
중화민족주의
좌익 - 우익 천추파
50 / 2,250 (2%)
50 / 450 (11%)

개요

중화민국의 정당 (中華民國之政黨)은 중화민국 행정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합법정당들을 이르는 말로 행정원에서 인가받지 않은 정당들과 불법정당들은 법외정당 혹은 반국가 단체으로 분류된다.[1]

등록 조건 및 현황

중국에서 정당을 설립하려면 몇가지 조건을 퉁족해야 하는데 그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최소 1000명 이상의 당원 (전국구 정당)[2]
  • 당의 강령
  • 1개 이상의 표방하는 사상

또한 해당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정당해산 혹은 정당등록 거부가 가능하다.

  • 내란, 외환, 부패, 강력범죄 전과자가 당의 간부직에 있는경우[3]
  • 당명 혹은 약칭이 차별적이거나 혐오적인 경우, 혹은 타 정당과 햇갈릴 소지가 있는경우
  • 전당대회 혹은 당대표 선거등의 당규모의 행사가 4년이상 열리지 않은경우
  • 4년이상 어떠한 선거에도 출마하지 않은 경우[4]
  • 1년이상 법인을 재등록 하지 않았을 경우

현재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고 정당활동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정당들은 총 36개이며 문서 상단의 표에있는 정당들이 그것이다.

계파

현재 중국의 36개의 정당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크게 몇개의 계파로 분류된다.

범람연맹 - 국민당계 정당

중국 국민당

국민당계 정당의 알파이자 오매가로 1919년 창당된 국민당계 정당의 시초이자 중화민국의 역사 그 자체라고도 볼 수 있는 정당이다. 주로 원난, 쓰촨, 저장성과 광둥성 외곽, 광시 좡족 자치성내 한족 거주지등 중국 남부지역과 칭하이 동부, 내몽골등 서부지역에서 주로 지지를 받는다. 삼민주의, 자유보수주의, 중화사상을 추구하는 보수주의 중도우파 - 우익 정당이며 현재 집권여당이다. 현임 당주석은 마잉주이다.

중국 국민혁명당

1957년 장제스의 독재에 반발한 국민당 좌파들이 집단 탈당하여 만든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가 68년 사회운동 이후 당명을 바꾼 정당이다. 주로 충칭시 일대[5]와 안후이 - 허난 접경지대에서 지지를 받는다.[6] 그러나 지역구보다는 비례의석에서 더 많은 의석을 얻는다. 국민당과 추구하는 가치가 비슷하지만 국민당보다는 왼쪽에 위치해 있으며 자유보수주의 보다는 보수자유주의 성향을 띈다. 중도 - 중도우파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쑹추위이다.

티베트 혁명당

1939년 판다창 랍가가 친 국민당 - 친 중화민국을 내세우며 창당한 정당이다. 캄파 지역이 지지기반이였으며 중국 국민당의 하부조직이였다. 티베트 침공 직후에는 티베트의 여당 역할을 맏기도 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티베트의 지역주의 정당인 티베트 자유당이 창당되고 (현 티베트 입헌당) 달라이 라마 14세가 티베트로 돌아오자 자연히 친중 - 공화주의를 내세우던 혁명당은 힘을 잃었으며 현재에는 삼민주의, 세속주의, 공화주의를 내세우는 중도우파 - 우익 성향의 친중 보수 군소정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입법위원 선거, 지방공직인원 선거 (지방선거)에서 티베트 자치성 일대에서는 중국 국민당 대신 티베트 혁명당 소속 후보가 출마한다. 현재 당주석은 파드마 촐링이다.

범람연맹 - 비 국민당계 정당

홍콩 보수당

2003년에 홍콩의 보수정당들이 통합해서 만들어진 보수정당으로 이 당의 전신 중 하나인 민주건항협진연맹은 2000년대 초반까지 홍콩의 집권여당이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후반 부터 반환 이후, 중국 정부에 협조하여 부를 쌓은 보수 기득권층에 대한 반발로 젊은층이 진보정당인 민주연맹에 투표하는 현상이 일어났으며 암흑기를 맞았고 현재는 제1야당이다. 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중화사상을 추구하는 중도우파 - 우익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스태리 리이다.

대중운동연합

2007년 창당된 마카오 인민당을 전신으로 하여 2018년 창당된 마카오의 보수정당으로 99년 마카오 반환이후 지금까지 집권여당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정당이다. 중국 정부와 기득권층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홍콩의 젊은층과는 다르게 마카오에서는 치안강화와 경제성장에 큰 도움을 준 중국정부를 적대시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집권하는 중이다. 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중화사상을 추구하는 중도우파 - 우익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호얏셍이다.

중국 청년당

1923년 프랑스 파리에서 창당된 정당으로 국민당, 사회당[7]을 이은 중국에서 3번째로 오래 된 정당이다. 창당 초기에는 국민당과 대립각을 세웠으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에는 협조적인 태도를 취했고 이후 3당 훈정체제 출범 이후에는 국민당, 민사당과 함께 연립정부를 구성하였으나 민주화 이후 점차 정치적인 영향력을 잃기 시작했으며 1996년 입법위원 선거에서는 한석도 얻지 못하며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그러나 아직도 꾸준히 선거에 참가하고 있다. 국가주의[8], 입헌주의, 애국주의를 표방하는 우익정당이며 현재 당주석은 우청디옌이다.

공산당계 진보정당

중국 사회당

1997년 중국 공산당내 주류인 혁신파의 주도로 중국 공산당이 당명을 바꾸고 공산주의를 포기함으로써 창당된 진보정당으로 현재 중국에서 가장 세가 큰 진보정당이다. 주로 만주 일대 (동북 4성)와 내몽골을 재외한 화북지방 그리고 허난성 일대 등 인구가 많고 산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진보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좌파 - 좌익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리커창이다.

중국 공당

1997년 중국 공산당 좌파가 사회당으로의 우경화에 반발해 집단 탈당해 창당한 중국 인민공산당이 화궈펑 사후 내분으로 분당되자 당내 온건파가 원외 좌파정당과 합당하여 만든 좌익정당이다. 주로 랴오닝 중서부와 화베이 내륙지방에서 지지를 받는다. 사회당 보다 좀 더 왼쪽에 위치해 있다고 평가받으며 사회주의, 유럽공산주의, 좌익대중주의를 표방하는 좌익 정당이다. 현임 당주석은 우룽위안이다.

민중사회당

중국 인민공산당 분당 당시 당내 좌파들이 만든 정당으로 21세기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좌익 정당이다. 2018년 이후 사실상 활동을 거의 중단한 상태로 가끔가다 몇 번 선거에 참여했다는 소식이 들리기는 하지만 실질적인 활동은 없다 봐도 무방하다. 현재 총서기는 보시라이다.

비공산당계 진보정당

중국녹색운동

2001년 창당된 중국 녹색당이 생태당과 합당하고 당명을 바꾼 정당이다. 원래는 지지층이 전무한 군소정당 이였으나 2019년 우한시 환경 시위 이후 우한시 일대에서 지지를 얻어 2019년 지방공직인원 선거에서 우한시장 자리와 우한 시의회의석 29석을 얻고 2020년 입법위원 선거에서 50석을 얻어서 원내정당이 되었다. 녹색 정치, 생태주의, 진보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좌파 내지 신좌파 정당으로 중국유일의 신좌파 원내정당이기도 하다. 현임 당주석은 왕찬파다.

중국 민주사회당

1946년에 중국 국가사회당[9]과 중국 헌정당이 합당하여 창당된 정당으로 중국에서 4번째로 오래된 정당이다. 3당 훈정체제 출범 이후에는 여러 선거에 참가하였으며 국민당, 청년당과 함께 연립정부를 구성하였으나[10] 민주화 이후 점차 정치적인 영향력을 잃기 시작했으며 1996년 입법위원 선거에서는 한석도 얻지 못하며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사회민주주의, 평화주의, 개인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좌파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완강이다.

본토파 자유주의 정당

중국 민주당

1968년 중국 사회운동 직후에 구 중국 민주당과 민주당파 정당 연합인 중국민주연합 그리고 해외 화교들의 중국 신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자유주의 정당이다. 주로 광둥성과 수도권 일대, 대도시와 북부 해안 지방과 대만의 외성인 거주지에서 지지를 받는다. 사회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를 내세우는 중도좌파 - 중도우파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웨이징성이다.

중국 자유당

93년에 창당된 중국 공화주의 연합이 연성자치연합과 합당하여 창당된 정당으로 연성자유주의 (연방제 +자유주의)를 표방한다. 연방주의를 표방하는 만큼 비슷한 연방주의 정당인 중화연방당과 협력하는 일이 잦다. 연성자유주의, 신공화주의, 보수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우파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옌자치이다.

비본토파 자유주의 정당

대만 민주연합당

1968년에 타이완에서 창당된 타이완 민족주의 - 지역주의 정당이다. 2.28 사건이후 대만의 본성인들은 외성인들과 중국 정부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게 되었으며 장제스의 3당 훈정시기에는 대만 지구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외성인들의 이주를 적극 장려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대만인들은 점차 독립을 요구하게 된다. 이들이 창당한 정당이 바로 민주연합당이다. 그러나 1975년에 중국이 민주화 되고 이후 공산당 정부가 대만 지역을 개발하며 대만 지역이 부유해지고 민주연합당의 주도로 대만이 성에서 자치성으로 승격되자 독립여론은 점차 사그러들었으며 현재는 대만의 특별행정구화[11]를 밀어주고 있다. 진보주의, 사회자유주의, 대만 지역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좌파 대만 지역정당으로 현임 당주석은 차이잉원이다.

홍콩민주연맹

2009년에 홍콩 민주당과 공민당이 합당하며 창당된 홍콩 지역주의 정당이다. 현재 홍콩 행정장관을 배출한 홍콩의 집권여당이며 주로 신계 중남부 지역과 홍콩섬, 구룡반도 일대에서 지지를 받는다. 진보주의, 사회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좌파 - 중도우파 홍콩 지역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우치와이다.

마카오 자유민주당

2016년에 대중운동연합에 맞설 자유주의 정당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창당되었다. 청년중심 정치와 진보주의를 외치며 진보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어느정도의 지지를 얻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입법위원 선거나 국민대의원 선거에서 의석을 낸적이 없다.[12] 주로 젊은 청년층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으며 진보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중도 - 중도좌파 정당이다. 현임 당주석은 아우 캄 산이다.

소수민족 정당

좡족공화연합

1979년에 좡족의 인권과 권익을 위해 창당된 광시 좡족 자치구의 지역정당이자 좡족 민족주의 정당이다. 좡족 민족주의 빅텐트 정당을 표방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보수정당으로 인식되고 있다. 주로 광시 좡족 자치구 내 좡족이 다수인 서부지역에서 지지를 받으며 좡족민족주의, 자유보수주의, 국민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우파 - 우익 좡족 민족정당이다. 현임 당주석은 천우이다.

동튀르케스탄 인민당

1984년에 위구르 민족주의와 독립 이슬람 공화국 수립을 표방하던 동튀르케스탄 공화당과 중국 공산당내 위구르족 인사들이 합작하여 창당된 위구르인 민족주의 정당이다. 신장 위구르 자치성의 명칭을 동튀르케스탄 자치성으로 변경하는 것을 당론으로 채택하고 있다. 주로 위구르족이 대다구인 신장 서부에서 지지를 받으며 위구르인 민족주의, 온건 이슬람 민주주의, 자유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우파 위구르족 민족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레비야 카디르이다.

티베트 입헌당

1956년 티베트 합병 이후 망명한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망명정부 인사들이 티베트 독립당과 합당하여 1983년에 창당한 티베트 민족정당이다. 티베트 전역과 창하이, 간쑤성 남부, 쓰촨성 서부 그리고 원난성 일부 북부지역이 지지기반이다. 티베트 민족주의, 입헌군주주의, 보수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우파 - 우익 티베트족 민족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롭상 상가이이다.

내몽골 인민연합당

1989년에 남몽골 신민당, 몽골 자유회등의 몽골 민족주의 정당과 구 내몽골 인민혁명당의 일부 인사들이 합작하여 창당된 몽골족 민족주의 정당이다. 이미 내몽골 내에 몽골족 인구가 20% 내외인 만큼 내몽골과 싱안성 접경지대에서 의석을 얻는 정도에 그치고 있고 심지어 내몽골 보다는 싱안성에서 더 많은 의석을 얻었다.[13] 몽골족 민족주의, 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을 표방하는 중도우파 몽골족 민족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숍추드 템칠투이다.

닝샤 이슬람 민주당

2001년 9.11 테러이후 이슬람 교도, 특히 후이족에 대한 혐오 범죄가 급증하자 전중국 이슬람 회의와 민주회교당이 합당하여 창당되었다. 닝샤지역의 지역 정당이며 닝샤 내 후이족 거주지에서 지지를 받아 2석정도의 고정 의석을 가지고 있다. 이슬람 민주주의, 후이족 민족주의, 자유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우파 - 우익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시안후이이다.

소수민족대표회

1982년에 제2공화국 헌법이 공포된 이후, 개정된 헌법에 따라서 생긴 소수민족 대표의석이다. 원내 민족정당이 없는 한족을 제외한 민족들이 각각 1석씩 배출하며 소수민족 대표들은 의무적으로 이 정당에 소속되어야 한다. 소수민족 대표는 표결권이 없으며 일각에서는 실권이 없는 소수민족 대표의석을 폐지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소수에 불과하다. 소수민족 자치권과 중화민족주의를 표방하는 좌익 - 우익의 단일쟁점 빅텐트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천추파이다.

민족독립단결당

1999년에 각 소수민족들의 분리독립을 지지하는 단체들이 모여 창당되었다. 당론으로 중화민국의 완전한 '해체'와 각 민족별 공화국 수립을 지지한다. 분리주의,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중도 - 좌익정당으로 현임 최고위원장은 르커짜오다.

제3지대 정당

전중국농민연대

1987년에 산업화로 인해 비교적 관심밖으로 밀려난 농민들의 권익 대변을 위해 만들어진 정당이다. 딱히 지지기반이라 할 것은 없으나 농민 인구가 세계 1위의 중국인 만큼 성의회에 도합 7석 정도를 가지고 있다. 농본주의, 보수주의, 자유주의를 내세우는 중도우파 - 우익 정당이며 현임 당주석은 왕자오문이다.

전중국개혁당

2003년에 '범람연맹과 민주전선의 양대 세력 주도의 중국 정치판을 개혁한다!'라는 야심찬 구호를 가지고 창당된 중도정당이다. 현재 후난성 성의회에 1석을 보유중이며 현재 농민연대, 자유당, 연방당과 함께 자유중도개혁연합 이라는 정당연합을 구상하고 있다. 중도주의, 개혁주의, 직접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정당으로 현임 당주석은 저우난창이다.

중화연방당

2000년에 중국의 연방화를 내세우며 창당된 정당이다. 그러나 중국의 국부인 쑨원이 연방주의를 혐오했기 때문에 큰 세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비슷한 연방주의 정당인 중국 자유당과 협력관계에 있다.[14] 현재 당론으로 '중화합중국'건설을 주장하고 있으며 연방주의, 자유주의, 개혁주의를 주장하는 중도 - 중도우파 정당이다. 현임 당주석은 위안슈앙이다.

시민연대

2013년에 창당된 진보시민회가 2017년 당명을 변경한 정당이다. 전중국개혁당과 마찬가지로 기존 홍콩의 양당제를 다당제로 바꾸젰다는 목표를 가지고 창당되었다. 3 ~ 4석 정도를 늘 고정 비례의석으로 내고있다. 복지주의, 직접민주주의, 본토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주의 홍콩 지역정당이며 현임 사무총장은 후야오창이다.

극좌정당

중국 공산당 (2018년)

2018년에 창당된 중국의 극좌정당이다. 이름은 중국 공산당이지만 1921년의 중국 공산당이나 1978년 공산당과도 아무런 관련이 없고 해외로 망명한 중국 공산당과도 아무런 상관이 없는, 그저 이름만 가져다 쓰는 정당이다. 중국 공산당의 실질적 후신인 사회당과 공당은 해당 명칭에 반발하고 있으며 해외의 중국 공산당은 아무런 의사 표명이 없는 상태다.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극좌정당이며 현임 총서기는 마호우지이다.

사회주의 혁명당

2012년 총통선거 당시 진정한 사회주의자가 총통 후보중에 없다는 이유로 창당된 극좌정당이다. 이름은 사회주의 혁명당이지만 선거를 통한 정권 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극좌 성향의 유권자 중에도 이당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며 자금난으로 해산 논의가 나오는 중이다. 공산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좌익 대중주의를 표방하는 극좌정당이며 현임 당위원장은 궈즈런이다.

급진좌파당

2019년에 급진적인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창당된 극좌정당으로 청년을 위한 공산당을 표방했다. 현재 극좌정당들 중에서는 인지도가 가장 높으며 2020년 입법위원 선거에서도 비례대표에서 0.83%라는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아나코 공산주의, 청년 정치를 표방하는 극좌 정당이며 현임 당원대표는 천바이밍이다.

극우 정당

중화민족사회당[15]

1980년에 공산주의자들이 중국을 망치고 있으며 중국의 공산화를 막기 위해 구 나치의 민족사회주의 (나치즘)이 필요하다는 명목 하에 창당된 나치즘 정당이다. 이들은 순수한 한족만의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소수민족을 말살하고 한족의 생활권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치즘, 극단적 민족주의, 군국주의를 표방하는 극우정당이며 현임 영도자는 하오밍바오이다.

중화제국당[15]

2001년에 창당된 군국주의 - 제국주의 정당으로 중국의 오랜 전통이였던 군주제를 부활시키고 중국의 정당한 영토[16]를 수복하고 미국과 결전을 벌여 세계 주도권을 탈환해오며 중화사상에 따른 세계질서를 복구하는것을 목표로 한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당수인 '자칭 천자'가 듣보잡이고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공약이기 때문에 아오안 취급이다. 제국주의, 군국주의, 강경 중화민족주의를 표방하는 극우정당으로 자칭 천자는 마오칭위안이다.[17]

중화민족통일당[15]

2003년에 위의 중화제국당에서 파벌다툼으로 탈당한 당원들이 야오진옌을 중심으로 창당한 정당으로 위의 중화제국당과 비슷하게 정신나간놈 취급을 받는다. 다른점이라고 하면 제정이 아닌 공화주의를 표방한다는 점이지만 여기도 '자칭 천자를' '대중화국 최고영도자'로 바꾸었을 뿐이다. 제국주의, 군국주의, 강경 중화민족주의를 표방하는 극우정당으로 자칭 영도자은 야오진옌이다.

통일한족당

1997년 창당된 극우정당이다. 이쪽은 다른 극우정당들에 비해 그래도 정상적인(...?) 극우정당으로 평가받는데 한족 민족주의를 표방하지만 타 민족의 말살이 아닌 흔히들 중국 본토라 불리는 한족들의 거주지와 소수민족 거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당론으로 삼는다. 민족주의, 국민주의, 고립주의를 표방하는 우익 - 극우정당으로 현임 당주석은 장찌엔민이다.

종교 정당

중국불교연맹당

2011년 제1차 리비아 내전 당시 중국이 참전하자 이에 반대하는 중국의 불교 평화주의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불교 정당잡게 딱히 제정일치나 극단주의를 표방하지는 않으며 부처님의 뜻에 따른 평화롭고 자비로운 외치, 내치를 주장한다. 불교 민주주의, 평화주의, 자유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우파 정당으로 현임 당대표는 오각묘천선사(悟覺妙天禪師)이다.

중국도교연합

2005년 도교 이념에 따른 정치를 내세우며 창당된 종교정당으로 이쪽도 불교연맹당과 성향이 비슷하다. 평화주의, 도교, 자유주의를 내세우는 중도정당으로 현임 당주석은 신쭈위안이다.

각주

  1. 문서 상단의 표에서도 합법적, 정상적으로 정당 활동을 하고 있는 정당들만 작성되어있다.
  2. 지역 정당의 경우 500명 이상
  3. 만약 간부가 해당 범죄 전과자로 밝혀진 경우 1주일 이내 해당 인물을 간부에서 해임하지 않는다면 정당으로의 활동이 정지되며 1달 이내에 해임하지 않을경우 해산
  4. 4년 이내에 어떠한 선거가 열리지 않을 경우 예외
  5. 21대 총선 당시에는 충칭시 의석 전원을 석권했다
  6. 안후이 - 허난 접경지대에서 지지를 받는 주요 원인은 접경 지대 부근의 치안을 강화한 것이 주된요인이다.
  7. 중국 사회당은 공식적으로 1921년 창당된 중국 공산당을 전신으로 보고 있으며 2021년에는 공당과 합작하여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대회를 열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사회당의 실질적인 전신은 1921년 공산당 출신 간부들이 1978년 비공식 재창당하고 82년 공식 재창당한 중국 공산당이다.
  8. 여기서 말하는 국가주의는 파시즘이 아닌 국민보수주의에 가깝다
  9. 여기서 말하는 국가사회주의는 흔히들 아는 나치즘이 아닌 사회주의를 의미한다
  10. 이런 이유로 민사당은 진보정당임에도 범람연맹 소속이다.
  11. 즉 사실상의 독립
  12. 물론 입법위원 선거에서 마카오에 할당 된 의석은 1석이라 행정원장이 되는 것 만큼 힘들다.
  13. 내몽골 1석 싱안성 2석
  14. 두 정당 모두 연방주의를 표방하나 자유당은 독일 수준의 연방제를 지지하는 반면 연방당은 미국식의 연방제를 지지한다.
  15. 15.0 15.1 15.2 현재 중화민국 사법원에서 불법화 소송중
  16. 중국의 극우 민족주의자들은 몽골, 한국, 심지어 인도등을 자국 역사로 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정당한 영토는 몽골제국의 최대 강역 (즉 유라시아 대륙의 60% 가량)을 의미한다.
  17. 한편 이 정당에 대해서 무려 청나라의 공식 후손인 청황실 소조정이 성명을 낸적이 있는데 정신나간놈 취급을 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