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목록 ]
[ 세계관 소개 ]
[ 문서 목록 ]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개요

대한민국 (민국 38)의 역사를 다룬다. 광복 이전의 한국사는 위키백과등의 타 사이트를 참고 바란다. 또한 민국 38 세계관에서의 대한민국의 근현대사 구분법은 큰 헌법 변경이 없었던 관게로 신탁통치기 조선 (조선과도통치위원회)과 각각의 총리 임기로 나뉜다.

신탁통치기 조선

해방 직후 독립만세를 외치는 조선인들

1945년 9월 13일 공식적으로 태평양 전쟁과 중일전쟁이 종료되고 일본이 항복하면서 조선은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해방이후 영호남 이북 지역에는 소련군이 주둔하게 되었고 영호남과 제주 지역에는 미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중국애 국민당과 공산당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었고 소련이 일본 북부지역을 점령하고 남사할린을 일본에게서 부터 병탄하면서 동아시아 내의 공산주의 영향력 확대가 실체화 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은 동아시아 지역에 반공 방어선을 구축하는 일에 열중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소련이 조선에 대부분, 특히 공업지대가 집중되어 있는 북부지역을 점령한다는 것은 이 방어선에 구멍이 난다는 것을 의미했고 영호남 지역의 농업생산량이 조선의 농업생산량의 상당한 양을 차지하고 있으나 앞으로 다가올 현대사회 에서는 농업보다는 공업의 중요성이 높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은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무었보다 소련군의 조선 점령 장기화는 조선의 공산주의 확대가 가속화 된다는 것이였기 때문에 미국은 어떻게든 해결 방안을 찾아야 했다. 우선 미국은 소련에 조선의 공동 신탁통치를 제안했는데, 일단 공동통치가 현실화 된다면 미소양국이 공동으로 조선의 행정권을 행사하게 됨으로 소련이 자신들의 뜻대로 조선을 공산화하는 것을 막을수 있고 무었보다 조선 전체에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 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영국과 중국을 끌어들이려고 했는데 초기에는 소련이 반대했으나 미국이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소련보다 훨씬 일찍 참전하여 더 많은 사상자를 낸 명분을 쥐고 흔들자 소련은 승낙할 수 밖에 없었다. 당시 소련은 동유럽에 집중하느라 정신이 없었고 이미 몰락작전에서 핵무기를 사용한 핵보유국인 미국의 심기를 건들이지 않으려고 했기 때문에, 그리고 앞서 본듯이 명분에서도 밀렸기 때문에 4개국 공동 신탁통치를 승인하고 만다. (이 당시 미국대표는 "우리는 수데텐과 유고슬라비아의 해안가를 당신들의 노고의 대가로 넘겼는데 당신들이 점령지라는 이유로 조선을 가져간다면 우리는 유고슬라비아를 내륙국으로 만들겠다."라고 발언하여 소련측 대표를 침묵시켰다고 한다.) 그리고 미국은 조선내의 온건 좌파세력을 이용하기로 결심한다.

신탁통치기 중앙청 (구 조선총독부)

당시 조선에는 크게 4개의 세력이 있었는데, 친소적/급진적 공산주의자 (조선 공산당), 민족주의적 온건 사회주의자 (조선인민당), 친중 민족주의자 (한국독립당), 친미 민족주의자 (한국 민주당, 독촉)이 그것이다. 미국은 이 중 양대 민족주의자 세력과 온건 사회주의자 세력을 포섭하기로 한다. 일단 미국은 조선인들에게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온건 좌익 세력을 포섭하기위해, 그리고 지방 행정의 공백을 최소화 하기 위해 지방 인민위원회를 임시 행정조직으로의 전환을 재의했다. 소련은 당연히 찬성했고 중국과 영국도천조국 눈치를 봐서 수락했다. 그리고 조선 과도 민정정관 (임시 행정부 수장)에 여운형을 않혔다. (그러나 조선인민공화국을 정식정부로 인정해주지는 않았다.) 이런 미국의 행보는 한민당등의 극우세력을 자극시켰고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나 현실적으로 지지율이 조선인민당의 발끝에도 못미쳤던 그들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