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주요 사건】
【주요 국가】
【주요 설정】

개요

라벨리움(Labellium)은 탄소, 마그네슘 등으로 합성 가능한 인공 가연성 금속 물질의 일종이다. 2005년 석유 파동 이후로 러시아에서 처음으로 합성되었으며, 유럽에서 에너지 위기가 터졌을 때에는 석유와 석탄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로 각광 받았다. 그러나 국제적인 에너지 위기에도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일부 CSTO 국가가 생산을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분쟁이 심심찮게 벌어졌고 결국에는 제 3차 세계 대전의 원인 제공을 하게 된 비운의 물질이기도 하다.

가연성과 에너지 효율이 상당히 뛰어나기 때문에 대전쟁 전까지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연료로 사용되었으며, 여전히 연료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 물질이 세계적으로 악명을 떨친 이유는 바로 라벨리움의 생산 과정에 기반한 화학 무기 RKO(르코) 때문이다. 복잡한 합성 과정 없이 간단한 화학 반응으로도 생산이 가능해서 라벨리움의 원료만 안다면 조그만 화학 시설에서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신냉전으로 각국들이 급진적인 군비경쟁에 들어갈 때 CSTO 국가들이 비싸고 책임이 큰 핵무기를 대체할 목적으로 채용했다.

제조

  • 연료로서의 경우 (라벨리움)
    첫 합성은 러시아의 소네브 그룹 연구팀에서 성공했다. 각종 화학 약품과 라벨리움을 구성하는 가연성 금속들을 고전류가 흐르는 탄소 활성탄에 통과 시켜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해 생산한다. 그러나 이 모든 과정이 금속까지 기화 시킬 수준의 초고온, 0.2기압 이하의 고진공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타 이물질의 접촉이 완전 통제된 상태여야 한다는 상당히 골 때리는 전제 조건이 붙어 제조가 쉽지 않다. 사실 탄소 활성탄과 라벨리움을 구성하는 금속성 원소들은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최소 1,500도 이상의 초고온을 유지하는 것과 이물질 접촉을 완전 통제하는 것이 전용 장비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고전류 조건 때문에 필요한 엄청난 량의 전력은 덤이고.
  • 무기로서의 경우 (RKO)
    첫 합성은 역시나 소네브 그룹 연구팀에 의해 이루어졌다. 라벨리움 합성을 시도하다가 사소한 실수로 인해 이 물질이 발생해 2명이 호흡곤란을 겪은 사건 이후로 연구를 진행하던 도중 발견되었다. 라벨리움을 구성하는 가연성 금속들을 산화 시킨 뒤 고전류가 흐르는 탄소 활성탄에 포스젠과 함께 통과 시켜 서로 결합 시키는 방법을 사용해 생산한다.[1] 라벨리움 생산에 필요한 초고온, 고진공은 전혀 필요 없으며 타 이물질을 통제해야 하긴 하지만 아주 철저히 할 필요는 없다. 상술했듯이 라벨리움 합성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한 사고도 끊임없이 벌어졌다. 전력과 간단한 화학 합성기, 그리고 필요한 물질들만 있다면 손쉽게 합성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제 3차 세계 대전에서 양측 모두 화학 무기로서 사용하였으며, 3차 대전 이후로도 테러에 쓰이기도 했다.

무기화

  • 구 설정
    연구원들은 타국의 연구팀에게 도움을 요청하더라도 극지방 시베리아의 기존 시설에 비해 낙후되어 있고 대부분 기상기후 관련 연구원들이었기 때문에 해당 물질을 아무리 연구해도 정확한 파악이 불가능할 것이라 파악하여 Sonev LABS 본사로 보내며 연구를 위탁하였는데, Sonev의 무기연구부가 해당 물질에 깊은 관심을 지녔고, Sonev의 상부도 무기로서 효능이 없더라도 다른 효능을 이용해 상당한 수익을 벌여들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라드셉튼의 연구를 지시하였다. 실제로 가스화된 라드셉튼은 질식 작용제의 효능을 보였고 최근 들어 국가 내외의 사건 및 세계적인 경직, 신냉전 등으로 골머리를 썩히던 러시아군이 Sonev에 가스화된 라드셉튼을 군사화해줄 것을 요청하였고, 가스화가 그다지 어렵지 않았을 뿐더러 통제력이 높아 빠른 시일 내에 러시아군의 전방에 배치되었다. 이후 라드셉튼은 러시아의 동맹국들에 공여되었고, 이를 통해 러시아 진영의 무장에 라드셉튼이 대거 포함되었다. 근데 라드셉튼은 여기서 끝이 아니였다.

흡입 시 증상

  • 구 설정
    상술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가스화된 라드셉튼은 포스겐 같은 질식 작용제의 효과를 보인다. 포스겐과 다르게 생산이 "약간" 쉬울 뿐 쉽게 막 찍어낼 수 있는 무기는 아니었지만, 살상 효율은 포스겐을 압살했으며 타 화학 무기에 비해서는 생산력이 좋았기 때문에 제 3차 세계 대전에서 러시아 진영의 주요 화학 무기로서 사용되었다.

    50ppm 가량 흡입할 경우 기침, 두통, 혼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지만 라드셉튼에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꾸준히 흡입하는 것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ppm 이상 흡입할 경우 심각한 두통과 일시적인 기억 상실이 발생하며, 이때부터 질식 작용제로서 작용하기 시작한다. 역시나 라드셉튼에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꾸준히 흡입 시켜주는 것으로 증상이 완화되기를 기도해야 한다고 한다. 해독한다고 폐에 알칼리를 붓는 건 그것대로 문제니까.

    250ppm 흡입한 경우 심각한 두통과 급성 구토, 복통 등을 동반하며, 미각과 후각이 마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긴 하지만, 이 수준부터는 글러먹은 것이므로 빠르게 생명을 끝내주는 것이 편하다. 뭐, 운이 좋다면 산소통을 달고 식물인간으로 살아가는 것도 가능은 하겠지만 대전쟁 이후로 꺠끗한 공기가 담긴 압축 산소통은 극히 일부 세력만 보유하고 있으며 그 세력들도 사용을 꺼리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죽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편하며, 250ppm의 라드셉튼이 살포된 지역에 방독면 없이 30초 이상 상주한 경우에는 죽음을 각오하는 것이 좋다.

    250ppm 이상의 라드셉튼과 방사능을 동시에 흡입한 경우에는 폐의 기능이 마비되며 온몸에 물집이 돋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터지며 살이 타들어 간다. 뇌가 마비되어 기억 능력과 어휘 능력 등에 장애가 생기며 인체가 썩어들어가면서 생명학적으로 사망한 상태에 이르지만 생명체의 피에 광적으로 집착하며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움직이는 도저히 설명 불가능한 괴현상이 발생한다. 대전쟁 이후, 고동도의 라드셉튼과 방사능을 동시에 흡입하는 경우가 라드셉튼 흡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인구가 대폭 증가하였고, 이후 이들을 스트라니크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1. 포스젠은 없어도 된다. 화학 무기로서의 위력을 강화 시키기 위해 같이 결합 시키는 것일 뿐이지 없어도 위독성은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