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변화)

WARSAW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5월 17일 (수) 23:43 판

 3.5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정보 및 개요  ·  선거 과정  ·  참여 정당 및 후보자  ·  선거 결과  ·  평가  ·  여담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1대
2027년 3월 3일
제22대
2032년 3월 3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헌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전국동시지방선거 제9대
2026년 6월 3일
제10대
2030년 6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제1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제9회 · 제10회
재보궐선거 추가 예정 추가 예정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추가 예정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부통령직 폐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1차 · 제2차 · 제3차 · 제4차 · 제5차 · 제6차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을 폐지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부 일부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201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했다.
본 템플릿(틀)은 변화의 시대의 공식 설정입니다. 시즌이 진행될수록 선거 기록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정수: 299석 / 과반: 150석
실시일: 2008년 4월 9일
투표율: 46.1% (▼ 14.5%p)
제17대 제18대 제19대
한나라당 153석 (51.17%)
(27.1%) 81석 민주당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한나라당 131석 22석 153석 51.17%
통합민주당 66석 15석 81석 27.09%
자유선진당 14석 4석 18석 6.02%
친박연대 6석 8석 14석 4.68%
민주노동당 2석 3석 5석 1.67%
창조한국당 1석 2석 3석 1.00%
변화당 1석 0석 1석 0.33%
무소속 25석 0석 25석 8.36%

2008년 4월 9일에 치러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로, 46.1%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의원 정수는 299명으로, 지난 총선과 동일하나 비례대표 의석이 2석 줄고 지역구 의석이 2석 늘어났다. 이번 선거에서는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라 수요일에 치러진다. 참여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교체된 지 네 달만에 치러지는 선거로서, 한나라당의 국정 동력 강화와 야권의 정부 여당 견제가 주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 선거에서 한나라당, 통합민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변화당, 진보신당, 평화통일가정당, 한국사회당 등이 참여했는데, 공천 파동, 계파 갈등, 신당 창당 등 정치권에 불어닥친 각종 변수로 인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에서 치러진다.

정보 및 개요  ·  선거 과정  ·  참여 정당 및 후보자  ·  선거 결과  ·  평가  ·  여담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개별 문서로 이동합니다.
정보 및 개요  ·  선거 과정  ·  참여 정당 및 후보자  ·  선거 결과  ·  평가  ·  여담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개별 문서로 이동합니다.
정보 및 개요  ·  선거 과정  ·  참여 정당 및 후보자  ·  선거 결과  ·  평가  ·  여담
출구조사
정당 KBS-MBC 공동 SBS YTN
한나라당 154~178석 162~181석 160~184석
154~178석 155~178석
통합민주당 67~93석 68~85석 72~88석
75~93석 67~89석
자유선진당 13~18석 10~18석 11~15석
친박연대 5~10석 6~11석 6~10석
5~10석 5~7석
민주노동당 3~7석 2~6석 2~5석
3~7석 3~5석
창조한국당 1~3석 0~4석 2~4석
무소속·기타 19~26석 19~30석 15~24석
선거 결과
정당 득표수 지역구 (비례) 총합
한나라당 8,237,665 (38.6%) 130석 152석
8,145,824 (38.3%) 22석
통합민주당 8,115,453 (38.0%) 66석 81석
7,613,660 (35.8%) 15석
무소속 972,954 (4.6%) 25석 25석
[ 기타 정당 결과 ]
자유선진당 920,229 (4.3%) 14석 18석
2,654,061 (12.5%) 4석
친박연대 1,424,112 (6.5%) 6석 14석
1,510,178 (7.0%) 8석
민주노동당 569,083 (2.7%) 2석 5석
600,462 (2.8%) 3석
창조한국당 63,989 (0.3%) 1석 3석
600,462 (2.8%) 2석
변화당 962,412 (4.5%) 1석 1석
148,512 (0.7%) 당선자 없음
등록 취소
기타 정당 27,084 (0.13%)
418,208 (1.96%)
무소속 당선자 복당 시
보수 한나라당 168석
자유선진당 19석
친박연대 14석
민주 통합민주당 89석
제3지대 창조한국당 3석
변화당 1석
진보 민주노동당 5석

선거 결과 한나라당 152석, 통합민주당 81석, 자유선진당 18석, 친박연대 14석, 민주노동당 5석, 창조한국당 3석, 변화당 1석, 무소속 25석으로 한나라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성공했다. 물론 과반을 여유롭게 확보한 것이 아니라 턱걸이 과반이었기 때문에 일단 한나라당의 승리는 확실해보인다. 충청도를 기반으로 하는 자유선진당은 18석으로 원내 교섭단체까지 가는데는 실패했지만, 제3당에 안착하는데 성공했다. 반면 친박 탈당파들이 주축이 된 친박연대는 14석으로 나타났지만, 무소속 계열 친박계 당선자는 12명으로 나타났다.

통합민주당은 기대치에 미달하는 81석으로 나타나 제1당 사수는 물론 개헌저지선 확보에도 실패했다. 민주노동당은 분당 이후 세가 위축되었는지라 지역구 2석, 비례대표 3석만 건지고 부진했다. 창조한국당의 경우 지역 기반이 약한데다 문국현 본인의 1인 정당에 가까웠음에도 3석을 확보해 명맥을 유지했고, 변화당은 서울에서 1석만 얻었을 뿐, 나머지 후보들은 전부 낙선하였다.

원외정당으로는 진보신당, 기독사랑실천당, 평화통일가정당, 국민실향안보당, 문화예술당, 한국사회당, 시민당, 신미래당, 직능연합당 순으로 나타났는데, 3%에 근접한 득표율을 얻은 진보신당, 2%를 얻은 기독사랑실천당을 제외한 나머지 정당들은 모두 1.5%를 넘지 못해 등록 취소를 당했다.

지역별 결과

지역별 결과
지역 / 정당 한나라당 통합민주당 무소속·기타
서울 39석 7석 2석
경기 32석 17석 2석
인천 9석 2석 1석
강원 3석 2석 3석
대전 당선자 없음 1석 5석
충북 1석 6석 1석
충남 당선자 없음 1석 9석
광주 당선자 없음 7석 1석
전북 당선자 없음 9석 2석
전남 당선자 없음 9석 3석
부산 11석 1석 6석
울산 5석 1석 당선자 없음
경남 13석 1석 3석
대구 8석 당선자 없음 4석
경북 9석 당선자 없음 6석
제주 당선자 없음 3석 당선자 없음
합계 130석 66석 48석
지역구 상세 결과는 개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보 및 개요  ·  선거 과정  ·  참여 정당 및 후보자  ·  선거 결과  ·  평가  ·  여담
"범보수 주도의 여대야소 탄생"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의 결과로 국회는 지난 총선과는 달리 범보수의 과반(201석), 일명 여대야소의 형태로 짜여지게 되었다. 한나라당은 이명박의 힘을 받으며 단독 과반 확보에 성공하긴 했지만 단순 턱걸이에 그쳤으며 범보수에 해당하는 자유선진당과 친박연대는 한나라당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기 때문에 향후 행보를 지켜봐야 하며, 일부 의제에 이들과 연대하는 한 비주류 보수 진영과의 대치가 예상된다.

반면 보수 비주류 진영(친박연대·무소속연대·자유선진당)은 합해서 총 45석을 확보해 세를 어느 정도 과시하는데는 성공했다. 허나 한나라당 내 친박 의원들까지 합치면 50석인데도 120명이 넘는 친이 진영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문제이다. 때문에 친박연대와 자유선진당이 연대하여 캐스팅보트를 잡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이기에, 친이 진영을 끌어내릴 수 있는 입지 확장이 필요하다.

민주당계, 진보 진영은 말 그대로 부진하거나 참패했다. 통합민주당은 100석을 목표로 하였으나 81석으로 개헌저지선 확보에 실패했으며, 뉴타운 열풍도 민주당의 선거 참패에 영향을 끼치는 데 한 몫을 했다. 여기에 민주노동당은 물론 무소속, 창조한국당, 변화당을 합쳐도 개헌저지선을 넘지 못해 역시 단점으로 꼽힌다. 창조한국당 역시 3석을 얻고도 민주당계 진영에 힘을 보태기엔 역부족이라, 혹시 모를 개헌에 대비해 범민주·진보 진영의 연대가 필요하다.

민주노동당은 분당 사태로 인해서 세가 크게 줄어들었고, 더불어 의석도 줄어들어 제5당으로 추락했다. 지난 총선에서 13%의 비례대표 득표율을 얻고도 10석 이상을 가져간 것과 비교하면 엄청나게 쪼그라든 셈인데 정작 PD계인 진보신당은 비례대표 2.9%를 얻으면서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원외정당 치고는 어느 정도의 성적을 거두었다. 결국 진보 진영이 분열되면서 분산됨에 따라 그 결과가 나타나게 된 셈인데 다음 총선을 위해서는 진보 통합이 절실하다.

결국 공천 학살과 계파 갈등으로 타격이 덜한 민주당계를 제외한 진보, 보수 진영이 분열되고 국회가 여대야소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지만 향후 여당의 국정 안정, 그리고 여당 견제를 위한 야권연대가 그 숙제로 남아있다. 더불어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미 FTA, 한반도 대운하를 놓고 여야의 극한 충돌이 예상되기 때문에 당분간 여야 협치는 이뤄지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 및 개요  ·  선거 과정  ·  참여 정당 및 후보자  ·  선거 결과  ·  평가  ·  여담
  • 선거 이후 4년 뒤에는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헌법 개정이 논의되었으나 쉽게 이뤄지기에는 불가능했다.
  • 본 선거의 투표율은 46.1%인데, 선거 당일에 전국적인 우천이 그 원인이다. 허나 20대의 투표율이 28.1%, 세부적으로는 20대 후반의 투표율이 24.1%인 것을 감안하면 정치 구도에 실망한 유권자들이 투표를 포기해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 이번 선거에서 제4당이 된 친박연대는 이후 공천 헌금을 받아 비례대표 순번을 팔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었다. 때문에 양정례, 김노식, 서청원의 의원직이 상실되었고 지역구 당선자인 김일윤, 홍장표 또한 선거법 위반으로 제명된다.
  • 이 선거 이후 이명박 정부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과 여기에 촉발된 촛불집회로 지지율 하락을 겪었다. 만약 이 논란이 앞당겨지면 정부는 물론이고 여당에 큰 타격이 일어날 것이 분명했으니 그야말로 운 좋게 승리하게 된 셈.
  • 제17대 대통령 선거 이후 급격한 좌경화가 이루어진 변화당은 이 선거에서 기사회생에는 성공했지만 당선자는 광진구 갑에 출마한 ■■■ 밖에 없었다. 정작 13, 14대 총선에서 연속 승리를 거둔 중구에서는 대부분 야권 표로 넘겨져 한나라당의 나경원 후보의 당선을 막을 수 없었다.
여러분은 지금 변화의 시대 시즌 1을 보고 계십니다. 본 세계관은 '변화의 시대'의 공식 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