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목록 ]
|
[ 세계관 소개 ]
|
[ 문서 목록 ]
| |
![]() |
[ 펼치기 · 접기 ] |
아랍 연합 왕국[1] 아랍 하심 연합 왕국[2]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هاشمية المتحدة United Hashemite Kingdom of Arab | ||||||||||||||||||||||||||||||||||||||
---|---|---|---|---|---|---|---|---|---|---|---|---|---|---|---|---|---|---|---|---|---|---|---|---|---|---|---|---|---|---|---|---|---|---|---|---|---|---|
![]() |
![]() | |||||||||||||||||||||||||||||||||||||
국기 | 국장 | |||||||||||||||||||||||||||||||||||||
الله، الوطن، الملك 알라, 국가, 국왕 | ||||||||||||||||||||||||||||||||||||||
상징 | ||||||||||||||||||||||||||||||||||||||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ar, .العربية | ||||||||||||||||||||||||||||||||||||||
국가 코드 | ||||||||||||||||||||||||||||||||||||||
760, AR, UKA, | ||||||||||||||||||||||||||||||||||||||
국제전화코드 | ||||||||||||||||||||||||||||||||||||||
+963 | ||||||||||||||||||||||||||||||||||||||
차량 통행 방향 | ||||||||||||||||||||||||||||||||||||||
오른쪽 | ||||||||||||||||||||||||||||||||||||||
![]() |
개요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 혹은 줄여서 아랍(عرب, Arab)는 서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왕국이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아랍 반란 이후 영불의 지원을 받은 하심가의 통치하에 있는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헤자즈 4개 왕국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국가이다. 1972년에 일어난 혁명으로 헌법이 제정되고 국민대의원회가 개회했으며 입헌 군주제 국가가 되었고 1998년에는 세속주의를 선언하여 이슬람교의 국교지위는 인정하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정책을 펼쳤다. 현재 국왕은 압둘라 2세이며 총리는 오마르 라자즈이다.


국가 상징
국명
공식적인 국호는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이며 보통 줄여서 아랍(عرب, Arab)이라고 부르나 UKA, 아랍 왕국, 아랍 연합, 아련 등으로도 부른다. 한편 영문 명칭이 영국 (United Kingdom)과 햇갈릴 수도 있다는 이유로 영문명칭을 멕시코처럼 (United Mexican States) United Arab Kingdom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존재한다.
국기
![]() 아랍기 العلم العربي | |
---|---|
![]() | |
지위 | 공식 국기 |
채택일 | 1920년 5월 3일 |
근거 법령 | <왕국상징물법> |
비율 | 2:1 |

아랍 연합 왕국의 국기는 아랍기이며 건국과 동시에 재정되었다. 범아랍색 깃발의 원조이며 아랍 반란의 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검은색은 무함마드와 정통 칼리파 시대의 기에서 사용되었고, 흰색은 우마이야 왕조, 녹색은 파티마 왕조, 빨간색은 하와리지파의 기에서 사용되었다.
국장
![]() 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 شعار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 |
---|---|
![]() | |
지위 | 공식 국장 |
채택일 | 1972년 7월 11일 |
사용처 |
|

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은 1972년에 재정되었으며 쿠라이시의 매에 국기가 들어가 있고 뒤에는 국기가 배치되어있는 형태이다.
국가
![]() 아라비아 왕실에 평화가 있기를 السلام الملكي العربية | |
---|---|
지위 | 공식 국가 |
채택일 | 1946년 12월 31일 |

아랍 연합 왕국의 국가는 아라비아 왕실에 평화가 있기를로 압둘 모넴 알-리파이가 작사, 압둘 카디르 알-타니르가 작곡했다.
역사
성립과 발전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됨과 동시에 1916년 부터 진행되어 오던 아랍 반란도 끝이 났다. 당시 아라비아 반도 일대에는 2가지 세력이 공존했는데 하심가문과 사우드 가문이였다. 하심가문은 이라크, 요르단, 헤자즈를 통치하던 가문이였고 사우드 가문은 현재 아라비아 공화국 일대를 통치하던 가문이였다. 한편 종전 후 아랍 지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전 국가는 영국이였는데 영국은 아랍 반란시기 하심가에 통일 아랍국가 수립을 약속했는데 균형의 수호자(...)였던 영국은 하심가가 아랍을 통일 할 경우 자신들에게 반기를 들 수 있겠다고 생각하여 하심가에 사우드가를 수장으로 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건설하겠다고 (당시 네지드 왕국) 일방적으로 통보하였다. 물론 하심가는 반발했으나 당시 세계 최강국이던 대영제국에게 대들면 초고속즉시삭제가 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조용히 받아들이기로 결정한다. 이후 하심가 통치 하에 있던 이라크, 요르단, 헤자즈를 통합하여 아랍 연합 왕국을 성립하기에 이른다. 이후 친영정책을 펼치던 하심가의 시리아 아랍 왕국까지 가입하면서 현재의 판도가 완성되게 된다. 그 후 이라크 지역의 석유를 개발하며 경제가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와중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국내에서는 친독 여론이 좀 더 우세했으나 정부는 친영 정책을 고수, 1943년에 공식적으로 독일에 선전포고 한다. 전후에는 국제연합 창립 당시 창립회원국 이기도 했다.
냉전과 입헌 혁명
냉전이 시작된 이후에는 철저한 친미 - 친영 노선을 고집했으며 공산당 (바트당)을 불법화 시키고 바트당이 집권한 이웃 이집트와 대립각을 세웠다. 냉전적 반공주의와 이슬람주의에 입각한 전제군주제를 고집하며 독재를 이어나갔다. 그러나 이런 불만은 쌓이고 1972년 학생혁명으로 표출되었다. 학생들은 헌법의 제정과 왕실의 개혁을 요구했고 시위가 장기화되어 공화주의 운동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정부는 이를 받아 들였다. 샤리아에서 벗어나 근대적인 헌법을 제정하였으며 입법부인 국민대의원회 선거가 열리기도 했다.
세속 혁명과 현대
냉전시대가 끝난 이후 개혁의 바람이 아랍에도 불기 시작했다. 기존의 이슬람 율법에 짓눌린 여성과 젊은층들의 시위가 이어지자 왕국 정부는 1998년 개혁 선언문을 발표, 샤리아를 헌법에서 삭제하였으며 모든 종교 재판소는 세속 재판소에 합병되었다. 물론 정치적으로는 왕실의 힘이 여전히 강하고 이슬람교의 입김도 여전히 강하지만 그래도 차근차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이다.
정치
입헌군주제 국가지만 왕실과 이슬람교의 입김이 강하며 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제 국가로 평가받는다. 그래도 타 아랍 국가들에 비해서는 훨씬 민주적인 편으로 지속적인 정치 참여와 민주주의에 대한 애착이 이런 현상을 만들어 내었다고 할 수 있다
입법부
![]() |
아랍 연합 왕국 국민대의원회 원내 구성 | ||||||||||||||||||
[ 펼치기 · 접기 ] |
아랍 연합 왕국 국민대의원회 (الكونغرس الوطني ل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는 아랍 연합 왕국의 입법부로 단원제 국회이다. 457석은 지역구에서 선출하며 279석은 직능의석, 정부, 이슬람 교단에서 각각 1:1:1 비율로 선출한다.
외교
한아관계
양국의 관계는 우호적인 편이며 2017년에는 압둘라 2세 국왕이 방한하기도 하였다
미아관계
냉전시기 이래로 우방국 칭호를 가지고 있다.
중아관계
꽤나 우호적인 편이다.
각주
- ↑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인지하는 공식 명칭
- ↑ 하심 가문의 아랍 연합 왕국이라는 번역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 ↑ 언어에 따라 페르시아 문자, 시리아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라틴 문자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 ↑ 아랍 연합 왕국 헌법 2조(이슬람은 국가의 종교이며 아랍어는 공식 언어이다)에 의하여 국교로 지정, 단 종교 차별은 금지되며 국교인 이슬람을 직접적으로 모욕하거나 위협하지 않는 한 종교의 자유 허용.
- ↑ 국왕이 총리를 탄핵 할 수 있으며 총리 이하 정부 관료들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고 있다.
- ↑ 세속헌법과 별개로 이슬람교도에 도덕적인 문제에 한해서 종교법원과 샤리아에 의해 판결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