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대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국가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국가
키르수스 제국 게파르토 제국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베른하이어 베른하이어 공국  ·  에르미니아 에르미니아 합중국  ·  마그니우스 마그니우스 제국  ·  프리슬란드 프리슬란드 자유국  ·  그란치프 그란치프 국민국  ·  코르보날 코르보날 연합국  ·  크래스터프 크레스터프 왕국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연표


-546
1423
고전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1423
1664
근대
현대


보편전기
연표
-546
1483
1664
고전 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근대
현대














보편전기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차량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차량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제4대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4. Kircusser Foligerreichsvolkstag
이전 회기 다음
제3대 1545년 2월 3일 ~ 1550년 1월 8일 제5대
회기 시작 의석 회기 종료 의석
선거 1545년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선거
의원수 192명
제국인민의회 의장 쿠르트 오젤바우 폰 칠데마인
제국인민의회 부의장 오토 에를라발트 렌후스
루크 로하르트 자유당
서기 빌프리트 브루노 폰 회넬
닐제도르프 폰 아른할테쇠누지엔
데겐하르트 켈바흐무슈타인
하메라르트 폰 로지테아우넬
알베르트 폰 블룽겐슈타트 자유당
회계 유트카르 오토 폰 슈타렌츠
아라문트 루카스 외슬리히
정부 크리제스테 제국내각
크리기우스로벨 제국내각
의사당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의사당

제4대 제국인민의회(키르수스어: 4.Foligerreichsvolkstag)는 제국인민의회의 4번째 회기로 1545년 제국인민의회 선거를 통해 선출된 192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1545년 2월 3일 진리절에 개회하여 약 5년의 회기를 거쳐 1550년 1월 8일 해산하였다.

오일렘발트 폰 푸스발트가 승계한 보수당은 역대 최다 의석이자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제국인민의회를 주도했다. 그러나 당내 분열과 오일렘발트 폰 푸스발트의 미숙한 정치력으로 지지가 하락하는 와중, 쿤니문트 폰 이브레트론데 전임 제국재무장관 중심의 대형 비리 스캔이 발생하며 파란이 일었다. 제국 전역의 관료와 정치인이 연루된 거대 스캔이었으나, 자유당로센 폰 푸스발트와의 의혹을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거기다 스캔으로 공석이 된 제국수상 임명에 로센 폰 푸스발트가 관여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오일렘발트 폰 푸스발트는 실각했다. 실각 이후 당내 반동파인 닐제도르프 폰 크리제크벨마인이 당권을 장악했으나, 중도파의 압박에 다시 교체되는 등 분열이 이어졌다.

의장은 다수당인 보수당쿠르트 라인하르트 오젤바우 폰 칠데마인이 연임하였고, 부의장은 원내 2,3당인 진보연합오토 에를라발트 렌후스자유당루크 로하르트가 선출되었다.

목차
1 의장단
의장
Präsident
쿠르트 라인하르트 오젤바우 폰 칠데마인
제1 부의장
1. Vizepräsident
오토 에를라발트 렌후스
제2 부의장
2. Vizepräsident
루크 로하르트 자유당
서기
Schriftsführer
빌프리트 브루노 폰 회넬
닐제도르프 발트루트 폰 아른할테쇠누지엔
데겐하르트 요스트 켈바흐무슈타인
하메라르트 레슈텔루프 폰 로지테아우넬
알베르트 프리드리히 폰 블룽겐슈타트 자유당
회계
Quästoren
유트카르 오토 하르트무트 폰 슈타렌츠
아라문트 루카스 외슬리히

1540년 2월 4일, 두 번째 회의에서 의장부의장을 선출하였다. 다음 회의인 2월 5일에 서기 선거를 실시하여, 2월 7일 네 번째 회의에 발표했다. 선출 이전까지 전대 회기쿠르트 라인하르트 오젤바우 폰 칠데마인 의장이 회의를 주도했으며, 낙선한 오스부르히 게오르크 폰 프로엘지테메르크를 제외한 전대 회기 서기가 서기 역할을 맡았다.

2 위원회
위원회 위원장 담당
서기
제1 위원회
1.Abtheilung
도날트 아말릴프 폰 데어 운터베르넨 예산안
볼프강 라이트프리트
제2 위원회
2.Abtheilung
브룬발트 라이너 폰 데어 모우렌 청원
도메트루디스 보쉴레
제3 위원회
3.Abtheilung
헬름프리트 아르투르 발레부르크 선거감사
토르슈텐 그라바르트 폰 스하르치히
제4 위원회
4.Abtheilung
빌헬름 디스노트 폰 그레돌프 자유당 절차
루이트폴트 빌리히 폰 레닐그레이호펜
제5 위원회
5.Abtheilung
홀거 가리발트 아돌프 폰 자를래 법안
ᄇᆈ른 게오르크 위스리벤 폰 그라우
제6 위원회
6.Abtheilung
지크프리트 테오도어 엘민데 폰 데어 슈폴린트 무역 및 산업
알토폴트 프란츠 폰 힌투르 자유당
제7 위원회
7.Abtheilung
슐뢰트 폰 아이엔 사회문제
한트베르트 볼프강 폰 데어 아드렌도르프

회의를 통해 각 위원회의 위원장(Vorsitzender)과 서기를 선출한다. 각 정당별 의원 수를 위원회 수로 나누어 동일한 비율로 분배했다. 나누고 남은 7석 미만의 의석은 회의를 통해 각 위원회 당 26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도록 배치한다.

2-1 위원회 의원 목록
3 정당별 의석
회기 시작 의석 회기 종료 의석

보수당
105석 / 192석 (54.69%)
103석 / 192석 (53.65%)

진보연합
40석 / 192석 (20.83%)
41석 / 192석 (21.35%)
자유당
Liberalener Partei
38석 / 192석 (19.79%)
39석 / 192석 (20.31%)
해안의당
Partei des Küste
9석 / 192석 (4.69%)
9석 / 192석 (4.69%)
4 의석 변동
날짜 이름 의석 사유 정당별 의석
1546년 6월 13일 파울 릴데노프 플라니아 6 자유당 제명 보수당 105석
진보연합 40석
자유당 35석 (-3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3석 (+3석)
오스발트 페르데 루젤 폰 올리스베르크 플라니아 7
헤르만 이제베르트 루스폴트 알레마니아 15
1546년 6월 17일 파울 릴데노프 플라니아 6 보수당 입당 보수당 108석 (+3석)
진보연합 40석
자유당 35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0석 (-3석)
오스발트 페르데 루젤 폰 올리스베르크 플라니아 7
헤르만 이제베르트 루스폴트 알레마니아 15
1546년 10월 3일 파울 릴데노프 플라니아 6 보수당 탈당
진보연합 입당
보수당 107석 (-1석)
진보연합 41석 (+1석)
자유당 35석
해안의당 9석
1548년 2월 23일 레오가르트 지크문트 폰 체헤나우 아미시아란트 11 보수당 탈당 보수당 104석 (-3석)
진보연합 41석
자유당 35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3석 (+3석)
도날트 아말릴프 폰 데어 운터베르넨 아미시아란트 12
이스델 루터 폰 라이파이 알레마니아 16
1548년 3월 1일 레오가르트 지크문트 폰 체헤나우 아미시아란트 11 자유당 입당 보수당 104석
진보연합 41석
자유당 37석 (+2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1석 (-2석)
도날트 아말릴프 폰 데어 운터베르넨 아미시아란트 12
1548년 3월 7일 이스델 루터 폰 라이파이 알레마니아 16 보수당 복당 보수당 105석 (+1석)
진보연합 41석
자유당 37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0석 (-1석)
1549년 8월 14일 롤렌슈타인 하인리히 폰 에벤트로슈 카스텔부르크 5 보수당 탈당 보수당 90석 (-15석)
진보연합 41석
자유당 37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15석 (+15석)
파라울프 알거 폰 리매슈엔블라우 드라이히 22
루흐레흐트 아돌프 폰 라우브켈른 드라이히 23
디폴트 오스비네 고티스나데 폰 옴펠도르프 드라이히 25
페르디난트 아른루크 폰 데어 리스푸르트 아미시아란트 8
토르슈텐 그라바르트 폰 스하르치히 라우지츠부르크 14
브룬발트 라이너 폰 데어 모우렌 라우지츠부르크 16
이제베르트 뤼트거 폰 호이그린 라우지츠부르크 18
밀가스트 귄터 폰 크루센하펜드라이시셰에른스트 퀴스테 1
하기베르트 카를 빌헬름 폰 글로른슈타트 퀴스테 2
마르비히 알발트 폰 카슈바이문데베르크라테른 퀴스테 3
그라울프 뢰베 폰 데어 카루젠 퀴스테 4
다고베르트 에리히 폰 셰켈도르프 퀴스테 5
유트카르 오토 하르트무트 폰 슈타렌츠 퀴스테 7
에두아르트 알프레트 폰 데어 이슈트란트 퀴스테 8
1549년 8월 25일 롤렌슈타인 하인리히 폰 에벤트로슈 카스텔부르크 5 보수당 복당 보수당 105석 (+15석)
진보연합 41석
자유당 37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0석 (-15석)
파라울프 알거 폰 리매슈엔블라우 드라이히 22
루흐레흐트 아돌프 폰 라우브켈른 드라이히 23
디폴트 오스비네 고티스나데 폰 옴펠도르프 드라이히 25
페르디난트 아른루크 폰 데어 리스푸르트 아미시아란트 8
토르슈텐 그라바르트 폰 스하르치히 라우지츠부르크 14
브룬발트 라이너 폰 데어 모우렌 라우지츠부르크 16
이제베르트 뤼트거 폰 호이그린 라우지츠부르크 18
밀가스트 귄터 폰 크루센하펜드라이시셰에른스트 퀴스테 1
하기베르트 카를 빌헬름 폰 글로른슈타트 퀴스테 2
마르비히 알발트 폰 카슈바이문데베르크라테른 퀴스테 3
그라울프 뢰베 폰 데어 카루젠 퀴스테 4
다고베르트 에리히 폰 셰켈도르프 퀴스테 5
유트카르 오토 하르트무트 폰 슈타렌츠 퀴스테 7
에두아르트 알프레트 폰 데어 이슈트란트 퀴스테 8
1549년 9월 8일 가네프라트 프로빈 반데프리트 폰 밀로흐 라우지츠부르크 30 보수당 탈당 보수당 103석 (-2석)
진보연합 41석
자유당 37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2석 (+2석)
빌헬름 에를라발트 폰 페르메푸르트 운트 린트하임 라우지츠부르크 31
1549년 9월 11일 가네프라트 프로빈 반데프리트 폰 밀로흐 라우지츠부르크 30 자유당 입당 보수당 103석
진보연합 41석
자유당 39석 (+2석)
해안의당 9석
무소속 0석 (-2석)
빌헬름 에를라발트 폰 페르메푸르트 운트 린트하임 라우지츠부르크 31
5 같이 보기
 키르수스의 선거 
제국인민의회 선거 1531(1)  · 1535(2)  · 1540(3)  · 1545(4)  · 1550(5)  · 1555(6)  · 1560(7)  · 1565(8)  · 1570(9)  · 1575(10)  · 1580(11)  · 1585(12)  · 1590(13)  · 1595(14)  · 1600(15)  · 1605(16)  · 1610(17)  · 1615(18)  · 1620(19)  · 1625(20)  · 1630(21)  · 1635(22)  · 1640(23)  · 1645(24)  · 1650(25)  · 1655(26)  · 1660(27)  · 1665(28)  · 1670(29)
재보궐선거 1559  · 1655
주선거 알레마니아주 1654  · 1659  · 1664  · 1669
아미시아란트주 1654  · 1659  · 1664  · 1669
아스크라리아주 1655  · 1660  · 1665  · 1670
블린단텐주 1655  · 1660  · 1665  · 1670
드라이히주 1655  · 1660  · 1665  · 1670
엔브라주 1655  · 1660  · 1665  · 1670
플래니아주 1654  · 1659  · 1664  · 1669
프레니아주 1655  · 1660  · 1665  · 1670
카스텔부르크 1654  · 1659  · 1664  · 1669
크리베스란트주 1656  · 1661  · 1666  · 1671
쿤트부르크주 1655  · 1660  · 1665  · 1670
퀴스테주 1655  · 1660  · 1665  · 1670
라우지츠부르크주 1655  · 1660  · 1665  · 1670
오타카레주 1654  · 1659  · 1664  · 1669
지틀란트주 1654  · 1659  · 1664  · 1669
쥐델라네주 1656  · 1661  · 1666  · 1671